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빛 세기 자유자재로 조절
나노
광소자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조절하듯 빛의 밝기와 파동을 정밀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광소자는 손톱 넓이의 1만 분의 1 크기에 불과하다. 빛의 세기와 위상을 제어할 때 예전처럼 부피가 큰 장치를 쓸 필요가 없는 게 장점이다. 성능 분석을 위한 실험 결과, 2차 고조파 빛의 세기를 거의 100% ... ...
스마트폰 충전 전력으로 95% 고순도 이산화탄소 포집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넘어 ‘전기 전도’와 ‘기체 확산’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다. 은
나노
와이어와
나노
입자를 혼합한 복합체를 다공성 파이버 표면에 약 3µm(마이크로미터, 1µm=100만분의 1m)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했다. 이렇게 구현된 3차원 연속 다공 구조는 전기가 매우 잘 통하고 이산화탄소 분자가 파이버 ... ...
24억 년 전, 바다의 리즈 시절은 '초록'이었다
과학동아
l
2025.08.23
PC, APC, PE라는 세 가지 단백질과 PCB, PEB라는 두 가지 색소로 구성된다. 이 색소들은 500~650nm(
나노
미터·10억분의 1m)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데 엽록소가 흡수하지 못하는 녹색광 영역이다. 피코빌리좀은 엽록소의 사각지대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유지하는 데는 큰 에너지가 소모된다. ... ...
[과기원NOW] 박승배 UNIST 교수, '귀납, 과학과 도덕' 출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22
책에서 귀납의 문제를 중심으로 과학철학적 논의를 전개했다. ■ KAIST는 차세대 유망
나노
소재의 최신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비전을 전망하는 '제6회 KAIST 이머징 소재 심포지엄'을 오는 26일 대전 본원 메타융합관에서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심포지엄은 차세대 소재 분야 세계적 석학들을 초청해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과기원NOW] 포스텍, "전기 신호로 기능 변하는 다기능 메타렌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20
무거운 VR·AR 헤드셋이 일반 안경 수준으로 가벼워질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최근 게재됐다. ■ KAIST는 이주영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치환 기반 결정론적 난수 발생기의 안전성을 입증하고 병렬 구조 'POSDRBG'를 설계했다고 20일 밝혔다. 데이터를 병렬로 출력하는 것이 ... ...
[과기원NOW] GIST, 레이저·광기술 여름학교 ‘SSOLLA 2025’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21일 밝혔다. 아시아 7개국에서 온 학생과 연구자 13명이 참가해 고출력 레이저,
나노
광학, 바이오광학 등 7개 분야 강의를 수강하고 GIST의 초강력 레이저 시설을 견학했다. ■ GIST는 15일 호남권 고교생 94명을 초청해 전공 체험 프로그램 ‘오픈 지스트 사이언스 랩’을 운영했다고 21일 밝혔다.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폴리스랩 3.0' 사업 착수보고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티타늄‑지르코늄 합금 소재 기술을 ㈜동아특수금속에 이전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나노
수준의 결정립을 구현해 강도와 내구성을 높였으며 기존 산업 공정과의 호환성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18일 협력기업 간담회를 열고 기술이전부터 실증과 ... ...
[과기원NOW] GIST, 고압 위상물질의 구조 변화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최대 70%에 달한다. 배터리 방전 원리를 활용해 구리 피로인산염과 순수 구리를 결합한
나노
구조를 형성했다. 부산물 없이 메탄올을 선택적으로 생성해 기존 귀금속 촉매 수준의 성능을 확보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최근 게재됐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만화뉴스] 매미충의 분비물, 투명 망토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꼭꼭 숨어라~, 다리라도 보일라♬. 매미충과 숨바꼭질을 하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어디 있는지 모르겠어. 매미충! 너 도대체 어디에 숨은 거야? 안녕? 자기소개 부탁해!안 ... 개발하거나 피부를 노화시키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물질을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단다. *nm(
나노
미터) : 10억 분의 ... ...
