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뜻밖
예상밖
생각밖
예상외
d라이브러리
"
의외
"(으)로 총 141건 검색되었습니다.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04
0대 하이라이트’를 선정, 지난해 12월 20일자 지면에 소개했다. 발표 결과, 최고의 성과는
의외
의 후보에게 돌아갔다. 분자 연구에 있어 그동안 DNA에 가려 과소 평가돼온 RNA연구가 영예의 1위를 차지한 것이다.지금까지 사람들은 ‘유전’하면 DNA를 떠올렸다. DNA는 세포 내에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 ...
초상화 관상법으로 선조 질환 밝힌다
과학동아
l
200209
위해서다.지난 27년 간 예술품에 나타난 질병 연구를 한 이교수가 마지막으로 한 말은
의외
였다.“요즘 젊은이들 사이에 유행하는 성형수술 붐을 보면 걱정이 앞선다. 우리 선조들은 외형보다는 마음을 더욱 중요히 여겼으며 마음의 수양에 더 힘썼다. 자신의 얼굴을 솔직∙담백하게 내보일수 있는 ... ...
작은 세포의 미니 생쥐 탄생
과학동아
l
200206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유전자를 제거한 생쥐가 태어났을 때 세틀먼박사 연구팀은
의외
의 결과에 놀랐다. 몸 전체 길이가 2cm 밖에 되지 않는 미니 생쥐가 태어난 것이다. 정상적인 생쥐의 크기는 3cm 정도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미니 생쥐의 세포분열 속도는 정상적인 생쥐와 동일하지만 세포의 ... ...
글 잘 쓰는 과학자가 성공할 확률 높다
과학동아
l
200202
책이다. 미국 최고의 이공계 대학에서 작문 책이 가장 잘 팔린다는 것은 처음에는 정말
의외
였다.이 책은 윌리엄 스트렁크라는 대학 교수가 1919년에 강단에서 작문을 가르치면서 만들었던 강의록을 그의 제자이자 작가인 E. B. 화이트가 수정해 40년 뒤에 만든 것이다. 글은 간결하고 짧게, 두개의 ... ...
암호학 카드하나로 통하는 디지털 보안첨병
과학동아
l
200201
수학과의 최영주 교수는“수학에만 몰두하면 안된다”고 대답한다. 답변이 약간
의외
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최교수가 하고 싶은 말이 계속 이어진다.“ 암호학과 같은 학문에는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다”면서“이를 위해서는 다방면의 책을 읽고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12
대상을 위한 특수한 컴퓨팅일 뿐이었던 것이다.우리는 만인을 위한 설계라는 UD의 개념이
의외
의 분야에서 결실을 맺고 있음을 목격하는데, 그 곳은 바로 모바일의 분야이다. 모바일 컴퓨팅은 건강한 일반인에게도 많은 제약을 선사한다. 키보드는 한 손가락으로만 쓸 수 있고, 충분한 정보를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10
그림 물감과 붓을 준비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컨텐츠확보다. 컨텐츠확보문제는
의외
로 간단히 해결될 수 있다. 시장원리를 볼 때 수요가 있으면 공급은 자연스레 이어진다. 컬러휴대폰시장이 형성되고 컬러캐릭터와 애니메이션을 이용하는 사람이 늘어나면 기존 컨텐츠 제공업체들은 컬러컨텐츠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0109
돼가고 있다.최근 남성의 정자생산에 Y염색체보다 X염색체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의외
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화이트헤드연구소의 데비이드 페이지 박사팀이 네이처 지네틱스지 4월호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성의 정자생산 초기단계에 필요한 유전자의 절반 가량이 X염색체에 ... ...
미국 인간 배아줄기세포 지원 의미
과학동아
l
200109
정부가 연구비를 지원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해 왔다. 이번 부시의 발표는 그래서 더욱
의외
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공식 가이드라인 빨리 제정돼야 부시의 결정은 타협안의 성격이 짙다. 부시는 TV 발표에서 “줄기세포 연구가 난치병 치료 등 획기적인 의학발전을 가져올 잠재력이 있다는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09
땅에 정착한 귀화종”이라는 탐사팀 지도교수 이병천 박사의 설명을 듣자 몇몇 대원은
의외
라는 반응이었다. 자세히 보니 토끼풀에 피어난 꽃이 하얀색 외에 붉은색도 보였다. 이름도 붉은 토끼풀이란다. 토끼풀 군락 가운데 우뚝 솟은 식물이 눈에 띄었다. 가까이 가보니 줄기에 온통 짧은 가시털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