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인"(으)로 총 8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생각의 열쇠로 연 내면 세계의 문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마음과 몸의 관계에 대한 철학자들의 여러 이론들을 보며 ‘생각’이라는 특별한 열쇠로 본인만 갈 수 있는 ‘내면의 세계’로 가는 문을 열었다. 여러 철학자와 과학자들의 이론 중 핵심적인 몇 가지를 꼽아 이 책에 담았다. 2019년 한국에서 출간된 스턴버그의 ‘뇌가 지어낸 모든 세계’를 재밌게 ...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수학동아 l2022년 08호
- Q. 문제를 잘 푸는 비결이 있나요. A. 흠, 사실 우연이라고 생각해요. 대부분의 수학자는 본인이 어떻게 수학을 하는지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어요. 그게 굉장히 신기한 점이지요. 저도 그렇고요. 과학 분야를 보면 인류 지식의 진보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대충은 이해돼요. 예전에는 우리가 ... ...
- [필즈상 인터뷰 ➍]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 “확률은 복잡한 우리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추구하는 사람과, 이론을 유용하게 바꾸는 놀라운 능력이 있는 사람이 모두 필요한데, 본인은 앞의 유형이라는 거예요. 자신의 발견 중 일부가 다른 학자들에게 전해져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기를 바란대요. 확률론을 연구하는 전 세계 수학자들 사이에서 유명 인사이기도 해요. 전 세계에서 ... ...
-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성취되는 것이 아닐까요? Q. 교수 생활을 하시면서 연구자로서의 본인과 강의자로서의 본인이 차이가 있나요? 연구와 교육이 별개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연구자로서의 저와 교수로서의 저는 같은 사람이라고 여기지요. 저는 두 가지 모두에서 큰 즐거움을 얻었고, 둘 중 하나만 하고 싶진 않아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마녀, 저주를 후회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개미 소리까지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며, 깊은 잠에 든 오로라 공주 때문에 도리어 본인이 고통받고 있다고 토로했어요. 공주의 천둥 같은 코골이 소리에 잠에 들지 못해 며칠째 밤을 지새우고 있다는 거였죠. 그리고 방법만 있다면 오로라 공주의 저주를 풀어 잠을 깨우고 일상으로 돌아가고 ...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그나마도 아바타가 아닌 사람은 교토에 사는 엠마 스톤뿐이었다. 엠마 스톤은 본인이 정한 닉네임으로 한국인인데 스무 살에 일본에 공부하러 갔다가 그대로 눌러앉았다. 민연애는 엠마 스톤의 본명이 뭐였는지 기억을 더듬다 그만뒀다. 무슨 의미가 있을까.종아리에 부드러운 느낌이 와 닿았다. ...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①] 고래가 크릴을 먹어치우듯 지식 먹방러 허준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일에는 시간을 쓰지 않습니다. 반면 본인을 행복하게 하는 일에는 더 집중하고, 본인이 좋아하는 사람과 보내는 시간은 전혀 아끼지 않습니다. 매우 가정적인 사람이고, 정말 좋은 아버지입니다. 요즘은 아들과 노는 일에 가장 큰 열의를 보입니다. 얼마 전 방문했을 때는 일곱 살 난 아들 ‘단’이 ...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구조를 연구하는데 수학의 여러 분야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이에요. 김 교수는 본인의 연구를 ‘우주의 신비’를 밝히는 작업이라고 말하는데요. 10여 년간 2차원 곡면을 연구했고, 최근에는 이를 발전시켜 3차원 공간을 연구합니다. 이 연구는 거울대칭이론, 물리학 등 다른 분야 연구와 ... ...
- [슬기로은 세특 생활] 내신3.9로 고려대 간호대학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중이라면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2학년이라면 관심 분야를 조금 더 구체화하길 권합니다. 본인 생기부의 전반적인 컨셉에 맞춰 비교과 활동을 채워 넣는 것도 필요해요. 또 학업 성적도 소홀히 하면 절대 안 됩니다. 3학년 학생이라면, 진로 분야에 대한 심화 주제를 선택해 관심과 역량을 동시에 ... ...
- 2023년 알림... 비밀번호 없는 세상이 온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저장된 비밀키를 열 수 있습니다. 이 비밀키가 있어야 서버에 등록된 공개키와 맞춰보고 본인이란 걸 증명할 수 있죠. FIDO 1.0은 이 검증에 필요한 프로토콜을 표준으로 만들었습니다. 이어서 2018년엔 웹에서 쓸 수 있는 기술 표준인 FIDO 2.0도 공개했습니다. FIDO 2.0이 나오면서 모바일 기기에서만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