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으)로 총 2,10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온 환경에서 쓰는 합금, 경제성·경량화 달성동아사이언스 l2024.11.13
- 포스텍 친환경소재학과·신소재공학과 교수(왼쪽)와 김래언 박사과정생(제1저자). 포스텍 제공.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면서 경제성과 경량화까지 달성할 수 있는 합금 설계 전략이 제시됐다. 건축, 기계, 항공우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요한 금속 소재를 개발할 때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 ...
- 암세포 보호하는 T세포 겨냥한 암 치료 물질 발굴동아사이언스 l2024.11.12
- 최소화하면서 항종양 면역 반응을 강화할 수 있는 치료법 개발의 단초다. 논문 제1저자인 샤르마 박사는 "암세포 주변의 Treg가 제한된 조건에서 살아남기 위해 특정 포도당 수송 경로를 활성화하는 것은 흥미로운 발견“이라며 ”GLUT3 기반 치료법이 앞으로 항종양 면역을 강화할 것” 이라고 ... ...
- [과기원NOW] 정두영 UNIST 교수 ‘현대사회 소통법’ 제시 外동아사이언스 l2024.11.11
- 경청 연습을 제안한다. 상대의 말을 진지하게 듣는 경험을 통한 소통 능력 향상법이다. 저자는 언어와 사회성은 훈련으로 개선될 수 있으며 대인관계를 위한 언어는 따로 학습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한다. 책에서는 좋은 질문과 나쁜 질문을 구분하는 법, 정서적 교류를 강화하는 기술 등이 소개된다 ... ...
- 식물도 지구온난화에 순응한다…광합성 능력 향상동아사이언스 l2024.11.11
- 기온이 상승할 때 식물은 광합성 능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켜 탄소 흡수에 기여했다. 제1저자인 지안공 리우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박사는 “개별 잎이나 통제된 환경에서만 관찰되던 광합성의 온도 순응 능력이 생태계 군락 수준에서도 유효했다”며 “식물은 수동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 ...
- 천연물 '세큐린진 B' 최초 합성…분자 광스위치로 응용동아사이언스 l2024.11.11
- 왼쪽부터) 윤동기 KAIST 화학과 교수, 박상빈 석박사통합과정생(제1저자), 한순규 교수. KAIST 제공. 천연물 합성 원리를 기반으로 빛의 파장에 따라 온·오프가 가능한 분자 스위치 신소재 원천기술이 개발됐다. 액정, 분자로봇, 태양에너지 저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 ...
- 200°C 극한 환경서 가스 감지하는 고분자 소재동아사이언스 l2024.11.07
- 자료> doi.org/10.1002/adfm.202408146 (왼쪽부터) 장지수 KIST 전자재료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제1저자인 신준철 연세대 연구교수와 이준우 아주대학교 교수. KIST 제공 ... ...
- 페트병 소재 대체 미생물 플라스틱 생산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4.11.07
- 데 성공했다. 왼쪽부터 KAIST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조재성 박사(공동 제1 저자), 찌웨이루오 박사(공동 제1 저자), 문천우 석박사통합과정생 (공동 제1 저자). KAIST 제공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다양한 폴리에스터 생산 산업공정으로의 응용이 기대되며 유사 방향족 폴리에스터 생산에 ... ...
- 중이온가속기 '라온' 내부 자료, 사립대 교수 논문에 '버젓이'동아사이언스 l2024.11.07
- 소속 연구자가 작성하는 게 관례지만 이번 논문의 경우 외부 사립대 교수가 단독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출연연 원장을 역임한 한 원로 연구자는 “일반적으로 종설논문은 시설 프로젝트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연구자가 작성한다"며 "외부에서 외부자의 성과로 발표된 것은 도덕적으로 ... ...
- 면역항암제 안듣는 난치성 뇌종양 치료길 연다동아사이언스 l2024.11.06
- 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왼쪽)와 제1 저자인 구근본 박사(현재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예방진단기술연구센터 선임연구원). KAIST 제공. 난치성 암종에서 면역항암제가 통하지 않는 원인이 규명됐다. 원인을 제거하자 악성 뇌종양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 KAIST는 이흥규 생명과학과 교수와 ... ...
- 코앞으로 다가온 美 대선…트럼프 지지 뇌는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4.11.02
- 심리학과 교수가 미국 버지니아공대 카릴리온 연구소에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던 당시 제1저자로 참여한 2014년 논문도 히빙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합니다. (doi:10.1016/j.cub.2014.09.050) 10월 7일 서울대에서 만난 안 교수는 "역겨운 감정을 만드는 사진을 볼 때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간의 신경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