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뉴스
"
변형
"(으)로 총 1,397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없는 인텔의 데이터센터 이야기
2017.10.27
‘긱(Geek)’입니다. 우리에게는 흔히 한 가지에 집중하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 오타쿠의
변형
어인 ‘덕후’로 더 잘 통하기도 합니다. 맥아피 교수는 긱들의 판단에는 맥락과 데이터가 있다고 말합니다. 결국 이 이야기는 데이터 기반의 머신러닝으로 다시 연결됩니다. 맥아피 교수는 알고리즘과 ... ...
“먼 곳의 중성자별 관측 가능해져” - 김정리 한국천문연구원 리더급우수과학자 인터뷰
동아사이언스
l
2017.10.17
가까이 떨어드리면 서로 끌어당겨 뾰족해지다가 합쳐지는 것과 비슷하다). 별의
변형
정도는 핵입자물리학적 상태(간단히 말해 단단한 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별이 부딪쳐 깨지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중력파는 중성자별의 구성물질과 별의 밀도-압력에 따라 다르다. 즉, 역으로 중성자별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17) 공생, 기생 혹은 악의
2017.10.15
통해서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사회를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호혜적 이타주의는 일종의
변형
된 공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지연 시간 상리공생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즉 당장의 손해가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자신 혹은 자신의 가족과 친지에게 이익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지연 시간 ... ...
[사이언스 지식IN] 외래 붉은불개미는 얼마나 위험한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0.10
투여했을 때 살충제 성분인 DDT보다 2~3배 더 독해요. 물리면 염증이 생기지만 이 물질을
변형
시키면 염증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가 최근 보고 됐습니다. 이롭게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지요. 미국 에모리대 건강과학센터 연구팀은 솔레놉신 유사물질로 쥐의 건선피부병을 치료하는 데 ... ...
산소 없이 후흡~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10.09
있는 반면, 벌거숭이두더지쥐의 경우 모든 장기 세포에 고루 분포했다. 또 과당을
변형
시켜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해당과정에 투입시키는 효소(KHK) 역시 모든 장기에 풍부했다. 이 차이 덕분에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뇌세포가 혈액 속 과당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벌거숭이두더지쥐는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개발 후 5년… ‘염기’ 단위로 유전자 교정하고 ‘유전자교정 식물’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08
좀 더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식물의 유전자를 교정하거나
변형
하지 않았다고 홍보하는 것은 마케팅 전략에 불과하다”며 “농부에게는 벌레먹지 않는 농작물, 소비자에게는 알러지를 일으키지 않고 영양가 높으면서도 저렴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유전자교정 식물의 ... ...
4차 산업혁명 시대 맞춤형 기상정보를 제공하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7.09.26
것에 동의한다”면서 “특히 공무원들이 쓰는 용어로 정리된 정보를 수요자에 맞춰
변형
시킬 수 있도록 산업계과 협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상청이 제공하는 정보를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재현 한국데이터진흥원 정책기획실장은 “다양한 산업에서 기상청을 통해 ... ...
난임 문제 해결할까...배아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7.09.21
하나 이상의 할구(세포 분열에 의해 생겨난 세포)에서 OCT4 유전자의
변형
이 일어났다.
변형
이 일어난 배아는 배반포까지 성장하지 못한 채 죽어버렸다. 김 연구원은 “쥐의 배아는 OCT4의 기능이 꺼져도 배반포까지 성장하지만 이와 달리 인간 배아는 성장을 멈춰버린다”며 “OCT4 유전자가 쥐와 ... ...
인류 최초의 디자인 혁신가는? '네안데르탈인'
동아사이언스
l
2017.09.05
재료였다.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이 불 꺼진 재 속에서 우연히 자작나무 껍질이 가열돼
변형
된 것을 발견하고 타르를 분리해 냈을 것으로 결론 내렸다. 랑헤얀스 교수는 논문에서 “네안데르탈인은 새로운 재료의 끈적한 성질이나 물체에 잘 붙는 성질에 호기심을 느꼈을 것”이라며 “이렇게 ... ...
[북핵 팩트체크 – 남은 의문들(1)] “의문의 2차 지진파… 방사성 기체 포집 가능성 높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04
한국은 한국에 특화된 식을 쓰고 있다. 유용규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은 “mb 규모식을
변형
한 식을 쓰고 있다”며 “30여 개 국내 관측소 데이터를 활용해 얻은 진폭과 거리 데이터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를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유 과장은 “1차 핵실험 때부터 6차까지 일관되게 자료를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