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혈연"(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07
- 가까운 혈연을 그냥 도와주면 그만이지 굳이 먼 혈연 혹은 생판 남을 공격해 가까운 혈연에 부수적인 이득을 주는 행동이 자연계에서 흔히 진화하리라고 기대하긴 어렵다. 실제로 해밀턴은 1970년 ‘네이처’에 낸 논문에서 극도로 쪼그라들어 멸망 직전의 개체군에서나 악의가 잠시 나타나리라고 ... ...
- [Info] “협력적 분위기를 만들 묘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07
- 여부가 아니라 ‘유전자’에 이로운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는 내용이다. 가족 등 혈연 관계에 있는 사람의 경우, 상대방에도 나와 동일한 유전자 복제본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타적 행동이 퍼져나갈 수 있다. 해밀턴은 이를 ‘포괄적합도’라는 개념과 수식으로 설명했고, 이를 통해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06
- 프라이스는 브라질에서 연구를 하던 해밀턴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의 수식을 쓰면 혈연 선택 이론의 결과를 더 분명하게 도출할 수 있다고 힌트를 준 바 있다. 런던에 돌아와 1869년 7월에 프라이스와 통화한 다음, 해밀턴은 우선 이 문제에 매달려 짧은 논문을 완성했다. 프라이스 방정식으로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05
- 초고는 악의는커녕 이기성도 다루지 않았던데요?” 그리고 해밀턴은 덧붙였다. “사실, 혈연 선택에 대해서는 아예 일언반구도 없더군요.” 프라이스가 답했다. “맞습니다. 나중에 다 하려고요. 스미스 교수님이 제게 연구할 공간을 주셨습니다….”프라이스가 헛기침을 했다. 뭔가 긴히 할 말이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04
- 하지만) 도출하는 법을 찾았습니다.” 이 말은 지나친 겸손이었다. 프라이스는 그저 혈연 선택 이론을 말끔히 수리한 개정판이 아니라, 자연 선택을 계층적으로 분석하는 전혀 새로운 일반식을 발견했다. ‘프라이스 방정식’으로 명명된 이 식을 사용하면 “읽을 책이나 듣고 싶은 라디오 채널을 ... ...
- [Origin] 사기꾼에게 한 번 속지, 두 번 속나?과학동아 l201702
-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에서 가상의 새를 들어 상호성의 원리를 설명했다. 이 새들은 아주 위험한 전염병을 옮기는 진드 ... 아닌 동물에서도 상호성이 작동함을 명쾌히 입증하지도 못했지만, 그는 비친족간의 관계도 혈연 관계 못지않게 중요함을 최초로 밝혔다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01
- 혈연은 매우 중요하다. 피는 물보다 진하니까 말이다. 하지만, 인간 사회의 협력은 혈연으로만 설명할 수는 없다. 인간은 피붙이가 아닌 상대도 자주 도와준다. 목욕탕에서 처음 본 사람의 등을 밀어주기도 하고, 얼굴만 알고 지내는 직장 동료에게 점심을 사기도 한다. 비친족간의 협력을 어떻게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12
- 만큼 어렵기(도킨스, 1989년)” 때문인지 그 가설은 엄청나게 널리 전파되었다. 오늘날 혈연에 대한 이타성을 다루는 모든 과학대중서나 생물학 교과서는 단수이배성 가설을 언급하고 있다. 부작용으로,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이론은 벌목에 속하는 곤충(개미, 벌 등)에서 극단적인 이타성이 왜 자주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11
- 스미스는 할데인 대신 해밀턴의 손을 흔쾌히 들어주었다!할데인이 해밀턴보다 먼저 혈연 선택의 원리를 이해한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그 아이디어의 소유권은 마땅히 해밀턴에 돌아가야 함을 나는 전혀 의심치 않는다. 과학의 핵심은 어떤 아이디어에 대한 단순한 이해보다는, 그 아이디어가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11
- 아닌 친척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신원 확인이 더더욱 어려워진다. 혈연 관계가 멀어질수록 공유하는 유전자 비율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성염색체를 활용하기도 한다. 성염색체 중 Y 염색체는 아버지에서 아들로만 전해진다. 돌연변이 가능성을 배제한다면 아들과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