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정적
NAND
뉴스
[과기원NOW] GIST, 효율적 생체전자 시스템 설계 전략 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분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물질이다. 연구팀은 강유전체 소재를 이용해 기존 D램과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 ... ...
"위기(?)의 삼성, 문제 알고 해결 능력도 있어…인재 운용 들여다봐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29
HBM은 차차세대 기술인 Cu-Cu(구리-구리) 본딩 기술을 통해 고성능 HBM을 대비 중이다. V
낸드
(VNAND) 분야에서는 웨이퍼본딩 기술로 소자를 200층 이상 쌓을 수 있는 구조도 개발 중이다." Q. 올해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자국우선주의 등 정책 변화가 반도체 산업에도 ... ...
차세대 메모리 M램, 상용화 걸림돌 전력소모·발열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8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라고 한다. 스핀트로닉스를 활용한 메모리 반도체인 M램은
낸드
플래시(NAND Flash)처럼 전원을 꺼도 데이터가 날아가지 않는 비휘발성이면서 D램처럼 작동 속도가 빠르다. 대용량 정보처리가 필요한 인공지능(AI),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일부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이상 동작하는 테스트 후에도 높은 안정성을 보였고 정보를 유지하는 성능도 뛰어났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저장하기 위해 전압을 연속적으로 높이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한 번만 전압을 인가하면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과기원은 지금] 전상훈 KAIST 교수팀, 기존 메모리 성능 뛰어넘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전상훈 KAIST 교수. KAIST 제공 ■전상훈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존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성능 한계를 뛰어넘는 메모리를 ... 전압이 증가하면 전하량이 감소함을 의미하는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이용했다. 차세대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보이지 않는 진실을 찾는 사람들' 국과수 사람들은 무슨 일을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5.18
공유한다. 2부에서는 SK하이닉스 임직원의 강연과 진로상담이 진행된다. SK하이닉스에서
낸드
메모리 설계를 담당하는 임직원이 연사로 나서 엔지니어로서 어떤 일을 하는지 소개한다. 사전 질문과 실시간 댓글을 통해 받은 학생들의 질문에 강연자가 답을 하는 진로상담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된다 ... ...
[랩큐멘터리]한국 반도체 기술의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아직 상용화하지 않은 ‘나노와이어 FET’ 반도체나 ‘
낸드
플래시’ 소자를 직접 기증받아 측정과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저온에서 동작할 때 나타나는 특이 성능과 트랜지스트럴 서로 연결하는 금속 라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머신러닝을 활용한 반도체 ... ...
서버용 반도체엔 '코로나19'가 호재…"원격근무 수요 늘어"
연합뉴스
l
2020.03.11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라 PC와 스마트폰 등의 생산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하반기
낸드
플래시 시장은 코로나19 사태의 전개에 달려있다고 트렌드포스는 설명했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이공계 인터뷰] 첨단산업의 출발점 반도체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경우 설계 단계에만 300명가량의 엔지니어가 참여하고 있다. 넓게 보면 3000여 명의 인력이
낸드
플래시 개발에 투입된다. 다양한 전공의 반도체 엔지니어들이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최 TL은 “반도체 엔지니어가 되고 싶다면 전자공학과 진학을 추천한다”면서도 “워낙 다양한 ... ...
일본은 왜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를 지목했나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계획에 차질이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현재 주로 생산되는 반도체인 D램과
낸드
(NAND)플래시에는 EUV가 사용되지 않는 만큼 전문가들은 당장의 반도체 생산에는 차질이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반도체 산업의 도약을 표방하면서 전면에 내세웠던 EUV 생산라인 구축에는 ... ...
[Origin] ‘슈뢰딩거의 고양이’로 만드는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즉 논리회로가 필요합니다. 기존 컴퓨터에서 쓰이는 가장 기초적인 논리회로는
낸드
(NAND) 회로입니다. 두 개의 입력비트가 모두 1일 때만 0을 출력하고, 나머지 경우에는 1을 출력하는 연산을 말합니다. NAND 회로를 조합하면 컴퓨터에 필요한 모든 논리회로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회로를 범용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떠올린 것이다. 플로팅 게이트는 현재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주력상품 중 하나인 ‘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쓰이는 핵심 기술인데, 모스펫 위에 산화물 박막과 게이트를 교차해서 쌓아 놓은 형태다. 플로팅 게이트에 전자를 채우고 비우는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다양한 휴대용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우주 김치는 얼마나 맛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27
이 반도체 하나에 고해상도 사진 3만 6000장 또는 영화 40편을 저장할 수 있다. 나머지 뉴스는 아래와 같다. (1) 세계 최초 40나노 32기가
낸드
플래시메모리 개발 (2) 아리랑2호 위성 발사 성공과 최초의 한국 우주인 배출 (3) 황우석 논문 조작 확인 및 검찰 수사 (4) 전기 흐르는 플라스틱 개발 (5) 북한 핵실험 파문 (6)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