[가상 인터뷰] 식물 속 미세플라스틱, 후손이 물려받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식물이 땅에서 흡수한 미세플라스틱을 다음 세대 식물에도 전달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어. 어떻게 가능한 건지 일리가 긴급 취재하고 왔어. 안녕, 완두! 미세플 ... 미세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해. 용어 설명●㎛(마이크로미터) : 100만 분의 1m.●nm(
나노
미터) : 10억 분의 1m ... ...
모나리자, 안전하게 지키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물질 바니쉬가 시간이 지나면서 누렇게 변했지요. 2008년 프랑스 피에르마리퀴리대학교
나노
과학연구소 매디 엘리아스 교수팀은 ‘모나리자’의 바니쉬가 공기 중에 산소와 반응해 산화되면서 노래졌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연구 결과 ‘모나리자’의 원래 색은 지금보다 훨씬 밝았다는 것을 알 ... ...
[가상인터뷰] 소변을 연료로 쓰는
나노
로봇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수 있을까?효과는 확실히 좋았어. 연구팀은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항암제를 투여하는
나노
로봇 덕분에 생쥐 실험에서 암 조직의 크기를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었다”고 밝혔지. 약물을 목표 부위에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치료 효과도 높은 편이야. 카탈루냐생명공학연구소 크리스티나 시모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어과동 500부} 워프마커 개발하다!
기사
l
20250712
됍니다.워프마커는 어플로만 없애 수 있고 다른 방법은 불가합니다. 없어질 땐 녹는 점이 극격히 낮아져 온도가 영하가 아니라면녹아
나노
입자로 분해돼어 공장으로 향해 재활용이 됍니다. 1개의 가격은 130000원 정도이고 분해할 경우 30000원을 돌려줍니다. 일회용도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사용 할수 있습니다. 어때요? 완전 편리하겠죠?지금까지 신 ...
[어린이 과학동아 500호]나도 이제 해리포터?!
기사
l
20250629
빛의 굴절률을 조절하는 '스마트 메타 물질'을 개발하였습니다. 그리고 2015년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처음으로 물체가 사라지는 '
나노
안테나 투명망토가 공개되었다. 그러나 이제는 투명망토는 아주 흔히 비상용에 사용하는 투명망토가 되었습니다.과학자들은 '살옹 물질'을 만들었습니다. 이 물질은 빛을 반사시켜 안보이게 할 뿐더러 주변의 평균 온도와 비 ...
우주기자단 나라스페이스 견학
기사
l
20240702
여기서 '초소형'의 기준이 무엇일까요? 인공위성도 사람과 같이 체급이 있습니다. 큰 것 부터 나열하면 라지, 미디엄, 미니, 마이크로,
나노
순 입니다. 이중 옵저버1A는 '마이크로' 체급에 해당한다고 하는데요. 이것은 10-100kg입니다. 늑대 한마리의 무게 정도가 된다고 하네요. 대표님의 최종 목적은 위성을 많이 만들어 언제나 원할 때 볼 ...
달 표면을 달릴 나만의 를 소개합니다!
기사
l
20240605
움직일 수 있고, 험난한 달의 지형에 꼭 필요한 것 ▼
나노
드릴: 큰 장애물을 만났을 때, 드릴로 부수는 기능 ▼암석 운반용 로봇 팔:
나노
드릴로 부순 달 암석/토양을 가져갈 수 있는 기능 ▼비상용 후크: 무거운 달 암석을 끌어당기기에 유용한 기능 ▼운석 트렁크: 달 암석 담는 곳 ▼고성능 태양 전지판: 2개의 태양 전지판 (1회 ...
사이다캔 VS 사이다페트병, 맛의 차이가 있을까?
기사
l
20240317
없는 편이기에 맛에 큰 차이가 없습니다, 반면,페트병을 만드는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 등의 작은 분자들이 수만개 이상 이어진
나노
크기의 가느다란 선과 뭉쳐있는구조입니다. 보기에는 매끈한 플라스틱 표면에 틈이라고는 없을 것 같지만 가느다란 폴리머섬유가 뭉쳐있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탄산이 조금씩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특히 제조 후 세 달 정도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