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16,6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우리는 심한 자외선 때문에 피부암과 백내장 등 여러 질병에 걸릴 수 있어요.그런데 1980년대 영국의 탐사대가 남극의 오존층에 생긴 구멍을 발견했어요. 이후 위성 관측을 통해 이 구멍이 계속 커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지요.연구 결과 오존층 파괴의 범인은 바로 ‘프레온가스(CFC)’였어요. ... ...
- Part 1. 축제 같았던 2017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가리다!“Oh, my god! Moon blots the Sun!(맙소사! 달이 태양을 가렸어요!)” 지난 8월 21일, 99년 만에 개기일식이 미국 대륙을 관통한다는 소식에 수많은 미국인은 물론 전세계 관광객들까지 미국으로 몰려들었어요. 21일 오전 9시 4분(현지 시각), 미국 태평양 연안에 있는 오리건주에서 마침내 개기일식이 ...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과학적인 영감을 얻는다면 정말 기쁠 거예요. 하지만 한국에서 개기일식을 보려면 2035년이 돼야 합니다. 그나마도 거의 북한에서만 볼 수 있지요. 그래서 난 여러분이 개기일식을 볼 수 있도록 2035년 전에 한국의 정치적 문제가 개선되길 진심으로 소망합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북반구와 남반구를 주기적으로 왕복하게 돼요. 그 모습이 같은 시각, 같은 위치에서 1년간 태양의 위치를 촬영하여 기록했을 때 8자 모양으로 나타나는 ‘아날렘마 현상’과 같아서 아날렘마 타워로 불리게 되었지요. 건물 안은 지상에 지어진 건물과 비슷해요. 쇼핑 시설과 사무실, 농업 구역, 거주 ... ...
- [가상인터뷰] 멸종된 도도새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답니다. 모리셔스 섬에는 먹이가 풍부하고, 천적이 없어 1500년대 이전까지 번성했어요. 날지 못하지만 주로 바닥에 떨어진 과일을 먹으며 살았답니다. 그러다 그 수가 점점 줄면서 100년 만에 희귀종이 되었고, 1681년 마지막 남은 도도새가 목숨을 잃었지요. 일리: 왜 ... ...
- [과학뉴스] 화성에는 돌풍과 함께 눈이 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국제공동연구팀은 화성의 극지방에 밤마다 눈이 내린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2008년 화성에 도착한 탐사선 피닉스호와 화성의 궤도를 도는 두 위성이 보내 준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지요. 피닉스호는 화성의 강수량을, 두 궤도 위성은 온도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대기 상태 정보를 ... ...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기구를 띄워 우주선을 관측하는 ‘크림(CREAM)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어요. 2004년부터 2016년까지 남극에서 총 7번 기구를 띄워 우주선의 종류와 에너지를 측정했지요. 크림 프로젝트에 참여한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박일흥 교수는 “위성보다 싸고 기기를 회수할 수 있어서 기구로 먼저 실험해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작년 개기일식 관측 결과와 비교해 보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019년엔 NASA와 협력해서 성층권에 오르는 기구에 우리가 만든 차세대 코로나그래프를 실어 태양의 코로나를 관측할 계획입니다. 이후에는 국제우주정거장에도 보내서 코로나를 관측할 예정입니다. Q. 어린이들에게 한 ...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해바라기 꽃잎 모양으로 활짝 펼쳐지며 인공 개기일식을 일으키지요. 과학자들은 10년쯤 뒤에는 인공 개기일식을 볼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답니다. 개기일식에 대한 과학자와 시민들의 관심이 이렇게 뜨거웠다니 정말 놀라워. 다음 개기일식은 2019년 7월 남미 지역에서 있대. 뭐? 과학자들이 ... ...
- 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기구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테이프 등으로 매우 간단해서 많은 사람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요. 지난 2015년 11월 18일에는 미국 뉴멕시코주의 화이트 샌즈 사막에서 7명의 사람들이 에어로센을 타고 2시간 15분 동안 비행하는 데 성공했어요. 화석 연료나 태양 전지판, 헬륨, 배터리 없이 오직 공기만을 이용해 가장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