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메이저리그
아메리칸리그
리그
메이저
뉴스
류현진과 추신수가 쌍둥이라고?
수학동아
l
2013.10.17
선발승을 거두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이번 시즌 신시내티 레즈의 추신수 선수도
내셔널리그
1번 타자 최초로 20홈런, 20도루, 100볼넷, 100득점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그런데 이렇게 메이저리그에서 맹활약을 펼치고 있는 두 선수가 쌍둥이라는 정보가 있다. 어떻게 된 걸까? 바로 2013 메이저리그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야구 지표로 보는 2023 영광의 얼굴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김하성’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내야수 김하성 선수는 2023년 한국인 최초로 MLB
내셔널리그
유틸리티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리그에서 최고의 수비를 한 선수에게 주는 상이다. ‘어썸킴’이라고 불리는 김 선수는 화려하고 정확한 수비를 선보이며, MLB 진출 3번째 시즌을 맞이해 주전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야구 경기 시스템을 비교해 보자.우선 미국 메이저리그의 경우, 아메리칸리그(14팀)와
내셔널리그
(16팀)로 나눠져 있고, 각 리그는 다시 서부, 중부, 동부로 지역을 나눠 각 팀당 보통 162경기의 리그전을 한다. 각 리그에서는 플레이오프와 디비전시리즈(5선 3승제)를 거쳐 우승팀을 결정하고, 양대 ... ...
수학이 제시한 이상적인 야구 타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수학은 야구 감독에게 전통적인 타순을 버릴 것을 제안했다. 최고의 타자를 네번째보다 두번째에 배치하면 팀 성적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장 약한 선수는 마지막에 배치하면 안된다는 것.만약 베이스에 타자들이 이미 나가있는 상황이면, 강타자는 주자들을 홈으로 들어오게 하면서 ... ...
Ⅳ 사인 감독과 주자 그들만의 언어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미국에서는 50년만에 뉴욕 자이언츠(현 샌프란시스코)가 브루클린 다저스(현 LA)를 꺾고
내셔널리그
챔피언에 오른 것이 사인 훔치기의 결과라는 사실이 밝혀져 큰 파문을 일으켰다. 당시 자이언츠 불펜포수(경기장 밖인 불펜에서 연습하는 포수, 현재 메이저리그 불펜은 외야석과 내야석 사이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챌린지]메이저 리그에 대해서(1/8개)
기사
l
20230402
승자가 경기를 해
내셔널리그
/아메리칸리그의 최강을 가립니다.드디어 월드 시리즈입니다.월드 시리즈는 7판 4선승으로 진행되며
내셔널리그
와 아메리칸리그의 최강이 경기를 해 메이저리그의 우승팀을 가립니다. 다른 리그들과 메이저리그를 비교해 볼까요?먼저 투수의 구속은 한국 프로야구는 레다메스 리즈가 던진 공이 시속 163km로 한국 ...
[10월 기억한DAY]10월 15일은 무슨 날? 체육의 날!
기사
l
20201014
당시 박찬호 전 선수님은 LA다저스에서 통산 75승을 거뒀답니다. 공의 구속이 시속 160km에 육박하는 강속구를 던지셨답니다. 또, 당시
내셔널리그
의 우완 최고 투수 중 한 명이라고 평가받으면서 메이저리그 올스타에 선정 된적도 있습니다. 지금은 메이저리그에서 류현진(토론토), 김광현(세인트루이스) 등의 선수들이 있죠. 출처 : 네이버 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