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705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식에 든 미세 플라스틱, 혈당 조절 방해하고 간도 손상시켜
동아사이언스
l
2025.06.02
작은 플라스틱 조각이다. 학계는 통상 5밀리
미터
(mm) 이하의 크기를 미세플라스틱, 100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
미터
) 이하의 크기를 나노플라스틱이라 본다. 미세·나노플라스은 식품을 통해 인체에 쉽게 노출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사람은 음식과 음료를 통해 연간 약 4~5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을 ... ...
中 첫 소행성 탐사선 톈원2호 발사…표본 회수시 日·美 이어 3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311P/PANSTARRS)를 탐사하기 위해 떠난다. 311P/판스타스는 태양에서 2억900만~3억6000만킬로
미터
거리를 두고 공전한다. 톈원 2호는 2035년 혜성에 도착해 1년간 궤도를 돌며 혜성의 궤도나 구성 원소 등을 알아낸다. 톈원 2호의 전체 임무 기간은 9년 반으로 중국의 우주탐사 임무 중 최장기 프로젝트다. ... ...
맞춤형 렌즈 붙여 초음파 검사 해상도 1.5배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장비에 부착해 인체 모사 물체인 팬텀(Phantom)을 분석한 결과 25마이크로
미터
(1마이크로
미터
는 100만분의 1
미터
) 크기의 미세 구조가 식별됐다. 동일한 초점거리에서 음향렌즈를 부착하지 않은 장비보다 약 1.5배 높은 해상도다. 김용태 표준연 음향진동초음파측정그룹 책임연구원은 "개발된 설계 ... ...
마찰 없이 추력 전달…전기선박용 상반회전 프로펠러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5.27
시스템 개발에도 성공하며 기술 완성도를 한층 높였다. 최대 출력은 65kW로 최대 8
미터
(m) 길이의 하이드로포일 전기선박도 운항이 가능한 수준이다. 기술이 상용화되면 수상택시, 관광용 전기보트 등 소규모 친환경 선박 시장에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연구를 이끈 홍 책임연구원은 ... ...
이산화탄소로 고부가가치 원료 '알릴 알코올' 대량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5.27
효율을 달성했다. 기존 최고 기술보다 효율이 약 4배 높은 수준이다. 전극 제곱센티
미터
단위면적당 1100mA(밀리암페어)를 인가할 수 있는 공정에서 연구팀의 기술은 735.4mA의 부분 전류 밀도와 단위면적 및 시간당 1643μmol(마이크로몰, 1μmol=0.000001mol)의 생산 속도를 기록하며 세계 최고 수준을 ... ...
백령도에서 야생 점박이물범과 눈 맞췄다…"숨쉬기도 조심스러워"
과학동아
l
2025.05.24
'물때'는 오후 2시 30분경. 다행히 시간을 잘 맞췄다. 해변에서 물범 바위까지 족히 수백
미터
는 돼 보였다. 박 단장이 "벌써 많이 올라와 있네요"라며 감탄했다. "5분 뒤면 기자님도 맨눈으로 물범을 알아볼 수 있을 거예요. 제가 알려드릴게요." 점박이물범을 촬영한 사진을 보면 털 색이 짙은 회색인 ... ...
눈 감아도 보인다…야간투시경 역할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2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나노 입자를 이용해 800~1600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
미터
) 파장의 근적외선을 사람이 볼 수 있는 400~700nm의 가시광선 파장으로 변환해주는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이용한 나노입자는 이터븀(Yb)과 에르븀(Er) 같은 희토류 금속으로 ... ...
세포외기질의 동적 구조 정밀 모사 성공…조직 재생 연구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외부 자극에 따라 실시간으로 바뀌는 홈-능선 구조를 가리킨다. 연구팀은 수십 나노
미터
nm 수준에서 홈 폭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비자성 나노소재를 제작했다. 소재 표면에 세포 부착성 리간드(RGD)를 갖는 자성 나노입자를 고분자 링커를 통해 나노입자 내부에 유연하게 결합시켰다. ... ...
머리카락 100분의1 두께 화면에 36개 이미지 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단단하면서도 빛이 잘 통과하는 ‘실리콘 질화물’을 이용해 원자만큼 작은 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
미터
) 크기의 ‘메타원자’라는 기둥을 만들었다. 실험 결과 메타표면 구조를 가진 메타원자는 빛을 정밀하게 제어했다. 빛의 색(파장)과 회전 방향(스핀)에 따라 전혀 다른 이미지를 나타냈다. ... ...
폭발 위험 없는 수소 저장 합금…저장성능 3배·제조비용 10분의 1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연구팀은 일반 주조 공정으로 만든 덩어리 소재를 머리카락 절반 두께인 50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
미터
) 수준의 얇은 금속 칩 형태로 깎아내는 공정을 개발했다. 대량 생산에 적합해 제조 비용이 기존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김 책임연구원은 "별도의 특수 장비 없이도 수소를 안전하고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