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개
터널
지하도
둥굴
굴혈
소굴
숨는 곳
뉴스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 소재, 남극 홍조류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상용화를 위해 대량 배양 기술 확보와 후보물질 추출 효율 증대, 유사 국내 해조류 발
굴
등 추가 연구를 수행 중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머티리얼스 투데이’ 최신호에 게재됐다. 국제 특허 출원도 진행 중이다. 신형철 극지연구소 소장은 “극한 환경이 빚어낸 남극 생물은 신비로움 ... ...
7배 늘어나도 끄떡없는 전자기판, 나무뿌리에서 아이디어 얻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06
확보한 전자기판을 개발한 연구진. 왼쪽부터 KAIST 박인규 교수, 김혜진 연구원, 오스만
굴
박사과정생, 김택수 교수. KAIST 제공 나무뿌리가 흙에 단단히 고정되는 구조를 모방해 최대 700%까지 늘어나는 신축성을 가진 전자기판이 개발됐다. 스마트 저항 밴드와 스트레처블 발광다이오드(LED)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데 걸림돌 '인 문제' 해결됐나
2025.03.05
할 때 조건인 10~100밀리몰농도의 1만분의 1 수준이다. 1955년 미주리대 생화학자 애디슨
굴
릭은 이런 인 부족이 생명의 기원 미스터리를 푸는 데 병목 현상으로 작용한다며 이른 '인 문제(P problem)'라고 불렀다. 그 뒤 70년 가까이 생명의 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그런데 ... ...
[동물do감] 6년간 관찰한 아기 북극곰이 조우한 세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라고 설명했다. 루이스 아처 북극곰인터내셔널 생태학자는 "연구는 북극곰의
굴
서식지와 이동 경로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도출하는 데 도움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02/jwmg.2272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데 걸림돌 '인 문제' 해결됐나
2025.03.05
할 때 조건인 10~100밀리몰농도의 1만분의 1 수준이다. 1955년 미주리대 생화학자 애디슨
굴
릭은 이런 인 부족이 생명의 기원 미스터리를 푸는 데 병목 현상으로 작용한다며 이른 '인 문제(P problem)'라고 불렀다. 그 뒤 70년 가까이 생명의 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그런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
굴
광성'의 비밀
2023.12.13
세기의 감소 기울기가 가파르다. 반면 파란빛이 변이체 식물체의 하배축을 지나갈 때는
굴
절률이 1.42(세포벽) → 1.33(세포질) → 1.42(세포벽) → 1.33(세포 사이 액체) → 1.42(세포벽) → 1.33(세포질) → 1.42(세포벽) → 1.33(세포 사이 액체) 식으로 바뀌어 빛이 별로 흩어지지 않는다. 그 결과 하배축 반대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커다란 벽에 막혀 갈 수 없게 되어 통행이 가능한 길로만 다닐 수 있게되는 것과 같다.
굴
돌렌 교수 연구팀은 사이키델릭 약물이 PTSD나 중독과 같은 단단한 기억들을 변화시키고 사라지게 만들 수 있는 만큼 결정시기 이후에 크게 감소한 생쥐의 사회보상학습효율을 역전시켜보고자 하였다. 20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많은
굴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살다 보면 어떤 대상이나 상황을 대할 때 선입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걸 깨닫곤 한다. 생체 분자인 타우린도 그런 경우로 오징어에 많이 들어있다거나 감성을 자극하는 CF로 유명했던 한 에너지(피로회복) 드링크의 주성분이라는 걸 알았음에도 별로 궁금하지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않도록 막는 한편 수컷의 정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작용하도록 유도했죠.자연선택의
굴
레에선 살아남은 자가 ‘자연스럽다’과학자들은 이제 성별을 ‘떡 주무르듯(?) 변화할 수 있는 대상’이라고 여기며 ‘성적 가소성’이라는 개념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쥐의 경우, 암컷의 형질을 ... ...
