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셀"(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과 원숭이의 키메라 탄생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원숭이의 배아에 삽입한 인간-원숭이 키메라(잡종) 배아를 만들어 국제학술지 ʻ셀’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cell.2021.03.020 2017년 인간만능줄기세포를 돼지 배아에 주입해 인간과 돼지의 키메라 배아를 만든 것의 후속 연구다. 연구팀은 추적이 가능하도록 형광 단백질이 표지된 ... ...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연구결과를 짧게 발표했습니다. 워크숍 결과보고서에는 최대 연구 성과로 저와 쿠르셀 교수님의 공동 연구가 꼽혔죠. 이후 여름 내내 논문을 완성해 투고했고 2007년 논문이 조합론저널B에 출판됐습니다. 박사 학위 논문의 은 이때의 결과 덕분이라고 볼 수 있죠. 2010년 받은 대한수학회 논문상도 ... ...
- [통합과학 교과서] 태양풍의 비밀을 밝혀 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친구들이 많은데, 한낮에 태양은 흰색으로 보여요. 실제로 태양광은 빨강, 파랑, 노랑 등 셀 수 없이 많은 색깔의 빛이 모여 있는 ‘백색광’이랍니다.미국연방우체국(USPS)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태양의 흑점과 플레어 등 다양한 모습을 담은 기념 우표를 발간했어요. 우표에는 총 10개의 태양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식물 에세이 작가·디어클라우드 베이시스트 “셀 수 없을 정도로 많고, 굳이 셀 생각도 없어요.” 3월 9일 서울 영등포구의 한 스튜디오에서 만난 임이랑 작가는 그의 집이 독특한 무늬를 가진 희귀 식물부터 천장에 닿을 만큼 키가 큰 식물, 식용 식물 등으로 가득 차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임 ... ...
- [한페이지 뉴스] 눈물샘 오가노이드에서 눈물이 흐른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발생학 및 줄기세포 연구단장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스템 셀’ 3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2016년 자체 개발한 오가노이드 배양 기술을 이용해 쥐와 사람의 눈물샘 성체줄기세포를 키웠다. 성체줄기세포는 성장 관련 인자를 혼합한 배양액에서 자란 지 10일 뒤 지름 0.2mm 크기의 ... ...
- [이달의 책] 2년 만에 듄이 돌아왔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조지 마틴의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왕좌의 게임 원작)’ 등 셀 수 없다. 듄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만든 게임 ‘듄Ⅱ’는 스타크래프트나 리그오브레전드 등 유명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모태가 됐다.이 소설을 읽어야만 하는 이유는 또 있다. 올해 10월, 36년 만에 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4화. 2월에 태어난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개념이었습니다. 수학을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숫자를 끝없이 세면 어디까지 셀수 있을까?”를 궁금해할 수도 있죠. 하지만 무한이란 개념을 상상해보는 것과 달리, 무한을 다루고 이해하는 건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무한을 다루는 일은 실제로 아이작 뉴턴과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가 미적분을 ...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못한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샌프란시스코) 연구팀이 2002년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닭(조류)의 열감지 수용체(VR1)는 캡사이신이 결합해도 반응하지 않는다. 그 이유로는 수용체의 구조 차이가 꼽혔다. 유전자 분석 결과 조류의 VR1은 포유류와 8개의 아미노산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실제 동물에 적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일부 결과는 지난해 2월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에 발표됐다. IQSEC3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킨 쥐를 만들어 관찰한 결과 발작, 경련 등 뇌전증의 증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IQSEC3 단백질 발현 문제가 억제성 시냅스 기능을 저하시키고 결국 뇌전증 ... ...
- [이슈] 수학 잘하는 동물 모두 모여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개코원숭이 개코원숭이는 숫자 1부터 8까지 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수와 작은 수를 비교할 줄도 알아요. 2013년 5월, 제시카 캔틀런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인지과학과 조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을 국제 학술지 ‘심리학 저널’에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4~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