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젓가락
젖가락
젓갈
횡적
뉴스
"
저
"(으)로 총 2,277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객기 승무원의 휴식 방법
팝뉴스
l
2018.12.30
실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같은 직장인으로서 안타깝다고 말하는 댓글도 보인다. 한편
저
런 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게 정말 가능할까 의문을 제기하면서, 스트레칭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하는 네티즌들도 있다. 그러나 손을 늘어뜨린 걸 보면 짧은 수면을 취하는 게 맞다는 반박이 나온다. ... ...
강아지만한 송아지 ‘화제’
팝뉴스
l
2018.12.26
최근 미국 미시시피 주립 대학교가 페이스북을 통해 공개한 사진이다. 강아지 크기의
저
동물은 다름 아니라 송아지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송아지로 추정된다는 게 해외 언론들의 보도다. 송아지 주인은 송아지의 건강이 걱정이 되어 병원을 찾았다. 그럴만하게 릴빌이라는 이름의 송아지는 너무 ... ...
당신 얼굴에 사는 벌레의 얼굴
팝뉴스
l
2018.12.20
사람 얼굴에 사는 진드기의 얼굴을 최대 확대하니 이렇게 무서울 수가 없다. 아마
저
진드기들은 자신들이 한 생명체의 얼굴 위에 살고 있다는 걸 모를 것이다. 작은 행성에 살고 있는 기분일 것 같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아파트 층간 소음 전쟁
팝뉴스
l
2018.12.19
촬영한 사진은 미국의 사진 공유 사이트에서 인기가 높다. 얼마나 소음이 심했으면
저
렇게 다툴까. 해외 네티즌들은 조용히 그리고 평화적으로 문제가 해결되길 바란다고 밝힌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화성 향한 전기차부터 마지막 북부흰코뿔소의 최후까지…올해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사진은 스페인 빌라노바데사우에 있는 7세기경 지어진 교회가 모습이다. 교회 건물이
저
수지에 잠겨 있는 모습이다. 물에 구름이 비쳐 비현실적으로 보인다. ● 2018년 빛낸 짧은 과학영상 심해의 마법.-핸독 제공 이 심해에 사는 해삼은 '마치 방해하지 마시오'라고 하는 듯 자극을 받았을 때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아빠 없는 하늘 아래
2018.12.16
주장도 설득력을 잃고 있습니다. 외적을 막아준다는 말도 별로 공감을 얻지 못합니다.
저
만 해도 아빠가 된지 10년이 넘었지만, 집안에 쳐들어온 ‘도둑’을 잡아본 경험은 단 한번도 없습니다. 설사 그런 일이 생겨도 직접 몽둥이를 들고 싸우기보다는 얼른 112를 찾을 것입니다. 한 예능 ... ...
[주말N수학]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2018.12.15
1887년 한 증명은 틀렸고, 그 후에 다른 사람이 한 증명만 옳다는 이야기도 떠돌았습니다.
저
도 그렇게만 알고 있었는데, 2007년 미국 수학자 토마스 헤일스가 직접 조르당의 증명을 살펴보니 틀린 게 없다고 말했다는 이야기도 있어서 조르당의 증명에 대해 확실하게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만큼 ... ...
쇼핑몰의 불쌍한 남자들
팝뉴스
l
2018.12.15
제공 요즘 인스타그램에서 주목받는 계정이 ‘미
저
러블 멘’ 즉 ‘불쌍한 남자들’이다. 아내 혹은 여자 친구와 쇼핑을 갔다가 기다림에 지친 남성들의 다양한 모습을 촬영해 공유하고 있다. 위 사진도 힘들게 시간을 보내고 있는 남성들의 모습을 담았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시간을 보내는 ... ...
읽다 보면
저
절로 수학지식이 쌓인다! 인기웹툰 '수학 잘하는 법'
수학동아
l
2018.12.09
Q ‘수학 잘하는 법’을 그리면서 가장 힘든 점이 있다면? ‘수학 잘하는 법’ 팬들은
저
보다 수학을 잘 아는 것 같다. 그래서 만화를 올릴 때마다 채점 받는 기분이다. 캐릭터의 감정 표현이나 만화 구성뿐 아니라 수학적인 내용의 팩트 체크도 해야 하니까 시간이 부족하다. 그냥 내 전공 분야인 ... ...
[여기에 과학] 퀸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 '태양의 길'에 빠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먼지나 천체의 움직임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메이가 하고자 했던 것은 황도광을 통해
저
먼 우주에 존재하는 먼지나 천체의 분포와 크기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직접 얻은 자료와 함께 관측소에서 2007년까지 축적한 자료를 바탕으로 먼지구름이 일으키는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