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산수"(으)로 총 87건 검색되었습니다.
-
- [가상 인터뷰] 물고기도 덧셈, 뺄셈이 가능하다고?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열대 담수어예요.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제브라 음부나가 덧셈과 뺄셈을 할 수 있대요. 산수 하는 물고기 제브라 음부나를 만나 봅시다! Q.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아프리카 말라위 호수에 사는 열대어예요. 몸길이가 최대 12cm로, 19개의 가시로 이뤄진 등지느러미가 특징이지요. ... ...
-
- [논문탐독] 서로의 몸을 이해하다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과학동아 l2022년 04호
- 한스는 다른 말과 달리 특별한 능력이 있었습니다. 바로 곱하기와 나누기 같은 간단한 산수를 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제곱근을 구하고, 특정 색의 물건 수나 음악 속 특정 음정의 수를 묻는 문제에 정확한 답을 내놓았던 것입니다. 인간이 질문을 던지면 한스는 발굽으로 바닥을 두드리는 횟수로 ... ...
-
- [이달의 수학자] 정수론 난제의 해결사,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살 때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 형과 누나에게 산수와 영어를 알려주곤 했죠. 부모가 어떻게 산수와 영어를 알게 됐는지 묻자 타오는 TV 프로그램을 보고 배웠다고 답했습니다. 이후에도 타오는 남다른 재능을 보였습니다. 8세에 미국 대학수학능력시험(SAT) 수학 과목에서 800점 만점에 760점을 받았죠. ... ...
-
- [SF 소설] 생명의 노래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수 있었지만, 특이한 점은 색채였다. 한마디로 표현하면 이곳의 풍경은 마치 먹으로 그린 산수화 같았다. 검은빛의 짙고 옅음만 있을 뿐 어디를 봐도 인간의 눈에 익숙한 색은 없었다. 하다못해 맑을 때의 하늘조차 희뿌연 빛깔이었다. 키가 큰 나무가 - 생물학적으로는 지구의 나무와 전혀 다르지만 ... ...
-
- [수학자 인터뷰] “수학은 세상에 대한 이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교수는 “애초에 수학에 대한 관심을 이과나 문과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며 “산수부터 중대한 의사결정까지 수학이 필요한 순간이 많아지면서, 배워온 교육과정과 상관없이 수학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대중과 소통하는 이유? “재미!”2018년 김 교수가 출간한 책 ... ...
-
- Part 1.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대동여지도에 비교하면 자세하지 않은 소축척 지도다. 김정호는 이러한 전통적인 산수 지도의 제작 기법을 계승·발전시키고, 목판으로 인쇄해 누구나 종이에 찍어서 가질 수 있게 대중화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오늘날의 내비게이션처럼 말이다. ● 최영준 기자의 순전히 과학적인 ...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보다 많은 사람이 백신을 맞아야 질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홍역의 경우 기본감염재생산수가 약 15이기 때문에 V=1- 1/15로 계산하면 약 94%보다 많은 사람이 백신을 맞아야 질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좀 더 정확하게 구할 때는 백신의 효과를 추가로 고려한다. 백신을 맞는다고 ...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외계인이 숫자를 아는 지적 생명체인지 알 수 있다.다음은 덧셈, 뺄셈 같은 간단한 산수를 가르친다. 이때 ‘질문과 답’, ‘맞다와 틀리다’ 같은 개념도 알려줄 수 있다. 부등호로는 ‘크다와 작다’와 같은 개념 및 ‘훨씬’ 같은 비교 개념까지 알려줄 수 있다.작가는 수학으로 수학적인 대화가 ... ...
-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러시아 수학자 소피아 코발레프스카야도 마찬가지예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산수를 배우는 게 고작이었죠. 수학 공부를 하고싶어 독일의 하이델베르크대학교까지 찾아갔지만 입학을 허락하지 않았어요.독일 수학자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도움으로 논문을 발표했어도 남편의 상점에서 ... ...
-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예를 들어 ‘대퇴골의 길이는 키의 약 27%’라는 통계를 이용하는 것이지요. 즉, 기본적인 산수만 할줄 알아도 시체의 키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김전일의 추리처럼 상반신과 하반신이 서로 다른 시체에서 온 것이라면, 위팔뼈와 넙다리뼈로 각각 구한 시체의 키가 다르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