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뉴스
"
한쪽
"(으)로 총 8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7977이라는 일련번호로 불리는 이 분자의
한쪽
은 CYPA라는 샤프론 단백질과 달라붙고 다른
한쪽
은 활성 변이 라스 단백질에 달라붙는다. 샤프론은 다른 단백질의 구조를 안정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RMC-7977라는 분자 딱풀(molecular glue)로 CYPA와 라스가 가까워지면서 신호를 전달할 단백질이 ... ...
우주론·빅뱅이론 유효기한 끝났다?…의문 제기하는 천문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미국 해군천문대 연구원은 우주에 분포된 100만개 이상의 퀘이사를 분석하자 하늘의
한쪽
반구가 다른 반구보다 광원이 0.5%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우주가 큰 규모에서 균질해야 한다는 표준 우주론 모델의 가정에 불일치가 있을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는 셈이다. ... ...
일기예보·AI 토대 '확률론' 대가 탈라그랑, 수학계 노벨상 '아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2년 2월 15일 프랑스에서 태어난 그는 5세 때 유전병으로
한쪽
시력을 잃었다. 10년 후 다른
한쪽
도 실명할 위기에 처하면서 6개월 동안 치료를 위해 학교를 결석해야 했다. 이때 실명할 것이 두려웠던 나머지 공부에 매진했고 그 과정에서 수학과 물리학에 대한 재능을 발견했다. 이후 실명 위기를 ... ...
차량정체는 그만…AI로 교통신호 최적화해 통행시간 15% 단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브레인 '유니크(UNIQ)'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기존 교차로 신호 최적화 기술은
한쪽
이 좋아지면 다른 쪽이 안 좋아지는 '풍선효과'를 일으켰다. 또 보행자의 통행시간 등 신호의 제약조건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실제 도로에 적용하기에 어려웠다. ETRI는 대전시와 세종시, 티맵(T-map)의 데이터를 ... ...
우주비행사 10명 중 9명, 우주 공간서 두통 겪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하면서 발생하는 비특이적인 두통이고 편두통은 머리의
한쪽
에만 나타나는 두통을 의미한다. 우주 비행사들은 우주 여행 초반 적응 과정에서 두통이 더욱 자주 발생했고 강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첫 주 발생한 두통은 41건으로 이 중 29건은 긴장형 두통이었고 12건은 ... ...
"아동기에 약시 겪으면 성인기에 대사 질환 나타날 수도"
연합뉴스
l
2024.03.13
있었고 성인이 됐을 때는 정상 시력을 회복한 사람도 마찬가지였다. 약시인 아이들은
한쪽
눈만 시력이 약하고 다른 쪽 눈은 시력이 정상이기 때문에 시력의 이상을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최초의 시력 검사를 받게 되는 4∼5세가 되어서야 약시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눈과 시력은 심장이든 ... ...
[르포] 中·日 방사성 물질, 국토 최끝단서 감시…인력 부족 고충 토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교수는 먼저 방사능을 계측하기 전 시료를 만드는 전처리실을 소개했다.
한쪽
벽에 있는 커다란 수조가 가장 먼저 눈에 띄었다. 정 교수는 " 바닷물 속 핵종인 세슘-137 등을 검출하기 위한 장비"라며 "바닷물 60kg에 세슘을 선택적으로 흡착시키는 물질을 넣어 섞고 가만히 두면 바닥에 노란색 가루가 ... ...
휴대전화 액정 속 공기 방울, 크기만 조절해도 움직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때 서로 다른 크기의 힘이 방울에 전해진다. 방울이 커졌다 작아지기를 반복할수록
한쪽
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구 논문의 제1저자인 김성조 연구원은 "대칭적인 물체가 대칭적인 움직임을 반복하는 것만으로도 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관찰한 것”이라고 강조하며, "액정이 아닌 ... ...
토마토, 파프리카 구분…AI 로봇, 혼자 모종 옮겨 심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7
도입하는 추세다.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은 로봇팔과 자율주행 이동체로 구성된다.
한쪽
로봇 팔은 모판에서 모종을 뽑아내고 다른 팔은 재배용 배지를 파낸 후 모종을 옮겨 심는 자동화 로봇이다. 사람의 도움 없이 독자적으로 모종을 옮겨 심을 수 있다. 사람이 모판을 들고 다니며 ... ...
[주말N수학] 라지 사이즈 피자 시켜야 하는 이유…피자의 수학
수학동아
l
2024.01.13
펴기는 매우 어렵다. 그런데 구부러짐과 펼쳐짐은 서로 독립적인 요소가 아니어서 어느
한쪽
을 조절함으로써 다른 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독일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다. 빼어난 정리는 ‘곡면을 찢지만 않으면 구부리거나 늘려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