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리내
갤럭시
은하
하한
하순
d라이브러리
"
은하수
"(으)로 총 34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양자역학이 어떤 현상을 만들어 내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은하수
에 블랙홀이 만들어졌다고 가정한 시뮬레이션 사진.] [블랙홀에서 에너지가 나온다-끊임없이 입자와 반입자가 쌍으로 태어났다 다시 합쳐져 소멸하는 공간이다. 하지만 만약 입자와 반입자중 하나가 ... ...
‘별 엘리베이터’ 킬리만자로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남아 있는 키보 봉우리가 모습을 드러낸다. 노을이 드리워진 붉고 푸른 하늘 위에
은하수
가 빛을 발하고, 해가 있던 방향은 노을이 가신 뒤에도 하얀 빛으로 긴 여운을 남긴다(황도광). 황도광은 대도시에서는 보기 어렵고 킬리만자로 하늘에서 만날 수 있다. 약 48억 년 전, 가스와 티끌로 이루어진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별빛처럼 영롱한 빛이 끊임없이 빛나고 있었다. 어쩜 자신은 별빛을 흩뿌려놓았다는
은하수
속에 빠진 걸지도 모른다고 지오는 생각했다.영롱한 빛은 인간 세상에서는 볼 수 없는 색을 띠면서 빛났다. 그리고 빛 사이사이로 드러나는 그림!아니 그건 또 다른 세상이었다. 지오는 제 몸이 순간순간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
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만났다. 독일의 철학자 칸트는 우주공간에 있는 은하들을 섬우주라고 칭했다.
은하수
옆에 둥실 떠 있는 대마젤란과 소마젤란은하는 분명 별들의 섬처럼 보였다.여러 천체를 둘러보기에는 하룻밤도 모자랄 것 같다. 특히 대마젤란은하는 아름답기도 하고 천문학적으로도 중요한 천체가 가득 담겨 ... ...
우리에게 빛은 생명일까, 공해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밤하늘에서는 맨눈으로 수천 개의 별과
은하수
를 볼 수 있어야 하지만, 지금 서울에서는
은하수
는커녕 별도 몇 개 보이지 않는다. 도심 속의 조명이 별을 가렸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빛공해를 ‘인간이 만든 과잉 빛으로 인한 공해’로 정의하고 있다. 에너지를 필요 이상으로 낭비할 뿐 아니라, ... ...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은하수
가 별들의 집단임을 처음 증명한 사람은 망원경을 발명한 이탈리아의 갈릴레오 갈릴레이였다. 갈릴레이가 자신의 망원경으로 은하 ... 역학적 진화 때문이라 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작은 은하 잡아먹던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현대 천문학이 풀어야 할 중요한 문제 중 하나가 은하들이 어떻게 탄생하고 진화했는가이다. 천문학자들은 슈퍼컴퓨터로 대규모 시뮬레이션을 해 ... 활약도 기대해볼 만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작은 은하 잡아먹던 ... ...
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은 성스러운 동물들이 하늘을 지나는 통로라고 간주했으며, 시베리아에서는 하늘을 뒤덮는 천막의 솔기라고 생 ... 있다는 사실이 다른 점이 아닐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작은 은하 잡아먹던 ... ...
반짝반짝~, 아기별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그래서 이 별들을 한데 묶어 ‘눈송이 무리(Snowflake cluster)’라고 부르기도 해요.
은하수
남쪽에는 RCW 79라고 이름 붙여진 먼지 구름이 있어요. RCW 79의 한쪽 부분에서는 적어도 두 무리 이상의 많은 별들이 생겨났답니다. 50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NGC 1097라는 은하예요. 이은하의 붉은 두 나선과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한 개 남은 통조림으로 허기를 달랬다. 불가에 최대한 붙어 잠을 청했다. 달이 떴는데도
은하수
가 선명하게 보였다.차를 버리고 하는 노숙이 편할 리 없었다. 추위에 몸을 뒤척이다 잠에서 깼다. 달의 위치가 서쪽으로 반쯤 기울어져 있었다. 새벽 4시가 조금 안된 시각. 오랜 정적을 깨고 딩고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