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수
못
pond
금담
늪
연지
소택
뉴스
"
연못
"(으)로 총 99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년]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2016.02.12
우리가 헤어질 때 손을 흔들어도 중력파는 방출된다. 이런 현상은 마치 우리가 고요한
연못
에 돌을 던졌을 때 원형의 물결이 퍼져나가는 것에 비유될 수 있다. 중력파의 성질은 전자기파와 비슷하다. 예를 들어 파원으로부터 에너지를 빼앗아 광속으로 전파시킨다는 특성이 같다. 한가지 크게 다른 ... ...
생생한 새의 생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14
주셨어요. 건물 뒤편으로 가자 새들이 놀러와 언제라도 물과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작은
연못
과 새 모이대가 놓여 있었어요. “여기 쌓아 놓은 볏집 보이죠? 아침에 보면 겨울에 배고픈 새들이 날아와 남은 쌀알들을 먹곤 한답니다. 여기서 문제! 이게 뭔지 아는 사람?” 임봉희 부소장이 나무에 ... ...
올해의 사자성어는 혼용무도(昏庸無道)…무슨 뜻? ‘세상이 어지럽고 무도하다’
동아닷컴
l
2015.12.21
이미 알고 있다”라고 밝혔다. 3위는 121명(13.6%)이 선택한 ‘갈택이어(竭澤而漁)’였다.
연못
의 물을 모두 퍼내어 고기를 잡는다는 말로, 목전의 이익에만 관심을 두는 세태를 꼬집는 뜻이다. 이어 달걀을 쌓은 것 같이 위태로운 형태라는 뜻의 ‘위여누란(危如累卵)’이 4위, 판단력이 둔하여 ... ...
“이차전지, 그래핀 등 UNIST 각인시킬 10개 분야 만들겠다”
2015.10.16
정 총장은 노벨상 욕심도 많다. UNIST 캠퍼스 중앙에 자리 잡은 ‘가막못’이라는
연못
에는 다리가 총 9개 있는데, 일부러 다리 이름을 붙이지 않았다. 그는 “노벨상 수상자를 최소 9명은 배출해 다리에 이름을 하나씩 붙였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원 ‘막내’로 출발한 UNIST의 향후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5.09.20
스탠리 밀러가 포즈를 취했다. - 시카고대, 사이언스 제공 ● 다윈의 ‘따뜻한 작은
연못
가설’ 1930년 미국 오클랜드에서 태어난 스탠리 밀러는 캘리포니아대(버클리)에서 화학을 공부한 뒤 1951년 미국 시카고대 대학원에 진학했다. 그의 지도교수는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를 발견해 1934년 ... ...
[수도권]서울대공원 “도전! 멸종위기 금개구리 복원”
동아일보
l
2015.07.10
규모는 약 1600마리. 다양한 형태의 습지 환경과 먹잇감이 풍부한 구로구 궁동생태공원
연못
이 유력한 방사 예정지로 꼽히고 있다. 이상철 인천대 생물학과 선임연구원은 “생태계 ‘미드필더’인 금개구리 복원의 성공 여부는 서울 도심 생태의 건강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고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15
아름다운 공원이란 의미를 가진 ‘세대공감공원’으로 다시 태어났어요. 이제는 작은
연못
과 푸른 잔디밭을 가진 공원이 됐답니다. 그런데 이 공원에는 특별한 시설이 있어요. 바로 ‘곤충호텔’이지요! 곤충호텔은 곤충들에게 농약을 피할 수 있는 피난처를 만들어주자는 목적에서 만들어지기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
2015.03.09
정도로 중요했나. “오늘(5일) 학교에서 전·현직 학생회장들이 모여 축하의 의미로 학교
연못
에 빠지는 ‘입수’ 행사를 했다. 그만큼 과기원 전환이 주는 자부심이 남다르다. 무엇보다 국가의 지원을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어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갖출 수 있다. 당장은 병역특례 혜택을 받는 ... ...
알 대신 올챙이 낳는 개구리, 보셨쎄요?
2015.01.06
지역에서 신종 파충류와 양서류를 찾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어느날 연구팀은 작은
연못
에서 자신의 새끼인 올챙이를 지키고 있는 신종 수컷 개구리를 발견했다. 추가 연구 결과, 이 개구리는 체내수정을 통해 암컷의 몸속에 수정란을 만든 뒤 알 대신 올챙이를 출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
UNIST, 5년 만에 ‘대학의 기적’ 이룬 이유 살펴보니
2014.11.10
학풍도 자연스레 형성됐다. UNIST 캠퍼스 중앙에는 ‘가막못’이라는
연못
이 있다. 이
연못
에는 다리가 총 9개 있는데 UNIST 출신의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면 다리에 이름을 하나씩 붙이기로 했다. 서울 시내 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UNIST에 진학한 장해성 씨(친환경에너지공학부 3년)는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