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34건 검색되었습니다.
메타버스에서 쇼핑할 땐 이 안경 쓰시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절반을 가릴 만큼 크고 투박하다. 변춘원 ETRI 실감디스플레이연구실장은 “안경 렌즈
모양
의 ‘핀미러 렌즈’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두께 4mm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얹어 작고 가볍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핀미러 렌저는 국내 스타트업인 레티널이 개발했다. 작은 구멍을 통해 사물을 ... ...
코로나19 델타 변이 국내서도 비중 커지고 있다…"신규 확진자 100명 중 7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모습. 표면에 있는 돌기
모양
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생기면 감염력이 높아지거나 항체에 대한 면역 회피 능력이 생길 수 있다.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100명 중 7명이 전파력이 더 강한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산업도 4차 산업혁명 중 '3D프린팅'
2021.07.03
5월 발사된 유인우주선에서 우주에서 3D 프린터와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이용해 벌집
모양
의 구조물 제작에 성공했다. CAST는 이 기술을 더욱 고도화해 향후 달이나 화성 표면에 대형 건물을 짓는데 활용할 계획이다. 미국 우주 스타트업 ‘아이콘’도 3D 프린터로 달 표면에 유인기지를 건설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력 거스르는 식물의 모세관 현상을 모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결과 위로 다섯 칸을 이동하는 데 100ms(밀리초)면 충분했다. 연구진은 또 실제 식물
모양
으로 이들을 쌓고 맨 위는 식물의 잎에 기공이 있듯 구멍이 뚫린 일종의 뚜껑을 얹어 열린 구조로 만들었다. 그리고 마치 뿌리가 물을 빨아들여 잎으로 이동시키듯 미세관을 통해 밑에서부터 위로 유체를 ... ...
[잠깐과학]미적분법 개발자 라이프니츠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03
순간 동안 변한 수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미분’이라고 합니다. 미분은 일정하지 않은
모양
의 넓이를 계산하는 방법인 ‘적분’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둘을 합쳐 ‘미적분’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미적분법을 만든 사람은 17세기 유럽의 과학철학자인 아이작 뉴턴과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입니다. ... ...
英 억만장자 브랜슨, 베이조스 제치고 먼저 우주여행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명이 탈 수 있는 유인 캡슐을 싣고 지구 상공 약 100km에 올려보낼 수 있다. 유인 캡슐은 돔
모양
으로 사방이 유리로 돼 있어 어느 각도에서나 우주를 보기 좋게 설계됐다. 우주여행을 마친 유인 캡슐은 낙하산으로 지구에 귀환한다. 베이조스는 1일 지난 1961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비행사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다양한 인플루엔자 막는 나노구조체 백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M2e에 자체 면역원성 증강 효과를 가지는 브루셀라 병원균 외막 단백질 BP26을 융합한 술통
모양
나노구조체를 만들었다. 백신은 면역증강제 없이도 M2e 항원 대비 더 강력한 체액성 면역 반응을 보였다. 동물 실험에서도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 ...
[프리미엄리포트]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
과학동아
l
2021.06.27
여러 개의 작은 블록으로 나눈 구조다. 제3-1매립장의 경우, 가로 20m, 세로 80m의 직사각형
모양
블록이 층마다 8개씩 총 8층으로 쌓일 예정이다. 현재는 세 번째 층을 쌓고 있다. 한 블록이 폐기물로 가득 찰 때마다 50cm 두께로 중간 복토를 한다. 중간 복토층은 빗물이 매립지로 침투해 침출수가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고성 '위태위태' 서낭바위를 깎은 자연의 조각가
2021.06.26
구조를 만들었다. 침식이 더 진행되어 위가 무너지면 ‘씨스택’이라는 탑
모양
구조만 남기도 한다. 동해의 촛대바위가 대표적인 예다. 우경식 제공 ○ 절리가 많은 암석이 파도에 더 잘 깎인다! 그렇다면 왜 서낭바위의 밑부분이 더 잘록할까요. 이 비밀을 풀려면 암석을 살펴봐야 합니다. 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이 무너졌다
2021.06.24
들어올 수 있다. 영화에서 볼 수 있는 기묘하고도 아름다운 모습의 블랙홀 주변의 고리
모양
은 그런 물리적 상황을 정밀한 계산으로 구현한 결과이다. 그러니까 이제는 SF 영화를 온전히 즐기기 위해서도 상대성이론의 기본을 알아야 하는 시대이다. 아마 아인슈타인이 '인터스텔라'를 볼 기회가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