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젖가락
저
젓갈
저분
d라이브러리
"
젓가락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금이 제설제로 쓰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화여대 과학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과학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EBS 수능방송과 엠베스트(www.mbest.co.kr) 온라인강의를 ... 빨갛게 색이 변하기 전까지는 화상을 입힐 정도의 높은 온도라도 티가 나지 않는다. 가열된 쇠
젓가락
끝을 맨손으로 잡지 않도록 주의한다 ... ...
우유 속으로 풍덩 빠져볼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이 막은 카제인을 제외한 유청단백질이 응고된 것이다. 형성된 흰 막이 미끄러운 쇠
젓가락
에도 감기는 이유는 점착성이 있기 때문이다. 요즘 같은 화학접착제가 개발되기 전에는 우유의 흰 막을 천연접착제로 쓰기도 했다.카제인은 열에 강하지만 산에 의해 잘 응고된다. 요플레 같은 제품의 고형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마음이 배고픈 욕구보다 크면 야식을 안 먹겠지만, 반대 상황이라면 어느 순간 라면 한
젓가락
을 뜨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반면 어떤 사람들은 밤이 되면 물도 먹기 싫어한다. 이들은 그렐린 수치가 높아지기 전 잠을 잔다. 그렐린은 저녁식사를 한 뒤 급격히 낮아졌다가 4~5시간 뒤 다시 ... ...
걸리버 여행기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유지한 채 크기만 커졌다 작아졌다 할 수는 없다고 강조한다. 즉 소인국 사람들은 다리가
젓가락
처럼 얇아야 하고 거인국 사람들은 통나무처럼 굵어야 한다는 것. 왜 그럴까. 몸무게는 키의 3제곱으로 늘어나지만 힘은 제곱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공상만화에서 사람만한 개미가 여전히 ... ...
달콤살벌한 성형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얼굴) 위에 큰 상자를 덮고 상자 위에 조그만 창(입안 점막)을 뚫은 뒤 기다란 튀김용
젓가락
(수술 기구)으로 식사를 하는 것과 같다.지방흡입술 _ 혈전이 혈관 막을 수도 있어성형외과 의사 최용우(김성민 분)는 재건성형에 힘쓰는 의사다. 그는 살이 쪄서 지방흡입술을 하겠다며 찾아온 환자에게 ...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굴절시킨 거야. 빛은 원래 똑바로 직진하지만물을 만나면 꺾여(굴절). 유리컵 속에 담긴
젓가락
이 꺾여 보이는 것이 빛의 굴절 때문이지.햇빛이 물방울을 만나면 빛은 한 번 꺾인 뒤 특정한 각도로 물방울에서 되돌아 나와. 빨간 색은 약 42도, 보라색은 약 40도 벌어져 물방울에서 나오지.무지개는 ... ...
미래 공학도, 날개 펼칠 둥지 찾기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입학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졌다.10m 높이에서 계란을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도록 나무
젓가락
, 신문지 같은 재료로 계란을 담을 바구니를 만드는 ‘에그 드롭 콘테스트’(Egg Drop Contest)도 함께한 친구들의 실력을 엿볼 수 있어 좋았다.김 군은 “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돌아본 시간도 의미 ... ...
거꾸로 굴절하는 빛, 법정에 서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예측하기는 했지만 공상과학소설 같은 얘기였죠.예를 들어 물이 담긴 컵에 담긴
젓가락
은 부러진 것처럼 반대방향으로 꺾여 보일 테고,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의 초점 맺는 방식이 서로 뒤바뀌고 말겁니다. 한 과학자가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증거로 제출합니다.재판장:좋습니다. 증거를 보여주세요 ... ...
과학 행사 평정 비법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안 보이게끔 꽁꽁 싸면 떨어뜨려도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친구들 말이에요. 그래서 나무
젓가락
이나 빨대로 달걀 주위를 빙~ 둘러서 김밥처럼 싸는 친구들이 많아요. 하지만 이렇게 만든 달걀은 틀림없이 깨진답니다. 달걀을 보호할 수 있는 과학 원리를 생각하고 만들어야 해요. 달걀이 눈에 안 ... ...
40억 년 묵은 바다맛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만든 나무모형을 넣고 물이 없어질 때까지 기다려 보렴. 물이 증발하면서 소금이 나무
젓가락
에 붙어 하얀 소금나무가 만들어진단다. 소금물처럼 바닷물에도 소금과 다른 물질들이 녹아 있어서 바닷물을 증발시키면 하얀 물질이 남지. 이것을 염류라고 한단다.바닷물에 든 염류의 양을 염분이라고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