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사탐 박쥐 연구자, 류흥진 박사의 수상 소식을 전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박쥐가 내는 초음파를 녹음해 생태를 조사했어요. 연구 결과, 류 박사와 시민과학자들은 총 32곳의 박쥐 핫스팟과 14~16종의 박쥐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류 박사는 2021년 제주도에서 ‘국제 박쥐의 밤’ 행사를 진행하며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제주도 동굴에 사는 박쥐를 조사하는 등 ... ...
- [시민과학콘] 지사탐×국립수목원, 벚꽃엔딩 프로젝트 그 결과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각지에 있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나섰지요. 11기 대원들은 3주간의 프로젝트 기간에 총 783건의 벚꽃 개화 기록을 올려주었어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올려준 기록과 각 지역의 국공립수목원 11개 기관 데이터를 정리한 결과 2023년 올해 전국 대부분의 벚꽃이 3월 중순경에 피기 시작했어요. ... ...
- 분수로 나타내는 ‘박자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박자표가 4/4라면, 한 마디에 들어가야 할 박자는 4분음표(♩) 4개만큼(1+1+1+1=4)이므로 총 4박자이지요. 4분음표 2개와 2분음표 1개를 써도 4박자가 돼요. 이렇게 다양한 박자의 음표를 쓰면 재미있는 리듬을 만들 수 있답니다. 복잡할 것만 같았던 악보, 분수와 함께 보니 간단하지 않나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토성이 충돌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목성과 토성을 합하면 태양계 모든 행성의 총 질량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거대해요. 만약 둘이 충돌한다면, 목성과 토성은 중력으로 인해 하나로 합쳐지며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방출할 거예요. 또 폭발로 발생한 잔해들이 온 우주로 퍼질 테죠. 그렇다면 ... ...
- 바둑이 넌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살았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천연기념물로 등록된 토종개는 삽살개, 진도개, 동경이 총 세 종이에요. 그중 삽살개는 지금의 티벳 마스티프 같은 개들과 유전자가 비슷합니다. 삽살개의 조상은 약 4700년 전 북방 유목민족과 함께 한반도에 왔어요. 대부분 귀가 누워 있고, 긴 털을 가지고 있는 것이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장애물을 넘어가며 전진! 보행로봇 로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해요. 먼저 톱니바퀴처럼 생긴 기어와 상자 모양의 기어박스를 떼어내 맞춰줍니다. 총 7개의 금속핀으로 기어와 기어박스를 서로 고정시켜 주고, 기어박스 뚜껑을 닫으면 몸체가 완성돼요. 기어는 서로 맞물리며 회전운동을 다리의 직선운동으로 바꿔 줘 앞으로 나아가게 합니다. 완성된 몸체 위에 ... ...
- [4컷 만화] 전투력 甲 총알개미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등에 물리면 통증이 왜 그토록 오랫동안 강렬하게 유지되는지를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총알개미의 독 성분인 ‘포네라톡신’을 쥐의 감각 뉴런에 주입한 후 변화를 관찰했어요. 그 결과, 신경 세포의 막에 존재하는 나트륨 이온 통로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통로가 열리면, 나트륨 ... ...
- [기획] 불빛에 몰려드는 벌레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남양주보건소는 “대량발생이 올해 3월 처음 신고되어 5월까지 총 40건의 신고가 들어왔다”고 밝혔어요. 성동구청은 “작년에는 신고가 거의 없었는데, 올해는 5월 한 달에만 112건의 민원을 접수했다”고 전했습니다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지구로 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간섭’ 원리를 이용해 전파를 지구의 원하는 곳으로 보낼 수 있었습니다. 송신기에는 총 32개의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어요. 각 안테나에서 방출된 전파가 특정 지점으로 모이면서 더해져, 전파의 세기가 먼 거리의 지구까지 올 수 있을 정도로 커졌지요. 한국천문연구원 손봉원 박사는 “컴퓨터로 각 ...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5월 25일, 영국자연사박물관 뮤리엘 라본 박사팀은 그간 알려진 기록을 분석해 CCZ에 총 5,578종의 생물이 서식하며, 그중 약 92%는 아직 공식적인 이름이 붙지 않았다고 발표했어요. 그런데 과학자들은 망간 단괴를 채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이 심해 생태계를 손상시킬 수 있다고 말합니다.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