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뉴스
[의학바이오게시판]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9월 22일부터 시작 예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6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이번 접종은 다가오는
겨울
인플루엔자 유행에 대비해 감염됐을 때 중증화 위험이 큰 6개월~13세(2012년 1월 1일~2025년 8월 31일 출생자)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어르신을 대상으로 무료로 실시된다. ... ...
"우주 태양광이 유럽 전력 비용 15% 절감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8.21
줄이고 전체 그리드 시스템의 총 비용을 7~15%까지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겨울
철에 에너지를 보충하는 데 필수적인 수소 저장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런 수준의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 NASA가 추진하는 두 가지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과기원NOW] UNIST, 덕산그룹 이준호 명예회장 기부금 300억 완납 기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우수한 성과를 거둔 학생에게 '2026 한국화학올림피아드
겨울
학교'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
겨울
학교에서 최종 선발되면 국가대표가 돼 국제대회에 참여할 수 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인공지능(AI) 기반 농식품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MOU ... ...
북극곰, 인간이 배출한 수은의 종착지
과학동아
l
2025.08.09
수은의 마지막 종착지가 되는 것이다. 바닷물이 얼어서 생기는 북극 해빙은 가을에서
겨울
철 발달했다가 봄과 여름철엔 줄어든다. 기후학계는 2030년 북극 해빙이 완전히 녹을 거라 예상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해빙이 사라지면 인간에게 되돌아올 수은 수은 배출량은 분명 감소하고 있다.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백악기 북극에서 공생한 새와 공룡
동아사이언스
l
2025.06.01
연구팀은 "북극에서 조류가 번식했다는 증거 중 가장 오래된 사례"라며 "오르니투라에가
겨울
을 나는 데 적합하기 때문에 백악기 말에 일어난 생물체 대멸종에서 생존해 현대 조류로 다양화되는 데 유리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 doi.org/10.1126/science.adt518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서머타임은 과연 과학적일까
2025.04.02
따라서 유럽과 미국에 맞추겠다고 굳이 서머타임을 채택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오히려
겨울
철 많은 사람이 어두컴컴할 때 하루를 시작하므로 역으로 이때 한 시간을 늦추는 '윈터타임'을 실시하는 게 어떨까 싶다. ● 평이 여전히 쓰이는 이유 그러고 보면 미국은 도량형에서도 유독 고집스럽게 ... ...
[헬스토크] 봄철 피부 관리, 팩 오래 붙이면 오히려 건조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3.03
시 마스크를 착용해 외부 오염물질을 애초에 차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봄에는
겨울
보다 피지 분비가 많아지니 너무 무거운 스킨케어 제품보다는 가볍고 산뜻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오일 성분이 많은 제품보다는 유·수분 밸런스를 맞춘 제품이 좋다는 것이다. 마스크팩은 봄철 ... ...
[헬스토크] 심각한 수족냉증, 사실 ‘이 질환’ 일 수 있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5.02.15
손발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겨울
철에는 손과 발이 차가운 증상인 수족 냉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전문가들은 손과 발이 차가운 증상이 단순히 수족 냉증이 아닌 말초혈관 수축 문제인 ‘레이노증후군’일 수 있다며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소 생소할 수 있는 레이노증후군에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특집] 비둘기 먹이주기 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먹이를 줄여 번식률을 떨어뜨리기 위해서예요. 비둘기는 먹이원이 충분해지면 추운
겨울
철을 제외하고 언제든지 번식할 수 있습니다.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야생동물연구실 최순규 연구원은 “주로 자연에 사는 멧비둘기는 1년에 한두 번 번식을 하는 반면, 도심에서 먹이를 풍족히 먹는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슬기로운 탄소 배출 생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에너지 지킴이’를 맡았어요. 급식실에 가거나 체육관에 갈 때 여름에는 에어컨을,
겨울
에는 난방을 끄는 것을 가끔 잊곤 하죠. 에너지 지킴이가 교실에서 나가기 전 에어컨과 난방 전원을 꼼꼼히 확인해 주는 덕분에 낭비되는 전기에너지를 줄일 수 있었답니다. 또, 학생들은 간접 배출을 ... ...
