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실패? 다시 일어나면 성공이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저는 오늘 망해버린 제 과제 이야기를 하려고 왔습니다.”KAIST 기계공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최종민 씨가 화면에 그의 ‘네 줄짜리 과제’를 띄우자 객석에선 웃음이 터져 나왔습니다. 11월 1일 저녁 개최된 ‘KAIST 실패학회: 망한 과제 자랑대회’에서는 최 씨 외에도 다양한 실패 경험을 가진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리비 등으로 사용하려고요. 기자: 앞으로의 목표가 있다면요? 박현우: 원래는 그냥 기계를 좋아하던 학생이었는데, 지금은 로켓을 만드는 게 꿈이 됐습니다. 저희가 지금 하는 활동이 계속 이어졌으면 좋겠어요. 제가 만든 로켓에 탑승해, 지구가 둥글다는 것 정도는 제 눈으로 직접 보고 싶습니다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Biomedical Robotics Lab멀티스케일 의료 로보틱스 연구실)을 운영하는 박석호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를 만났다. 사진 촬영을 위해 둘러본 실험실에는 굵은 코일과 전선이 가득 연결된 장비들이 즐비했다. 연신 감탄하는 기자에게 박 교수는 말했다. “신기하죠? 하지만 보시는 큰 로봇이 전부가 ... ...
- 무작위하지 않다는 증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심지어 이 모형에 따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동전 던지기 기계도 만들었다. 결과가 나오는 이유를 논문에서는 이렇게 분석했다. 동전을 던질 때 엄지손가락이 동전에 흔들림을 줌으로써, 동전은 축이 흔들리는 ‘세차운동’을 하게 되고, 처음 위를 향한 면이 더 ...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최적의 체중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다이어트입니다. 우리 몸이 기계라면 유전체는 기계가 어떻게 작동할지 결정하는 설명서니까, 설명서 어딘가엔 몸을 날씬하게 만들 방법이 적혀 있을 거라 기대하는 거죠. 당시 ‘제노플랜’이라는 벤처기업이 출시한 분석 키트로 제 침 속 DNA를 분석했습니다 ... ...
-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세상이 또 저를 괴롭혀도 그냥 살아보려고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박정수(KAIST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씨의 이야기는 한 편의 영화 같습니다. 고장 난 중고차를 직접 수리해 유라시아를 횡단할 계획을 세웠던 그는 여행 전, 이 차를 운전하다가 교통사고가 났습니다. 유라시아 횡단 계획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이쑤시개는 균형잡기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라파누이족은 기계의 도움 없이 어떻게 옮겼던 걸까요? 지난해 홍콩과학기술대학교 기계항공공학과 서정원 교수팀은 드론으로 실험해 본 결과 석상이 좌우로 뒤뚱거리는 방식으로 옮겨졌을 거라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모아이 석상처럼 무게중심이 아래에 위치한 물체를 옮기는 실험을 하기 위해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수 있는 기계를 작게 만드는 일조차 누구도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천 단장은 “기계를 바라보는 관점부터 제작 방식, 그리고 로봇과 세포의 상호작용까지 완전히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이 때문에 나노의학 연구단에는 도전을 즐기는 과학자들이 모여 있다. 상상을 현실로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변기 아래로 떨어지는 똥을 실시간으로 인식했다. 스마트 변기는 생물학은 물론 기계공학, 컴퓨터 공학이 합쳐져야 가능한 발명품이었다. 성공적인 연구, 잇따른 좌절 더 심각한 난관은 사용자 구별 단계에서 발생했다. 방금 용변을 본 사람이 누구인지 어떻게 알아낼 것인가? 연구팀은 물을 내리는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문제가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학교 전체에 형성돼있습니다. 기계적인 문제 풀이 능력이 아닌, 창의적인 접근법과 해결 능력을 확인하는 문제들이 출제됩니다. 그런 까닭에 시험을 준비할 때 핵심은 학교 수업 자체입니다. Q. 마지막으로 과학동아를 읽는 청소년 독자들에게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