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연구팀은 추정했다. 실제로 금개구리가 발견된 수생식물원 연못은 애기부들, 자라풀, 개구리밥이 풍부하게 자라있었다. 처음 금개구리를 방사한 지역은 전반적으로 먹이가 풍부하고, 농약 등에 노출될 위험이 없어 금개구리가 살기 좋은 환경이다. 하지만 서식조건이 맞지 않다고 판단되면 이렇게 ... ...
- 피부의 천적 가려움증과학동아 l2006년 02호
- 들 수 있다. 지부자는 댑싸리의 열매이고, 지실은 탱자나무의 어린 열매 그리고 부평초는 개구리밥을 말린 것이다. 이런 약물은 오래전부터 피부질환과 두드러기에 사용돼 왔는데, 실험적으로도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만성 피부질환의 영역에서 한방 치료를 통해 ... ...
- 반가워, 서울숲의 친구들아!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5호
- 살고 있어요. 연못 주변에 자라고 있는 갈대, 물억새, 창포, 연꽃과 물에 떠서 살고 있는 개구리밥, 부레옥잠, 물 속에 살고 있는 가래, 검정말, 부들과 같은 식물들은 오리들의 집도 되고 먹이도 되지요. 뿐만 아니라 연못에 사는 곤충과 물고기들의 집과 먹이가 되겠죠? 내년 이맘때쯤 연못을 다시 ... ...
- 생태계에 꼭! 필요한 작은 생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5호
- 살펴보면 가늘고 긴뿌리를 관찰할 수 있어요. 개구리의 입 주위에 흔히 붙어 있어서 개구리밥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답니다.장구벌레더러운 물이 고여 있는 웅덩이나 하수구의 물 속을 자세히 살펴보면 발견할 수 있어요. 장구벌레는 모기의 애벌레예요. 크기는 1cm가 안 되며 몸 색깔은 옅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장풍이팀 - 240728 - 2탐사기록 l20240728
- 작은 물가의 개구리밥 연꽃 사이에서 자라고 있던 나방 애벌레라고 합니다. 이름은 잘 모르겠습니다.@서초문화예술공원 ...
- 지사탐 수생식물 특별탐사 현장 교육- PEBI기사 l20240706
- 관찰하며 연구원님께 설명을 들을 수 있어서 재밌었습니다. 일월저수지에서 관찰했던 수생식물들입니다. 저는 마름과 좀개구리밥, 잠자리수채를 채집해 관찰했었습니다. 저수지를 왜 조사해야하는지, 저수지에 어떤 생물들이 살고 있는지 배울 수 있었고 채집닻을 이용해 물 속 수생식물을 채집해보는 시간이 즐거웠습니다. 수생식물 현장 교육 이 후에 여행지에서 ...
- 주디의쑥인절미 - 240526 - 3탐사기록 l20240526
- 모내기를 마친 논 코너에 개구리밥이 많이 자라고 있었음. ...
- 빡세게 탐사!노랑빛 우승! 은행팀의 가을캠프기사 l20231017
- 식물 (갈대, 부들) 부엽식물- 잎은 물위에 떠 있는 식물 (수련, 마름) 부유식물-물에 둥둥 떠다니거나 뿌리가 물에 떠있는 식물 (개구리밥, 부레옥잠) 침수식물-물에 완전히 잠긴 식물 (붕어마름, 검정말) 이외에도 수생생물교육중 본 식물은 자라풀, 생이가래, 보풀, 붕어마름 ,검정말, 물질경,통발, 니텔라 등등 많은 식물에 대해 설명해 주시 ...
- 2023 지구사랑탐사대 가을 캠프기사 l20231016
- 식물 (수련, 어리연 등) 잎, 줄기는 물 위에 떠있고 뿌리는 물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3) 부유식물 : 물 위에 둥둥 떠다니는 식물 (개구리밥, 생이가래 등) 입, 줄기가 물 위에, 뿌리가 물 속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둥둥 떠다님 (4) 침수식물 : 물 속에 있는 식물 ( 검정말, 물수세미, 붕어마름) 잎은 부들부들하고 물 속에 있고,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