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조건"(으)로 총 2,57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편집자주. 본 기사에는 픽션과 논픽션이 섞여 구성돼있습니다. ‘래빗홀 컴퍼니’는 허구의 단체이며 기사 본문내용중 픽션인 부분은 기울여 적었습니다.래빗홀 컴퍼니의 양자전송 순간이동 서비스를 신청해주신 고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123년 개정된 산업안전법에 의거하여 양자전송 순간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편집자주. 사이언스 픽션(SF), 즉 과학적 사실이나 가설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를 ‘과학덕후’의 시선으로 뜯어보면 얼마나 더 재밌게요. 볼거리가 넘쳐나는 시대, 과학덕후라면 꼭 봐야할 최신 SF작품 속 과학 이야기를 6개월간 연재합니다. 2009년 개봉한 ‘아바타’의 속편, ‘아바타: 물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에서 친구 만드는 법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편집자 주]제페토는 10대 청소년이 많이 사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으로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본 연재물을 기획했습니다. 양하~! 아바타 꾸미기부터 웹툰 제작까지, 어과동 독자 여러분이 올려준 미션을 보면서 매일 매일 놀라고 있어 ... ...
- [스티브쌤코딩-마인크래프트] ‘랜덤 블록 파괴왕!’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마인크래프트 조작법을 숙달할 수 있는 미니게임을 만들어 봐요. 게임에서는 플레이어 주변 무작위 위치에 블록이 생겨나요. 플레이어는 점수를 주는 블록을 빠르게 부숴서 점수를 얻어야 해요. 잘못된 블록을 부수면 감점! 점수를 주는 블록은 계속해서 바뀌니 주의하세요. 첫 번째 블록 놓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우리도 빅데이터 생산자! 내 권리는 내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슈슈의 마음을 읽은 듯 걸려온 한 통의 전화! 실은 매 순간 슈슈가 디지털 세계에 남긴 흔적에서 힌트를 얻은 광고 전화였어! 원하지 않는 정보까지 누가 본다면 어떤 기분일까?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할 때 우리가 주의해야 할 점을 지금 알아보자! 가끔 디지털 미디어가 나에 대해 정말 많은 ...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태초에 빅뱅이 있었다. 빅뱅의 엄청난 에너지는 물질과 반물질을 만들었다. 그러나 0.0000000001초 뒤 반물질이 홀연히 사라졌다. 지금 우리의 우주는 물질로만 이뤄져 있다. 첫 번째 미스터리다. 우주에 남은 물질들은 서로 뭉쳐 별과 은하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들의 움직임이 어딘가 수상하다. 은하 ... ...
- 2022 노벨 화학상 I 복잡한 화학반응 ‘클릭’ 한 번으로 이뤄내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10월 4일 노벨위원회는 물질의 새로운 합성법을 밝힌 세 명의 화학자에게 노벨 화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배리 샤플리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교수와 모르텐 멜달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 캐롤린 버토지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노벨위원회가 밝힌 이들의 수상업적은 ‘클릭화 ... ...
- [특집] 어디까지 알아 봤니? 전 세계 지하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지하에 있는 실험실이라고 해서 다 같지 않다. 땅 속 깊은 곳에서 희미한 신호를 관찰한다는 공통점만 있을 뿐, 크기도 역사도 연구 주제도 제각각이다. 때론 경쟁하고 때론 협력하며 더 큰 목표에 도전하는 전 세계 주요 지하실험실들을 만나보자. 더 깊고 더 넓게… 스케일로 압도하는 CJPL중국 ... ...
- [기획] 수리 생물학 노트 III, 새의 날개짓 비행체에 적용하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새의 날갯짓에 숨겨진 비밀을 알고 나니 새처럼 자유롭게 나는 비행체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아! 앗, 그런데 다른 공학자도 이런 비행체를 만들었거나 개발 중이래. 15, 16세기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이탈리아 과학자이자 예술가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새가 나는 것에 영감을 받아 사람을 태울 수 ... ...
- [기획] 인공중력 만드는 우주토목공학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인공중력은 더 이상 상상 속의 기술이 아닙니다. 과학적인 원리는 명확합니다.앞으로는 지구 밖 우주에 어떻게 거대한 인공중력 시설을 지을 것인가 하는 문제만 남았습니다. 우주는 환경도 전혀 다르고, 재료도 충분하지 않죠.조금은 색다른 영역이 필요한 때입니다. ‘우주토목공학’입니다.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