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7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기반도체 물질 '익센' 79년만에 첫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왼쪽 첫번째), 이근식 화학과 교수(위에서 왼쪽 두번째), 최원영 화학과 교수(위에서
오른쪽
) 등 공동연구팀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s) 물질 중 하나인 익센 분자를 처음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26일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79년간 합성할 수 없던 유기반도체 재료 ‘익센’을 처음으로 ... ...
[IBS 과학리포트] 강력했던 2020년 장마는 과연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일까
2020.08.26
이동한다. 그런데 공기는 저기압을 향해 직선으로 움직이는 대신 기압 경도력의
오른쪽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는 전향력(Coriolis force)이라고 불리는 회전하는 물체에 발생하는 관성력 때문이다. 열대 습윤 공기는 북서태평양 아열대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한반도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줌의 재발견
2020.08.25
상향평준화됐다(왼쪽). 반면 지침을 외면한 질 낮은 음식을 먹었을 때는 하향평준화됐다(
오른쪽
). DMS가 식단의 질을 평가하는 유용한 지표라는 말이다. '네이처 음식'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사람도 날릴 위력' 태풍 ‘바비’ 제주도 인근 북상...수해 추가 피해·낙하물 피해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세력이 급격하게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한반도는 태풍의 위험반원인
오른쪽
에 위치해 강한 바람을 동반한 태풍의 영향을 심각하게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
45년 전통 엔진 회사 대표가 65년 역사의 청계천 주물공장을 찾은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8.22
대표(왼쪽 두 번째), 황지은 서울시립대 교수(맨왼쪽), 최대혁 공공네트워크 소장(맨
오른쪽
)과 대화하고 있다. 로컬-리콜 제공 한 대표가 참여한 ‘신제조업의 영민한 루키들’ 첫 행사에 이어, 두 번째 행사는 8월 5일 개최됐다. 100만 달러 수출을 달성한 제조기업 더 하이브의 이상민 대표가 참여해 ... ...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
2020.08.20
녹인 용액은 재미있는 성질이 있었다. 이 용액에 편광을 비추면 편광이 용액을 통과하며
오른쪽
으로 약간 돌아가게 된다. 편광이란 전기장이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전자기파다. 태양광은 모든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다 갖고 있다. 수면에 반사된 빛은 수평으로만 편광돼 있다. 이때 수직으로 ... ...
코로나 바이러스,인체 침투하는 유연한 관절 지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0
'골반'과 '무릎', '발목'이라고 별명 붙인 관절이 세 곳 있어 움직일 수 있다고 밝혔다.
오른쪽
은 연구팀이 촬영한 스파이크 단백질의 단면이다. 관절처럼 보이는 연결부위가 선명히 관찰된다. 사이언스 논문 캡쳐 먼저 스파이크 단백질 중 인체 세포의 표면 단백질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쥐에게도 백신을 접종해야 할까
2020.08.19
recombinant vector vaccine)으로 벡터바이러스 게놈에 병원체의 항원 유전자를 넣어 만든다(
오른쪽
). 네이처 생태학&진화 제공. 재조합백신이 유망 전염성 백신에 쓰이는 생백신은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먼저 약독백신(attenuated vaccine)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적인 생백신이다. 고병원성 바이러스를 특수 ... ...
0.001mm 공간에 빛 가두는 이론 나왔다...나노레이저 등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8.19
빛이 박막도파로 광결정에 갇혀 있는 모습이다.
오른쪽
은 박막도파로 광결정위로 방출되는 모습이다. GIST 제공 미세한 공간에 빛을 가둘 수 있는 이론적 원리가 규명됐다. 새로운 광소재 개발에 응용해 나노 레이저의 효율을 높이거나 보안성 높은 미래 통신 기술인 양자암호통신 개발에 활용될 수 ... ...
빠르게 움직이는 혈액 '순간포착'...고해상도 광학현미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UNIST 생명과학부 교수(
오른쪽
끝)와 강주헌 교수가 공간분해능과 시간분해능이 모두 높은 새로운 광학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 가운데가 연구를 이끈 제1저자 우태성 연구원이다. UNIST 제공 미세한 세포 구조를 뚜렷이 확인하는 동시에 세포 주변 혈액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대상까지 마치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