[가상인터뷰] 계절별미 ‘흰개미’ 즐기는 침팬지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잡혀서, 또는 그 시기에 맛이 유독 좋아서. 저희는 전자예요. 흰개미는 비가 오면 흰개미
굴
내에서 활동량이 많아져요. 그때 낚시를 하면 흰개미를 더 잘 잡을 수 있죠. 즉, 흰개미는 비가 많이 오는 우기에 먹을 수 있는 계절 별미랍니다. 조만간 다시 비가 오면 어서 흰개미 낚시를 나서야겠어요 ... ...
[기획] 불빛에 몰려드는 벌레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하여 2천 개가량 알을 낳아요. 2주 후 알에서 태어난 유충은 1~2년간 유속이 느린 강에서
굴
을 파고 살다가 성충이 되고 짝짓기를 위해서 불빛으로 날아듭니다.따라서 하루살이의 대량발생은 해가 지는 대여섯 시경 하루살이 유충의 주요 서식지인 북한강과 한강 유역이 만나는 곳에서 주로 ... ...
[최신이슈] 과학은 가끔 혼돈의 카오스 위를
굴
러야 한다, 트라젝토이드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동일하게 맞춰야 하기 때문에 어려웠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반 바퀴를
굴
린다고 생각하면 문제가 쉬워집니다. 트라젝토이드의 중심축의 각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냥 지면에 닿는 지점만 생각하면 됩니다. 3차원 공간을 고려해야 했던 문제가 순식간에 2차원 평면으로 차원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팝플 소신발언
포스팅
l
20250317
바입니다.또한 '캐신' 문화도 이런 작품들의 쇠퇴에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합니다. 옛날 네임드 작품들을 생각해보세요. (톳치*카게, 정*
굴
, EP*가 한 시대 작품이라니 가슴이 웅장해진다) 캐신 없이 오로지 자신의 캐릭터로 만든 작품이 대다수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캐신 문화가 확산되면서 무작정 캐신을 받고 작품 스토리에 끼워넣으려니 힘들고, 연 ...
과천 과학관에 있는 파충류 4형제
기사
l
20250303
멋진 비어디드 드래곤 학명: Pogona Vittceps 특징: 목주위에 가시 같은 비늘이 발달한 것이 특징이에요. 마치 소설속 드래곤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외모와 달리 비교적 온순한 성격 이에요 먹이: 귀뚜라미, 슈퍼밀웜, 애호박 등등 귀 ... 뾰족한 가시가 있는 게리 스파니테일 리자드 학명: Uromastyx Geyri 채식을 하는 도마뱀으 ...
래빗홀에 관한tmi
포스팅
l
20250225
1.많은 사람이 레빗홀이라 부르지만 바른 표현은 래빗홀이다.레빗홀은 잘못된 표현이다. 2.래빗홀은''토끼 구멍'' 이란 뜻인데 내가 생각하는 그 구멍이 아니라''토끼
굴
''이란 뜻이다.난 여태 다른 것(!!!)으로 생각했다는 건 안비밀... 3.더 표시할 것이 없다그럼20000ㅃ2 ...
갤러리 첫 그림->현재
포스팅
l
20250222
네.. 정령
굴
완결 축전입니다.. 하핫.. 2023년꺼에요 그리고 방금 그린 것 입니다 퇴화했군요 ...
[기사콘 챌린지] 나만의 장을 만든다면
기사
l
20250208
나온 음식인 '마장면'의 재료입니다. 춘장과 비슷한 '첨면장'을 깨로 담근 것과 같은 느낌이라고 합니다. 요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
굴
소스'도 장입니다. 비슷한 느낌으로 'XO장'이 있는데, 홍콩에서 만든 중화요리용 소스라고 합니다. XO등급(최고급) 코냑(술)에 필적하는 소스라서 'XO등급'을 따 XO소스라 불리운다 합니다. 많은 향신료를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