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리
설
d라이브러리
"
교의
"(으)로 총 15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테리아도 협동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0호
일으킨답니다. 우리는 집단끼리 전쟁을 자주 치르기 때문에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
교의
환경미생물학자인 마틴 폴즈 교수팀이박테리아 집단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우리를 골랐어요.박테리아 집단끼리 싸운다고?우리뿐만 아니라 많은 생명체 집단들은 서로 경쟁하며 살아가고 있어요. 먹이와 ... ...
메신저 호가 밝힌 수성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진입하면서 수성에 관한 비밀을 하나씩 밝혀내고 있답니다.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
교의
마리아 주발 교수팀은 수성 표면에 레이저를 쏜 뒤 반사돼 오는 시간을 측정해 수성 표면이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걸 알아냈죠. 수성의 칼로리스 분지는 보통 운석 자국과 달리 중앙이 높이 솟아 있어요. ... ...
특명! 오感감을 속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새 상품인 광파 오븐을 출시하면서 쿠키향을 뿌리기도 했답니다. 독일 드레스덴과학대학
교의
안야 스토 박사는 향기를 이용하면 고객이 물건을 사려는 의지가 약 4.8% 늘고, 실제 판매량이 약 6% 증가할 뿐 아니라 단골손님을 15.9% 정도 늘릴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혀를 속여라!맛도 잡고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글씨가 나타났어. 뭐? 겨울을 따뜻하게 보내면 살이 찐다고?영국 런던유니버시티대학
교의
피오나 존슨 박사팀이 겨울철에 실내온도를 높여 따뜻하게 지내면 살이 찐다는 연구 결과를 내 놓았대. 겨울에 너무 따뜻하게 지내면 칼로리를 적게 쓰고, 열을 만들어 내는 신체기능은 떨어져서 살이 찐다는 ... ...
세계 최대 바이러스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발견됐니?전 칠레의 라스크루케스 해안에서 발견됐어요. 프랑스 엑스-마르세유대학
교의
연구팀은 제가 칠레에서 발견된 거대 바이러스라며, ‘메가 바이러스 칠렌시스’란 이름을 붙였지요. 제가 발견되기 전에는 1992년 영국에서 발견된 미미바이러스가 세계 최대 바이러스였다고 하네요. 하지만 ... ...
사막에서 안개 모아 물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등에 안개를 모아 물방울을 만들고 이 물을 먹으며 살아가지요.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
교의
연구팀은 폭탄먼지벌레의 등딱지처럼 물을 끌어들이면서도 흡수하지 않고 붙잡아 둘 수 있는 그물망 소재를 만들어 냈어요. 이 그물망 소재로 안개를 모아 본 결과, 1㎡의 그물망에서 하루에 1ℓ의 물을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영상 제작에 특화시켜 사용하고 있다. 와인버그 교수는 “이 슈퍼컴퓨터는 USC 영화예술학
교의
모든 영상편집기 및 CG 제작 컴퓨터와 초고속망으로 연결돼 있다”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영상화(렌더링)’ 작업도 슈퍼컴과 연동해 언제 어디서든 빠르게 편집할 수 있com다”고 설명했다. 창작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기생에서 공생으로 빠르게 진화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어. 호주 멜번대학
교의
앤드류 위크스 교수팀이 초파리를 ‘월바키아’라는 박테리아에 감염시켰어. 그러자 처음에는 초파리의 번식력이 15~20% 떨어졌지. 하지만 20년이 지난 뒤에는 번식력이 10% 증가했단다. ‘월바키아’ 박테리아가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위해서는 수컷과 암컷의 정자와 난자가 필요해요. 그런데 2010년 12월, 미국 텍사스대학
교의
리처드 베링거 교수 연구팀이 수컷 둘의 유전자만 물려받은 아기 쥐를 탄생시켰어요. 이 놀라운 일은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있었기에 가능했답니다.XX 여자의 염색체XY 남자의 염색체 세포계의 ... ...
즐거운 땡땡이, 일 더 잘하게 해 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일을 더 잘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학
교의
루비 내들러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고, 각각 즐겁거나 슬프거나 중립적인 음악을 들려주거나 영상을 보여 주었어요. 그런 뒤 여러 가지 무늬가 그려진 그림을 분류하게 했지요. 그 결과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