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설
가공
꾸밈
조작
가상
공상
상상
d라이브러리
"
허구
"(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신드롬의 영향으로 외계인 침략설을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것도 공상과학적인
허구
일 뿐 현실과 연결해 생각하기에는 거리감이 있다. 미확인비행물체로서 UFO는 물론 있다. 우리가 확인할 수 없는 비행체가 왜 없겠는가. 다만 한가지 우려되는 것은 ‘외계 생명체는 곧 UFO다’와 같은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은하계 문명의 축을 이룬다는 내용이다. 이 작품에서 구사된 과학 기술적 이론들은 비록
허구
적인 내용이지만 그 자체로는 매우 정교한 논리 전개를 담고 있어서, 과학적 논리의 치밀함에 비중을 두는 '하드 SF'에서는 고전으로 꼽히는 걸작이다.한편 로버트 하인라인의 장편 '우주의 고아들'(1963)은 ... ...
시험 전날에 먹는 찹쌀떡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명당의 논리도 여기에서 비롯된다.하지만 우리의 선조들은 일찍부터 이러한 신비주의
허구
성을 간파했는데, 그 중에서도 조선 후기 실학자 담헌 홍대용의 주장은 경청할 만하다. “중형을 받은 죄수가 옥중에서 겪는 고통이 견딜 수 없다 해도 그 아들의 몸에 악한 병이 생겼다는 말을 듣지 ... ...
PartⅢ. ③컴퓨터게임 속 주인공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극장 입구에서 요금을 지불하고 들어온 것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는 우리는 그 영화가
허구
임을 너무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영화를 보며 두려움을 떨고 행복을 느끼고 슬픔에 흐느낀다.시각적으로 그리고 청각적으로 영화는 사람의 감정을 독점한 체 마치 자신이 영화 속에 살아 지켜보고 ... ...
호박속 공룡 DNA는 진짜일까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피를 뽑고, 공룡의 DNA를 찾아내 복제해내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우선 영화와 소설이
허구
의 세계라고 하지만, 그 안에서 소재로 쓰인 호박이 잘못 선택됐다는 지적이 있다. 쥐라기 공원에 등장하는 호박은 도미니카공화국에서 산출된 것이다. 도미니카 호박 속에서는 많은 곤충이 발견되고 있다. ... ...
정보 전도사들이 주장하는 디지털사회의 신화들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진짜 모습을 살펴보려는 시도가 뒤늦게 진행되고 있다. 정보화사회의 신화가 가진
허구
의 현실을 진단한다. 엘리트주의에서 평등주의로뉴미디어가 공동체 성원의 참여를 확대하는 ‘풀뿌리 네트워크’가 될 것인지, 아니면 권력과 독점 사업체가 연출하는 감시사회의 ‘빅 브라더 네트워크’가 될 ... ...
과학지식의 야구 산교육장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받지만, 따지고 보면 그가 투수의 공을 쳐낸 것은 10번 가운데 3-4번 밖에 안된다. 도대체
허구
헌날 방망이 휘두르기에 이골이 난 타자들이 공을 절반도 쳐내지 못하는 일은 어찌된 연유일까.우선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투수가 던지는 공의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메이저리그에서 뛰고 있는 ... ...
외계생명체가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 콘택트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수 없는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녀에게 신은 우주의 탄생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허구
의 존재일 뿐이다. 과학과 종교의 논쟁그러나 과학이 발달하면, 언젠가는 신을 도입하지 않고도 우주에 관한 물음에 해답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엘리는 무신론자였던 칼 세이건의 의견을 대변하고 ... ...
SF예언력은 어느 정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수 있다.그런데 여기에는 한 가지 유념해야 할 변수가 있다. ‘현실은
허구
보다 더
허구
적이다’라는 흥미로운 통념이다. 때때로 현실은 SF작가들의 자유분방한 상상력으로도 짐작할 수 없을만큼 놀랍고 믿어지지 않는 모습으로 나타나곤 한다. 미국의 SF작가 카드(O.S. Card)는 언젠가 어느 작품집의 ... ...
투명과학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만끽하기 위해서”라는 평범한 답이 있을 것이고, 혹은 “현실과 다른 차원을 다룬
허구
의 성(城)에 대한 문학적 탐미를 위해서”라는 대답도 있을 것이다.그러나 적어도 과학자들은 ‘단순한 재미’나 ‘시간 때우기’ 이상의 것을 위해서라고 대답하고 있다. 이들에게 SF는 여타의 통속 소설이나 ... ...
이전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