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
날붙이
나이프
도검
식칼
단도
면도칼
d라이브러리
"
칼
"(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재미있는 수학 연구가 떠올라 소개한다. 종이접기로부터 출발한 오리가미 기술은
칼
이나 풀 없이 종이 한 장으로 작품을 만드는 활동을 말한다. 그런데 어린 샹치 손에 들려있던 ‘용’도 종이 한 장으로 접는 게 가능할까? 물론이다. 오늘날의 오리가미 기술은 달랑 종이 한 장으로 자르거나 ... ...
미 국방부 보고서 행간 읽기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가능성을 제기한다. 국내 대표적 UFO 연구자의 의견을 소개한다.미국의 유명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어린 시절부터 UFO가 외계인의 우주선이라고 믿었다. 1963년에는 천문분야 학술지 ‘행성 및 우주과학’에 우리 은하계의 발달한 문명에 속한 외계인이 핵융합이나 반물질로 추진되는 아광속 ... ...
[SF 소설] 화성의
칼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가르치려 시도한 세실 하드윅과 얼마나 닮았는지 몰랐다. 최윤옥이 벽에 걸린 장식용
칼
을 뽑자, 총독은 머리가 뜯겨 나간 채 죽어있는 경호원의 상의에서 권총을 꺼냈다. 방아쇠를 당겼지만, 안전장치에 걸려 총알은 발사되지 않았다. 총독은 총을 집어던지고 2층으로 달아났다. 암살단은 그 뒤를 ... ...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적다. 이 말은 즉 더 적은 수의 빛 알갱이로 감광제를 깎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가령 조각
칼
로 나무판을 강하게 2번 깎으면, 약하게 30번 깎는 것보다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된다. 이와 같이 EUV로 깎은 감광제 표면은 울퉁불퉁해지기도 더 쉽다. 심할 경우 불량품으로 처리된다. EUV를 만드는 데 비용이 ... ...
[화보] 재료 찾는 재미가 솔솔~ 음식나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재치를 더해 환상적인 작품을 만들고 있거든요. 워너의 음식 나라로 떠나볼까요?
칼
워너가 알려주는 음식 나라 만들기 꿀팁! 어수동 친구들, 반가워요! 제 작품을 소개하게 되어 기뻐요. 여러분에게 음식 나라를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려고 해요. 여러분만의 상상력을 더해 나만의 멋진 작품을 ... ...
[SF소설] 랄로랑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꿈틀거려도 침착하게 다음 할 일을 생각하고 실천할 사람이야. 증기선으로 들이박거나
칼
이랑 고추장을 찾을걸?”지나는 한 번 훌쩍거리고는 빨갛게 젖은 눈으로 살짝 웃었다. 성희는 만족스럽다는 표정으로 덧붙였다. “그런 사람들은 불가능한 게 아니라면 반드시 살아남아. 그러니까 티베트에서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일월반도도, 천상열차분야지도 등 과학과 관련된 문화재들이었다. 특히 사인참사검에는
칼
뒷면에 북두칠성과 28수 천문도가 담겨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 왕실 문화 아카이브에서 해당 문화재를 볼 수 있다. 한 실장은 “문화재에는 정말 다양한 흥밋거리가 있는데 더 많은 후손들이 문화재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점에서 온실이라는 공간을 좋아해 이를 소재로 소설을 썼다”고 밝혔다. 또 그는 “아포
칼
립스(대규모 재난 또는 인류 멸망 상황)에서 인간보다 더 잘 살아남을 수 있고, 멀리 퍼져나가고, 그러면서도 인간과는 시간 규모가 다른 생물이 필요했다”며 “그런 생물을 고안하다 보니 식물 이야기를 ... ...
[과동키즈] “당신의 이야기로 숲을 가꿉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픽사에 입사하겠다는 일념으로 노력해 미국 캘리포니아예술학교(
칼
아츠)에 진학했다.
칼
아츠는 픽사 초창기 감독들이 졸업한 미국 최고의 예술대학 중 한 곳이다.얼마 뒤 군대에 입대했다. 어린 시절 이후 다시 한번 자연 속에서 지내게 된 나는 시간을 보내기 위해 책을 들었다. 그때 읽던 책 가운데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원주중학교 3학년 채준석입니다. 행성 탐사와 과학 대중화에 공헌한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성을 따서 닉네임을 Sagan이라고 지었어요. 제가 가장 존경하는 과학자이기도 하죠. 저는 천문학과 물리학을 좋아하고 수학 분야에서는 소수의 분포에 관심이 많습니다. Q 어떻게 폴리매스에 관심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