[통합과학 교과서] 꽃이 피지 않아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새의 눈에 맞게 빨간색 꽃을 피우도록 진화했다”고 덧붙였습니다. # 에필로그 “
겨울
내내 식물들을 따뜻한 곳에 놨다가 옮겨 심었거든요. 그래서 꽃을 피우지 않았나 봐요.”꿀록 탐정의 설명을 들은 메리가 말했어요.“봄꽃을 피우는 식물들을 낮은 온도에 두었다가 다시 정원으로 옮겨 심으면 ... ...
[헷갈린 과학] 같은 목표, 다른 방식?! 가습기 vs 제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호흡기 건강을 지킬 수 있어요. 따라서 습도가 낮고 난방으로 건조해지기 쉬운 계절인
겨울
철에 가습기가 주로 쓰입니다. 제습기 : 습기는 가습기와 반대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해 습도를 낮추는 장치예요. 여름철의 덥고 습한 환경은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곰팡이가 번식하기 쉽기 때문에 습도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저보다 방학 기신분
포스팅
l
20250823
저희 학교는 본교에서 분교로 가는 거라 방학이 길더라구요.저희 방학기간이 7월26일~9월1일까지 에요저보다 방학기신분 계시면 댓글 적어주세요.아 근데 여름방학이 이렇게 길면
겨울
방학이 짧은 거 아녜요?쓰읍... 망했는디.... ...
마곡 에코 롱롱 탐방: 친환경 건축 속에서 만나는 살아있는 과학 이야기!
기사
l
20250822
물을 담고 컵의 외부 온도를 측정했습니다. 쇠컵이 가장 뜨거웠지만, 놀랍게도 이중 쇠컵은 가장 덜 뜨거웠습니다. 이는 우리가
겨울
철 사용하는 '보온병'의 원리와 같다는 설명을 들으며 과학 원리가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깨달았습니다. @김도윤 촬영 단열재 실험도 흥미로웠습니다. 단열재를 넣은 모형집과 넣지 않은 모형집을 만들어 온도를 비교했는 ...
캐나다 설상차에서 만난 눈과 지구 온난화
기사
l
20250822
때문이에요. 지구가 점점 더워지면서
겨울
도 짧아지고, 눈과 얼음이 녹는 속도도 빨라지고 있대요. 눈이 빨리 녹으면 땅과 식물,
겨울
을 나는 동물들에게도 큰 영향을 준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지구를 지키기 위해 온실가스를 줄이고,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그럼 우리도 지구를 위해 작은 실천을 해볼까요?지구를 ...
아름다운 제주도와 우도
기사
l
20250821
‘숨골’이라는 냉장고 겸 정수기인 곳이 있습니다. 숨골은 현무암 돌덩이 사이에 공기가 지나다니는 곳으로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
엔 따뜻하게 곶자왈을 만들어 줍니다. 그래서 따뜻한 곳에 사는 식물과 시원하고 추운 곳에서 사는 식물을 동시에 만날 수 있습니다. 또 비가 오면 돌 사이로 물이 들어가 지하수를 만들고 그것이 저희가 먹는 제주 삼다수가 된다 ...
계절
포스팅
l
20250817
일단 저는 가을이 더 좋아요!왜냐하면 1번째 이유는
겨울
은 너무 춥고 여름은 너무 더워서 딱 덥지도 않고 춥지도 않아서 좋아요 !가을은 친척의 생일이 많아서 많이 축하를 하러 놀러갈 수가 있답니다!그리고 추석때에 친척들과 모아서 놀수도 있어서 좋아요!맛있는 과일 채소가 많아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