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생성AI 2024 리포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한 해가 예상된다. 생성 AI는 AI 개발의 최종 목표인 인공일반지능(AGI)과는 다르다. AGI는 인간처럼 감정을 느끼고 독립적으로 인지행동을 하는, 누구도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는 미래 기술인 반면, 생성 AI는 지금 당장 우리의 현실을 뒤바꾼다. 생성 AI가 왜 강력한지, 어떻게 더 강력해질지 예상해봤다 ... ...
- 생성 AI 왜 강력할까? 핵심은 트랜스포머 모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생성 인공지능(AI)에 열광하는 이유는 기계가 인간의 ‘자연어’를 이해하고 생성하기 때문이다. 그 기술의 시작은 2017년 구글 브레인의 아시시 바스와니 연구원팀이 발표한, ‘Attention Is AII You Need’ 논문의 ‘트랜스포머 모델’이다. 트랜스포머 모델은 입력된 값들 사이의 연관성을 스스로 ... ...
- 생성AI 2024 트렌드3 - 멀티모달・초거대・맞춤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것”이라고 말했다. 초거대 AI를 만드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비용이다. 미국 스탠퍼드대 인간중심 인공지능 연구소가 발표한 ‘2023 인공지능 보고서’는 “2019년 GPT-2(매개변수 15억 개)의 개발 비용은 5만 달러(약만 원)였지만, 2022년 PaLM(매개변수 5400억 개)에는 800만 달러(약 104억 원)가 소요됐다”며 ... ...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2003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2015년까지 암을 정복하겠다고 했지만 2023년 현재도 암은 인간의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다. 이 교수는 “암 종류마다, 환자마다 각기 다른 치료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며, “유전자에 맞춘 치료법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있지만 갈 길은 멀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 ...
- [만화뉴스] 아기들은 엄마 뱃속에서도 국어 공부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번갈아 들려주자, 아기들의 뇌는 프랑스어를 들을 때만 반응했답니다. 제르벤 교수는 “인간 언어 능력이 빠르게 발달하는 것은 출생 전부터 언어에 반응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 ...
- [에디터노트] 생성AI 격류, 노부터 젓기 전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인간처럼 묘사한 것도, 인간 수준의 사고가 가능한 인공일반지능(AGI)을 기대하는 인간 작가들의 작품을 학습해서겠지요. 놀라운 건 사용성이었습니다. 말 한마디에 표지가 그려지다니요! 과학동아는 지난 1년 기사에 들어가는 이미지 일부를 생성 AI로 그려왔습니다. 초반에는 ‘이게 되네?’ 신기한 ...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이 만든 얼굴 진짜보다 더 진짜 같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웰 교수는 “인간이 더 이상 AI 얼굴을 가려낼 수 없으므로, AI 사기꾼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며 “큰 문제가 생기기 전에 AI 기술의 투명성이 높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 ...
- [그래픽] 당신을 지키는 1조 8000억 개의 근위병 '인간 면역세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면역세포는 바이러스, 기생충 등 항원과 싸워 질병으로부터 생명체를 보호한다. 인체의 면역세포가 성인 남성 기준 약 1조 8000억 개, 1.2kg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2023년 10월 23일 나왔다. 면역세포 지도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자.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잠재력, 산화될 확률, 부영양화 확률, 오존 고갈 확률, 담수에 독성 영향을 끼칠 확률, 인간에게 독성 영향을 끼칠 확률, 토양에 독성 영향을 끼칠 확률, 화석연료를 고갈시킬 확률이다. 연구 결과, 폐기 단계에서 빨대를 소각할 경우 생분해성 빨대의 REI값이 6.8로 가장 컸다. 이어 종이 빨대(4.9), ...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시간을 기준으로 1년을 세고, 그 1년을 ‘한 해’라고 부르는 게 무척 재미있죠. 새삼 인간들이 해를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느껴지는 지점입니다. 물론 기자는 1월 1일 일출을 본 적이 단 한 번도 없습니다. 대신 전국에 퍼진 수많은 ‘새해 특파원’들이 인터넷에 올려 주시는 일출 사진으로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