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병"(으)로 총 2,0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광유전학 치료 임상 돌입… 신경 치료 새 빛과학동아 l201607
- 목표는 광유전학을 이용해 망막색소변성증이라는 시각장애를 치료하는 것이다. 이 병에 걸리면 눈의 광수용체가 손상돼 시력이 나빠진다. 연구진은 망막색소변성증으로 시력이 심하게 낮아진 환자의 망막신경절세포에,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 ‘옵신’을 만드는 유전자를 심어 앞으로 2년간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07
- 지지하고 있다. 예측되지 않은 그 어떤 부정적인 효과보다, 아이가 치료 방법도 없는 병을 앓을 것이라는 사실이 훨씬 더 고통이 크기 때문이다. 만약 현재까지 알려진 기술의 위험성을 환자에게 설명해줄 수만 있다면, 결정은 부모에게 맡기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Editor’s Note] 공존과학동아 l201607
- 당시에도 여러 친척 종들이 공존했음도 드러났다. ‘호빗’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병에 걸린 현생인류가 아니라, 정말 몸도 뇌도 작은 친척 인류였음을 입증하는 새 화석도 최근 발표됐다. 우리는 이들과도 함께 살았다. 인류는 천상 공존하는 존재였던 것이다.공존은 과거나 현재만의 일이 아니다. ... ...
- [과학뉴스] 엄마를 두 번 울리는 미토콘드리아 유전병과학동아 l201607
- 교체하는 방법이었다.하지만 최근에는 이렇게 태어난 ‘세 부모 아이’조차도 유전병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또 한 번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07
- 복합체 I에 문제를 일으킨다. 전체 파킨슨병 환자의 약 90% 정도가 이런 환경적 영향으로 병이 시작된다(Neurology, vol. 52, no. 9, pp. 1876-1882, 1999).나머지 10%는 유전적 원인으로, 이 역시 미토콘드리아와 관련이 있다. ‘SCNA’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복합체 I과 전자전달계를 구성하 ...
- [과학뉴스] 렘수면, 기억 형성 핵심 역할과학동아 l201606
- “렘수면 장애는 알츠하이머병 등 뇌질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이번 연구는 질병 치료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논문은 ‘사이언스’ 5월 13일자에 게재됐다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6
- 70% 이상의 유전자가 인간과 동일하다. 설치류에서 유전자를 조작해서 만들던 질병모델을 제브라피쉬에서도 대부분 구현할 수 있다. 게다가 자궁 안에서 자라는 실험쥐는 발생단계를 볼 수 없지만 제브라피쉬는 알이 투명해서 배아가 자라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까지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 ...
- [지식] 매운맛 커리를 만드는 황금비 0.4초, 50도, 5:4:9수학동아 l201606
- 수 있는 현상으로,공을 주으러 다니던 사람들이 지쳐 털썩털썩 쓰러진다. 다름 아닌 커리병 때문! 이름 때문에 일종의 식중독이라고 생각했는데…. 식중독이 아니고 슛 중독이다?! 인터넷에서 ‘curry’를 검색해보자. 수많은 종류의 커리 사이에 등장하는 사람이 있다. 농구 유니폼을 입고 있는 ... ...
- [과학뉴스] 가방 끈 긴 사람, DNA가 다르다?과학동아 l201606
-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번에 밝혀진 유전자 변이가 고학력자들이 걸릴 위험이 높은 조현병, 조울증 등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뇌질환과의 연관성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5월 11일자에 실렸다 ...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06
- 통제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무력감이다. 삶에서 예측도 못하고 당하는 일(큰 병, 재해 등)을 겪으면 통제감이 낮아진다. 통제감이 급격히 낮아질 경우 무력감에 빠져 자포자기하기가 쉽다. 미국의 심리학자 주디스 로딘의 연구에 따르면 무력감을 극복하고 통제감을 갖는 것은 의외로 어렵지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