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물
에콜로지
환경학
뉴스
"
생태학
"(으)로 총 25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립생태원 원장에 조도순 전
생태학
회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1.09.16
받았다. 1990년 3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가톨릭대에서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한국
생태학
회 회장과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자문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현재는 국립생태원 비상임이사와 유네스코 인간과생물권(MAB) 한국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다 ... ...
코로나 비말 감염 '폐 손상', 접촉 감염보다 훨씬 심하다
연합뉴스
l
2021.08.18
'에 논문으로 실렸다. 먼스터 박사는 NIAID 바이러스학 랩(Laboratory of Virology)의 바이러스
생태학
섹션 책임자다. 연구팀은 몬태나주 로키 마운틴 연구소에서 시리아 햄스터를 모델로 실험했다. 주목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의 노출 경로와 위중 증세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었다. ... ...
안치용 생명硏 책임연구원 제14회 ‘여천
생태학
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안치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세포공장연구센터 책임연구원(사진)이 사단법인 여천생태연구회가 수여하는 ‘여천
생태학
상’ 열 ... 열리는 제76회 한국생명과학협회 정기학술대회장에서 여천생태연구회와 한국
생태학
회 공동 주최로 열린다. 상금은 1000만 원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비너스의 꽃바구니'로 불리는 해면 이야기
2021.08.03
참고로 비너스의 꽃바구니는 물이 빠져나가는 윗부분(대공)도 그물망으로 덮여있다.
생태학
관점에서는 새우가 해면의 창살(골격) 안에서 옥살이하는 게 아니라 천적으로부터 보호를 받으며 더부살이하는 편리공생으로 보는 게 맞을 것이다. 일본사람들은 비너스의 꽃바구니를 카이로도케쯔 ... ...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 뱀 풀어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후쿠시마 원전에 가까울수록 방사성 수치가 높았다. 제임스 비즐리 미국 조지아대 야생
생태학
교수와 토마스 힌튼 일본 후쿠시마대 환경방사능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후쿠시마 인근의 쥐잡이뱀을 후쿠시마 토양의 방사능 오염 모니터링 도구로 삼을 수 있다고 20일 국제학술지 ‘어류 및 ... ...
"토성 위성 엔켈라두스서 메탄 다량 분출…미생물 존재 가능성"
연합뉴스
l
2021.07.07
분출하는 모습. [NASA/JPL-Caltech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대신 지구화학과 미생물
생태학
을 결합해 카시니호의 물기둥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만들어 생물학적 메탄 생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 가운데 어떤 것이 카시니호 데이터와 가장 잘 맞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 ...
작은멋쟁이나비, 사하라 넘고 지중해 건너 1만 4000km 이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2
1만 4000km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이슨 채프먼 영국 엑시터대
생태학
및 보전센터 교수 연구팀은 작은멋쟁이나비를 관찰하고 기상 환경을 분석한 결과 아프리카 중부에서 유럽까지 이주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22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 ...
시카고 건물에 부딪혀 죽은 철새 표본이 밝혀준 이주 시기
연합뉴스
l
2021.06.21
늦어 가을 이주 기간이 많이 늘어난 것도 밝혀졌다. 논문 공동 책임저자인 미시간대학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과 조교수 벤 윙거 박사는 "건물에 충돌한 철새 자료가 봄철 이주가 일러진 증거를 분명하게 보여줘 놀랐다"면서 "전체 자료를 검토하기 전까지는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이주 시기가 ... ...
느려도 이렇게 느릴 수가…‘살아있는 화석’ 실러캔스 50대 후반 임신해 100년간 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8
육상동물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잘 발견되지 않아
생태학
적 특성이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최근에 모습을 드러낸 건 1988년과 1998년 등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간 과학자들은 실러캔스의 수명을 20년 정도로 추정했다. 이는 실러캔스 몸통에 나이테처럼 새겨진 ... ...
'진정한 복수란 이런 것?' 남극 아델리펭귄, 천적 둥지 습격해 알 밟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6.10
메로) 등 95종의 어류와 수십 종의 크릴, 물범, 고래, 바닷새 등이 서식하고 있어
생태학
적 가치가 높다. 이번 관찰 결과는 5월 국제학술지 ‘다양성(Diversity)’ 특별호인 ‘로스해 해양보호구역의 생물다양성’에 게재됐다. 김 책임연구원은 “천적을 공격하는 아델리펭귄의 사례처럼 남극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