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응용"(으)로 총 3,164건 검색되었습니다.
- [DATA MATH] 소행성 충돌을 막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01호
- SF영화에나 등장할 것 같은 이야기지만 앞의 이야기와 비슷한 일이 2013년 2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에서 일어났어요. 실제로 지름 17m 소행성이 첼랴빈스크주 하늘에서 폭발해 운석우들이 땅에 떨어지고 그로부터 16시간 뒤 지름 45m의 소행성이 지구를 아슬아슬하게 비껴갔지요. NASA(미국항공우주국) ... ...
- [DATA MATH] DART 팀 구성원과 수학자의 역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좋겠어요. 수학자인 남편과도 SNS 마케팅에 대한 수학적 모형화 연구를 하고 있어요. 응용수학은 굉장히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저는 새로운 것들을 굉장히 좋아하기 때문에 이 연구 이외에도 계속 새로운 연구를 진행할 거예요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찾을 수 있죠. 몸 속 장기, 수술 없이 본다 광음향 의료영상기술은 광음향 효과를 응용해 의료영상을 촬영하는 기술입니다. 기존의 초음파 기술은 초음파 센서에서 소리를 만들어 몸에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소리의 신호로 영상을 만듭니다. 반면 광음향 영상기술은 레이저를 몸에 쏜 뒤, 몸에서 ... ...
- [기획] 내 생각대로 움직인다! 로봇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남는 거죠. Q이 기술이 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까요? 그럼요. 이 기술을 응용하면 손가락이나 다리를 생각대로 움직이는 로봇손가락, 로봇다리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거예요. 더 나아가 몸 전체를 내 마음대로 움직이는 로봇이나 휠체어도 개발할 수 있을 것입니다.가상 세계 속의 ... ...
- [4컷 만화]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지난 11월 2일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안동준 교수팀과 연세대학교 화학과 김병수 교수팀은 얼음이 얼거나 녹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 “특정 암세포를 죽이는 동결 치료법을 비롯해 동결보존 기술에도 이 기술이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를 드러냈답니다 ... ...
- [특집] 원하는 대로 만들어요 “클릭!” 화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물질을 의약품에 붙여 이동 경로를 추적하거나, 암세포만 특정해서 죽이는 치료법에도 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답니다. ➊ 물속에서 반응한다생명체 내부 환경인 물속에서 결합 반응이 잘 일어난다.➋ 체온에서도 잘 결합한다많은 화학 반응은 물이 끓을 정도의 고온이 필요하지만, 클릭 ... ...
- [기획] 죽은 거미로 물건을 들어 올린다?! 거미 그리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거미 다리가 근육 대신 수압으로 움직이는 원리를 알게 됐고, 이 독특한 방식을 로봇에 응용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Q거미 그리퍼의 장점은 무엇인가요?파 자연에서 만들어진 복잡한 구조를 거의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로봇 그리퍼를 제작하는 데에 필요한 많은 단계를 건너뛰고 바로 ... ...
- [특집] 맑음? 흐림? 내일의 날씨를 알고 싶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놀이북 4쪽과 함께 보세요! 안녕하세요! 어수동(ESD) 방송국의 기상캐스터 조현영입니다.오늘의 날씨는 매우, 엄청, 무지 덥습니다. 내일은 비가 올 수도, 안 올 수도 있어요. 네? 엉터리 날씨 예보라고요?더 정확한 날씨를 알고 싶다고요? 후훗, 그럼 저를 따라오세요!날씨에 대한 모든 걸 알려 드릴 ... ...
- [과학뉴스]샌드위치 속 달걀흰자 바닷물 속 미세 플라스틱 거른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투데이’ 8월 24자에 선공개됐다. doi: 10.1016/j.mattod.2022.08.001연구팀은 다양한 빵 조리법을 응용해 새로운 여과장치를 개발했다. 수질 정화, 에너지 저장, 방음 등을 위한 다공성 물질을 개발하는 크레이그 아놀드 프린스턴대 기계및항공우주공학 부 교수는 “샌드위치 빵을 보고 우리에게 필요 한 ... ...
- [과학뉴스] 역대 최대 규모 화산 중간권 뚫은 기둥 높이는 57km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도달하면서 이번 분석에는 새로운 측정 법도 도입됐다.영국 옥스퍼드대와 독일 뮌헨응용과학대 공동 연구팀은 여러 정지궤도 기상위성이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해 훙가통가-훙가하파이 화산 폭 발 당시 화산재 기둥이 최고 57km까지 치솟 았다는 결론을 내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1월 3일자에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