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조
사조
경향
추세
기후
스페셜
"
풍토
"(으)로 총 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료제 없는 '코로나19'
풍토
병 될까…"불가능하지 않아"
연합뉴스
l
2020.03.13
치료제와 백신이 없다는 점에서 코로나19는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와 감기 같은
풍토
병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코로나19를 앓고 회복된 사람에게 뚜렷한 면역성이 관찰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이런 비관적인 전망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기온이 오르며 코로나19 유행이 소멸할 거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19 치료제로 떠오른 에볼라 치료제
2020.03.03
에볼라가 처음 발생한 게 1976년이고 그 뒤에도 간헐적으로 일어났는데 아프리카의
풍토
병이라며 외면해 백신도 치료제도 개발하지 않아 이런 비극이 일어났다는 것이죠. 그 뒤 많은 과학자들이 에볼라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죠. 이게 제가 태어난 배경입니다. 렘데시비르(GS-5734)는 ... ...
[인류와 질병]판데믹 시나리오 '이벤트201'이 주는 교훈
2020.02.22
전체 인구의 80~90%가 노출될 때까지 판데믹이 진행된다. 이후 유년기에 호발하는
풍토
병으로 변하게 된다. 이 모델은 적절한 통제 방법이 부재할 경우, 신종 감염병이 어떻게 세계적 대유행으로 진행하는지에 대해 잘 보여주고 있다. 모델은 몇몇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총 300개의 세계 도시와 총 30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철원 책임연구원·박성규 연구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상은 산업현장의 기술혁신을 장려하고 기술자를 우대하는
풍토
를 조성하기 위해 매월 대기업과 중소기업 엔지니어를 1명씩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이 책임연구원은 방산분야에 사용되는 소음기술을 국산화해 국산 잠수함의 수출에 이바지했다는 공로를 인정 받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비행기 타는 게 부끄러운 사람들
2020.01.29
생각이 들었다. 2000년대 들어 급증하고 있는 해외여행은 옛날이라면 지역
풍토
병이었을 전염성 질환이 순식간에 지구촌 팬데믹으로 격상될 수 있는 가능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사태는 이런 우려가 현실이 되는 최초의 사례가 될지도 모른다. 2009년 신종플루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혈압 예방에 유산소운동이 좋은 진화론적 이유
2019.12.17
어릴 때부터 수렵채취인과 비슷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우리나라 교육
풍토
에서는 어려운 일이다. 따로 운동할 시간을 내기 어려운 사람들은 가까운 거리는 걸어 다니고 저층일 경우 계단을 오르내리는 습관을 들이는 게 어떨까. 그리고 심장과 혈압을 생각한다면 헬스장에서도 저항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엄선하여 연구단 구성과 연구 주제에 파격적인 자율성을 보장하며 우리나라 연구
풍토
의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IBS가 출범할 때, 연구비 100억원이 강조된 것은 규모 있는 기초과학 지원에 대한 정책적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정책의지라는 게 초기에는 다소 의욕적이다가도, ... ...
한국 찾은 노벨상 수상자들 "기초과학·젊은 연구자 지원 게을리 말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얼마든지 연구주제로 삼을 수 있었고 그게 노벨상으로 이어졌는데, 최근에는 이런
풍토
가 일본에서도 사라졌다”며 “젊은 연구자들은 승진 점수를 위해 논문을 한 해에도 여러 편씩 쓰고 박사후 연구원 등 (비전임연구자 자리를) 전전해야 한다. 안타깝다”고 말했다.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55년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방문했다. 다행히 다들 제압됐고 유일하게 이탈리아 서부의 큰 섬인 사르데냐에서만
풍토
병으로 자리 잡았다. 첫 번째 아프리카 탈출이 있고 50년이 지난 2007년 흑해 동부 연안의 항구도시 포티에 배 한 척이 닻을 내렸다. 동아프리카의 여러 항구를 거쳐 온 이 배에서 나온 음식 찌꺼기에 ASFV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틸다의 유리천장
2019.08.29
수주 시의 과도한 네트워킹, 특히 근무시간 외의 사적인 자리에서까지 이를 요구하는
풍토
와 이런 결과가 무관하다고 보기는 힘들다. 마틸다 효과, 마태효과의 어두운 측면 펄서를 처음 발견한 조이스 벨 버넬 영국 옥스퍼드대 방문교수. 브레이크스루상 선정위원회 제공 천문학자 조슬린 벨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