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천문학자"(으)로 총 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집에서도 미국 그리피스 천문대를 재미있게 구경할 수 있다고?기사 l20250915
- 왜 달걀을 들고 있냐고요? 저야 모르죠.ㅋㅋㅋㅋ) 여기는 천문대 앞쪽이에요. 어때요? 웅장하죠? 저 앞 탑에 있는 동상은 유명한 천문학자 6명(히파르코스,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케플러, 뉴턴, 허셜)의 동상이라고 해요. 준비 완료!!!!!!!!!! 그리피스 천문대 탐험 준비 끝!!!!!!! 이제 진짜로 들어가보아요. 아, 먼저 지도를 ...
- NASA도 주목한 우주기업, 텔레픽스를 가다기사 l20250601
- Hubble의 우주팽창론 1929년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이 은하들이 후퇴하고 있음을 관측해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천문학자의 이름을 딴 Hubble Space Telescope가 1995년에 찍은 사진이 Hubble deep field이고 이후 2003년에 찍은 사진 Hubble ultra deep field인 ...
- [우주기자단] 텔레픽스 함선정 이사님의 강연을 듣고기사 l20250528
- 정지궤도 제가 저번에 저궤도와 정지궤도에 대한 기사를 쓴 적이 있었는데요, 저궤도와 정지궤도의 원리를 요하네스 케플러라는 천문학자가 발견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습니다. 케플러 제 3법칙에 따르면 행성이나 위성이 항성이나 행성 주위를 공전할 때 가까이 있을수록 빨리 돌고 멀리 있을수록 천천히 돕니다. 저궤도는 500~1500km 정도의 고도이고 ...
- 드레이크 방정식을 아시나요?기사 l20250518
- 현재 우리 은하에서 탐사 가능한 외계 문명의 수를 나타냅니다. R∗는 우리은하에서 1년 동안 태어나는 별의 개수를 의미하는데요, 천문학자들은 우리은하에서 최소 1년에 1개 이상의 별이 태어난다고 해요. fp는 그 별이 행성계를 가질 확률이고 별에 행성계가 존재할 확률은 20% 정도입니다. 그리고 ne는 그 별에 속한 행성계에서 생명에 접학한 환 ...
- 별의 밝기가 다른 까닭기사 l20250325
- 별의 크기, 온도, 나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별의 실제 밝기(절대 등급)를 안다면 그 별의 온도, 크기, 나이 등을 알 수 있으므로 천문학자들은 지구에서 보는 별의 밝기(겉보기 등급)보다 별의 실제 밝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집니다. 과학자들이 별들의 진짜 밝기를 비교할 수 있도록, 모든 별이 같은 거리(약 32.6광년)에 있다고 가정하고 ...
- 지구는 왜 둥글까?기사 l20250324
- 제시되었습니다. 이러한 초기 관찰들은 후에 많은 과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측정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둘레를 측정한 최초의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알렉산드리아와 시에네 두 도시에서 태양의 남중 고도를 비교하여 지구의 크기를 계산했습니다. 그의 측정 결과, 지구의 둘레는 약 40,000 ...
- 은하의 역사, 종류와 밀코메다기사 l20250120
-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진 - 위키미디어 "안드로메다은하" 1. 은하의 발견 은하 발견은 '메시에 목록'에서 출발합니다. 당시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는 혜성을 찾다가 찾은 혜성과 비슷한 천체들을 바탕으로 목록을 하나 만듭니다. 이 목록은 대부분이 성운(별이 태어나는 가스와 에너지 덩어리)과 성단(별들이 촘촘히 모여 있는, 또는 모여 ...
- 단편소설포스팅 l20241207
- 하신븐 리퀘해드릴게욥별로더라도 잘 읽어주세요(?) 별, 그웬은 별이 되고 싶다고 했다.결국 소원을 이뤘지만 그웬의 꿈은 천문학자였다.어려서부터 우주에 관심이 많았고확실히, 그웬은 재능이 있었다. 하지만 그건 다른사람들의 생각이였다.그웬은 천문학저보다는, 하늘의 별이 되고 싶다고했다몇십 몇백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는 별들처럼매년 매달 매주 ...
- 시험 4일전에 하는 백문백답포스팅 l20241205
- . 요즘 가장 하고싶은 것 학교축제 나가긱18. 연하vs동갑vs연상 몰라19. 내 목표(꿈, 장래희망) 천문학자20. 자기 전에 마지막으로 하는 일 눕기21. MBTI intj22. 습관, 버릇 없어23. 취미 천체관측24. 특기(잘하는 것) ...
- 소행성 2024 PT5: 지구의 새로운 미니문기사 l20240922
- 소행성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중요한 연구 대상입니다. 2024 PT5는 우리가 우주에서 만날 수 있는 작지만 흥미로운 손님으로, 천문학자들은 이를 통해 소행성의 궤도와 물리적 특성에 대한 귀중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주연 기자 참고 : SPACE NEWS- https://www.space.com/earth-mini-moon-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