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킨토시
mac
소아복
맥킨토시
진맥
검맥
맥락
d라이브러리
"
맥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12
한 사람의 소아를 치료하기가 더욱 어렵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어린아이의 질병은
맥
을 진찰하기가 어렵고, 또한 증세를 질문하기도 어려워 약을 쓰기가 가장 어렵기 때문입니다. 한편 소아의 질병 가운데 두창(痘瘡 : 천연두 전염병)은 가장 혹심한 것인데도 약 쓰기를 기피하는 풍속 탓에 여역이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2
불거지면서 착공 예정일이 예상보다 4개월 이상 늦춰졌다. 숨 가쁘게 몰아가던 작업에
맥
이 풀리는 순간이 아닐 수 없었다. 아쉽지만 한편으로는 지금까지의 작업을 돌아볼 기회라며 위안을 삼기로 했다.여유를 갖고 한발 물러서서 보니 무엇인가 빠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모든 법적 요건에 맞춘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11
광섬유 모재를 안쪽부터 만들어 나가는 방식이 대표적이다.1974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존
맥
체스니 박사가 개발한 이 방식 덕분에 순도가 높은 광섬유 모재를 대량 생산할 수 있었다. 한편 현재 광주과학기술원 석좌교수인 백운출 교수는 광섬유를 뽑는 속도를 20배 향상시킨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08
A형은 입, B형은 피로 감염A형간염 바이러스는 특이하게도 6세 이전의 어린아이에겐
맥
을 못 춘다. 아이들은 감염돼도 감기처럼 살짝 앓고 지나가는 게 보통이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6세 이전엔 면역체계가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바이러스가 들어오면 우리 몸의 방어 메커니즘은 ... ...
‘분장실의 강선생님’ 만든 분장화장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06
개발하는 것이 안료회사의 독자적인 기술이다.분장기술의 발달은 분장 재료의 발달과 그
맥
을 같이 한다. 우리나라에 분장이라는 단어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1950~60년대에는 색조화장품을 거의 쓰지 않았다. 흑백TV 시대였기 때문에 색조화장을 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분장이라면 가난했던 ... ...
色이 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06
먹는 과립형 비타민C인 레모나가 노란색 제품 도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도 이런 분석과
맥
을 같이 한다. 생기발랄한 여성이 대거 등장하며 따뜻한 햇살과 노란색 의상이 나타나는 광고를 본 소비자들은 ‘밝다’라는 공통된 느낌을 갖기 마련이다.빨간색과 노란색을 섞어 만든 색인 주황색은 ... ...
인류와 문화 속에 깃든 수학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0904
것이 사회적으로 가장 바람직한가에 대한 정치학자, 경제학자들의 오랜 논의와 묀접히
맥
이 닿아 있다.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사회 문제에 수리적으로 접근하려면 문제에 대해 일종의 추상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그 과정 속에 ‘획일화 ’라는 함정 이 도사리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 저자도 ... ...
사촌이 땅 사면 정말 배 아픈 이유
과학동아
l
200904
그동안 언어학자나 심리학자들은 감정 표현에 이런 용어를 쓰는 건 ‘비유적’인
맥
락이라고 생각해왔다.그런데 따뜻함이나 차가움 같은 실제 감각이 이를 표현하는 용어가 혼용되는 정서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콜로라도대 경영대 로렌스 윌리엄스 교수팀은 물리적으로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01
일어나고 있음을 말해주고 싶다. 그는 우리가 밝혀낸 성과들에 매우 흥분할 것이다.피터
맥
그로스HMS 비글호 재단의 공동 창립자.영국 리버풀대에서 동물학을 전공했다. 자유기고가이자 전문 항해사다.21세기 비글호 항해사1. 비글호를 건조하게 된 동기는 뭔가?우리는 1831~1836년 찰스 다윈을 태우고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01
일인지 상상해보라. 현재 스피드건뿐 아니라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거의 모든 기기에는
맥
놀이 원리가 활용되고 있다.유재준 교수는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고온초전도 물질의 전자구조 이론으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로 있으면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