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태백성"(으)로 총 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23
- .올해에는 11월과 12월 초저녁에 서쪽 하늘을 보면 밝은 별을 하나 볼 수 있어요. 저녁에는 태백성, 새벽에는 샛별이라고 부르는데 정확하게는 별이 아니고 행성이에요. 바로 금성이지요.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같은 행성도 하늘에 떴을 때 맨 눈으로 보면 별처럼 보인답니다. 그런데 밤하늘에 ... ...
- 금성과 달의 모양 변화과학동아 l201102
- 금성을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부른다. 초저녁에 서쪽 하늘에서 반짝일 때는 개밥바라기, 태백성이라 부르고,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반짝일 때는 샛별, 계명성이라 부른다. 선조들이 새벽 금성과 저녁 금성을 다른 이름으로 부른 것은 둘을 다른 행성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우리 삶과 밀접한 달뉴문, ...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과학동아 l200207
- 해뜨기 전 동쪽하늘에서 빛나는 이 별을 보고 샛별, 명성(明星), 해진 후 서쪽하늘에서는 태백성(太白星), 개밥바라기라 불렀다. 또 서양에서는 미와 사랑을 주관하는 여신의 이름을 따 비너스라 불러왔다.왜 금성은 서쪽하늘과 동쪽하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지구보다 안쪽 ...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과학동아 l200006
- 반사하기 때문이다.금성이 새벽 동쪽하늘에 보일 때는 샛별,저녁 서쪽하늘에 보일 때는 태백성이라고 한다.하지만 자정이 가까운 한밤에는 결코 금성을 볼 수 없다.그 이유는 무얼까.우리가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 살고 있다면,그래서 금성이 지구 둘레를 돌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이 질문에 답하기 ... ...
- 신화속의 태양계과학동아 l199902
- 사람들은 해뜨기 전 동쪽하늘에 보이는 금성을 샛별, 해진 후 서쪽하늘에 보이는 금성을 태백성이라고 했다. 그런데 그리스인들은 금성을 천체 중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한 까닭에 미의 여신의 이름을 붙인 듯하다.그리스인에게는 행성이었던 태양태양신 헬리오스(Helios)는 네 마리의 말이 달린 ...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과학동아 l199506
- 맨눈으로 관측가능한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 다섯 행성들을 옛날에는 진성(辰星) 태백성 형혹성 세성 진성(鎭星)으로 불렸다. 셋째로 금성이 낮에 보였다는 태백주현(太白晝見) 기록이 있다. 태백주현과 행성의 엄폐현상은 계산을 통해 실현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시 중요한 자료이다 ... ...
- PART3 초신성 폭발의 드라마과학동아 l198707
- 한국인이 발견했다는 견해도 있다. '조선왕조실록' 및 '천문전고'(天文典故)에는 '모양은 태백성과 같고 빛은 누르고 붉은' 새로운 별이 나타났다가 점차 작아졌다는 기록이 있다는 것이다. 초신성의 발견 연도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지 모른다. 왜냐하면 그것은 단지 폭발한 별에서 나온 빛이 오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