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치"(으)로 총 3,0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지난 8월 14일, 크림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만든 우주선 검출기를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하늘 위로 과학 기지가 둥둥~! 기구의 변신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 ...
- Part 2. 초고속 엘리베이터로 꼭대기까지 빠르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6월 일본의 엘리베이터 기업 히타치제작소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엘리베이터를 설치했어요. 중국 광저우시의 고층 종합 빌딩 ‘CTF 광저우 금융 센터’의 엘리베이터로, 최대 속도는 무려 1분당 1260m(시속 75.6km)나 되지요. 이는 국내 유명 놀이공원에 있는 롤러코스터만큼이나 빠른 속도랍니다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더 발전된 실험을 위해 최근에 초소형 위성을 하나 더 만들었어요. 이번에는 케이블을 설치할 2개의 위성 외에도 엘리베이터의 역할을 할 50cm 크기의 초소형 위성을 제작했지요. 이 위성이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아볼 예정이랍니다. Q. 어린이들에게 한마디 해 주세요!우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서울 석촌 호수에 전시됐던 고무오리 ‘러버덕’을 기억하나요? 이 러버덕은 네덜란드의 설치미술가 폴로렌타인 호프만의 작품으로, 전세계 곳곳에 즐거움을 주기 위해 만들어졌죠. 그런데 원래 러버덕 장난감이 전세계를 떠돌며 해류를 알려 주기도 했단 사실, 알고 있나요? 러버덕의 항해는 199 ... ...
- [과학뉴스] 우리나라 연구팀, 국제 로보컵 대회 우승!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종목이에요. 소프트뱅크사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페퍼’에 각 팀이 개발한 인공지능을 설치해서 총 8개의 임무를 수행해야 하지요. 예를 들어 카페점원 임무는 로봇이 손님에게 음료를 주문받은 후 음료가 완성되면 다시 손님에게 갖다 주는 거예요. 이때 손님이 주문한 음료가 카페에 없을 경우, ...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깊은 곳에 석유 시추 장비를 설치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 낼 풍력 발전소 시설을 설치하는 수중건설로봇을 시험하는 곳이지요. 가벼운 로봇은 1.5t 정도, 무거운 것은 30t 이상인 수중로봇을 바다로 운반하기 전 수조에 넣고 이상이 없는지를 먼저 시험해 보는 거예요. 작년 12월에 완성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공급할지, 온도를 어떻게 제어할지 등을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도록 컴퓨터와 헤드셋이 설치돼 있었답니다. 이정원 팀장님은 “이 통제실에서 각 연구원은 원격으로 자신이 맡은 부분을 조종한다”며, “모든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모두가 제대로 조종해야 발사체 한 대를 우주로 쏘아 보낼 수 ... ...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만든 거예요.디에즈 교수팀은 자신들이 개발한 드론 ‘내비에이터’에 프로펠러 8개를 설치했어요. 프로펠러는 총 4곳에 아래위로 짝을 이루며 돌아가지요. 그러면 아래층 또는 윗층 프로펠러가 수면에 닿을 때 생기는 밀도 차이를 다른 층 프로펠러가 극복해낼 수 있거든요.내비에이터가 공기에서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90m 깊이에서는 사람이 느끼는 압력이 무려 10기압까지 높아지거든요. 배 안에 설치한 조종실에서는 오션원의 팔과 비슷하게 생긴 로봇팔 ●햅틱 장치로 오션원의 팔 움직임을 직접 조절할 수 있어요. 손가락으로 움켜쥘 수 있게 생긴 햅틱 장치는 오션원이 물건을 움켜쥘 때 느끼는 힘까지 그대로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드론’을 활용하지요.프로젝트를 주도한 신 교수는 “현재 대부분의 측정기가 건물에 설치돼 있어서 미세먼지가 생활 매연 때문인지 해외로부터 비롯된 건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며, “드론을 이용해 낮은 고도와 높은 고도의 미세먼지를 동시에 포집하면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을 파악할 수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