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묘
밑그림
스캐
초벌그림
사생도
sketch
습작
d라이브러리
"
스케치
"(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바타 열풍! 지금은 3D 시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된 꽃이 그럴듯 하게 완성되었네요.①말하는 꽃을 만들기 위해 구상 아티스트가 먼저
스케치
를 합니다.②꽃과 주변 환경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작업해요.③질감과 조명을 더해 그림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요. 하늘과 움직이는 구름, 꽃과 사람이 모두 살아 있는 듯 흔들거리네요.아바타의 기술은 ... ...
팝아트의 아이콘, 앤디 워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액체 상태로 남는다. 실크스크린에 물을 흘려주면
스케치
부분의 감광액만 씻겨 나가
스케치
부분에 구멍이 뚫린다.이 실크스크린을 스텐실처럼 새로운 종이에 올리고 잉크를 펴 바르면 구멍이 뚫린 부분으로만 잉크가 새어나가 그림이 찍힌다. 실크스크린을 여러 개 만들어 색깔별로 찍어내면 ... ...
발명왕 ‘떡잎’부터 알아보고 키우는 창의발명캠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골드버그 장치라고 부른다. 루브 골드버그라는 미국 만화가가 처음으로 이런 장치를
스케치
한 데서 이름을 땄다.이 프로그램에서는 롤러코스터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물리적으로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해 간단히 배우고, 5명이 1조가 돼 아이디어를 구상한 뒤 직접 설계하고 제작했다.학생들이 ... ...
한 꺼풀 벗긴 메디컬일러스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프랑스 화가 마르셀 뒤샹은 모델에게 계단에서 걸어 내려오라고 주문한 뒤 재빠르게
스케치
를 했다. 각 위치에 따라 관절이 어떻게 꺾이는지 자세가 어떻게 잡히는지를 세세히 관찰할 시간이 없었던 셈이다. 그는 모델의 움직임을 마치 천천히 재생되는 영상처럼 겹쳐 표현해 역동적인 느낌을 ... ...
“다윈과 진화과학의 지적 소나기에 흠뻑 젖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방문한 일이었다. 그곳에선 역사 속 수많은 과학자들과 탐험가들이 여행 중에 그렸던
스케치
원본, 희귀동물을 묘사한 글을 직접 볼 수 있었다.둘째 날인 6월 30일부터는 본격적인 포럼이 시작됐다. 포럼은 임페리얼칼리지에서 걸어서 5분 거리에 있는 자연사박물관에서 진행됐다. 대부분 진화과학,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할 만하죠자, 이걸 보세요. 제가 건축을 공부하기 위해 동물 세계를 돌아다니며
스케치
한 동물 건축가의 집이에요. 건물의 규모와 형태가 정말 경이롭지 않나요? 어떤 동물의 집인지 맞혀 보세요. 에이, 거짓말 마세요~. 이건 동물의 집이 아니라 거대한 성이나 나무 위의 오두막, 기묘하게 생긴 ... ...
딱총나무 세포에서 배우는 거품의 수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네 꼭짓점으로 잇는 선분들이 이루는 각도다. 독일의 생물학자 에른스트 헤켈이
스케치
한 원생동물 방산충의 뼈대를 보면 중심의 방울만 없다면 정사면체에서 중심과 모서리를 잇는 평면들로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여기서 우리는 곡면끼리 120°로, 곡선끼리 109.5°로 만나고 있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들여다보며 3달간 그려 작품을 완성했다”고 말했다. 봉우리부터 꽃 피는 과정을
스케치
하고 열매와 씨도 구해 함께 그려 넣었다.“기쁘게도 참작약 그림은 곧 논문에 실릴 예정이라고 합니다. 현재 국립수목원에서 준비하고 있는 ‘귀화식물 도감’에도 대여섯 작품이 포함될 겁니다. 앞으로 제 ... ...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날카롭고 두드러지게 그린다. 미켈란젤로의 작품을 적외선으로 촬영하면 연필
스케치
선도 물감선과 마찬가지로 테두리 부분에서 두드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사물의 테두리보다는 명암을 중시한다. 인물의 근육을 나타낼 때도 선 대신 명암의 차이를 이용해 근육의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배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8인치 반사 망원경을 사용했다. 또한 그는 짧은 시간에 특징만
스케치
한 뒤 나중에 기억에 의존해 지도를 완성했으며 자신이 관측한 결과만 가지고 지도를 제작했다. 그런데도 승리는 스키아파렐리에게 돌아갔다. 그가 천문학계에서 널리 알려진 존경받는 천문학자였기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