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태아 뇌 속 '만능세포' 분화 메커니즘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24.12.24
- 8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활성화했을 때 교세포가 더 많이 생성됐고 뇌 발달에 중요한 델타-노치(Delta-Notch) 신호경로가 활성화된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델타-노치 신호경로는 세포 분화, 증식, 세포 간 상호작용을 조절하는데 핵심 역할을 한다. p18 단백질은 교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Dlx2라는 ...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⑰스크리닝→선별검사…과기정통부 전문용어표준화협의회 표준용어동아사이언스 l2023.12.05
- , 언택트(비대면), 공격용 툴킷(공격 도구 모음), 그린 IT(녹색정보기술/친환경정보기술), 노치 필터(특정 주파수 차단기),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잠입형 악성코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디엠비), 디지털 셀프출판(전자책 자가출판), 매니지드 서비스(위탁관리 서비스), ... ...
- 약 50만년 전 현생인류 조상은 '목공예품'도 만들었다동아사이언스 l2023.09.21
- 조각들을 발견했다. 1.4m 정도 길이의 나무 조각에는 의도적으로 낸 듯한 움푹 패인 홈(노치)이 있었다. 이 나무 조각들의 홈을 서로 끼워맞추자 마치 장난감 블록처럼 쌓아올릴 수 있었다. 다른 나무 조각들에게서도 의도적인 공예의 흔적들이 발견됐다. 긁힌 자국이나 일부러 변형을 가한 형태가 ...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3.01.10
-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전영욱 교수는 “노치 신호 활성화와 아밀로이드 베타 형성에 필요한 단백질의 순차적 절단 과정의 분자·세포학적 메커니즘을 최초로 제시했다”고 밝혔다. 곽민석 교수는 “비정상 세포 신호 전달에 의한 암 관련 연구와 ... ...
뉴스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마인크래프트트의 역사기사 l20220304
- 하겠습니다. 이 게임은 2009년 5월에 최초 공개되었습니다. 제가 태어나기 1년전 ㄷㄷ 그리고 이 게임을 만드신 사람은 마루쿠스 노치 입니다. 마인크래프트는 2020년으로 기준을 잡고 원간 1억 2600만 명이 플레이를 했습니다. 그리고 모장은 마이크로소프트에게 지적 재산권을 팔았다. 이 사건으로 마인크래프트 19세 즉 ...
- [소설] 바이러스의 습격 [마지막화]포스팅 l20201019
- 시대는 끝났다. 303. 히로빈 스티브는 303을 날려, 어께에 칼을 꽂은 다음, 차 버렸어! [303]: 안 돼... 303은 공허로 떨어져 버렸어. 그리고, 노치는 303이 다시는 해킹을 할 수 없게 시스템을 만들었지. 하이픽셀은 다시 평화로 돌아왔어! 끄읕 PS: 제가 너무 글을 못 써서 죄송합니뎌... 출처:https://m.bl ...
- [소설] 바이러스의 습격 (6)포스팅 l20201017
- 하이픽셀 서버는 많이 파괴되었어. 드래곤들이 날아다니고, 끔찍한 좀비들이 살았지. 303은 마인크래프트에서 가장 좋은 아이템 '노치의 모자(실제로 있음!)' 를 손에 넣었어. 이제 303은 하이픽셀을 지배해. [daamian]: 야, 거기 유령 마스크들! 303의 부하들 '팀 303' 들이 고개를 들었어. 데미안의 팀과 팀 303이 격돌했어 ...
- 마인크레프트에 역사기사 l20200930
- 김은율기자 입니다. 오늘은 전 세계를 대표하는 오픈 월드 장르에 게임인 마인크레프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노치 마인크레트프에 제작자 인분 `마르쿠스 알렉세이페르손`입니다. 저희는 흔히 `노치`라고 부르죠. 마르쿠스는 7살떼 컴퓨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8살땐 무려 카우보이와 인디언이 등장하는 텍스트 기반 어드벤처 ...
- 마인크래프트의 제작자 노치, 그는 누군가?기사 l20200924
- 'Cave Game' 이였습니다. 동굴 게임은 조약돌이랑 모든 면이 잔디밖에 없는 잔디, 그리고 팔을 흔드는 스티브들 밖에 없었습니다. 그 후, 노치는 자신의 몇 파트너와 함께 모장을 설립했고, 마인크래프트를 업데이트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가 직접 만들었으면서, 마크에 영향을 준 게임들은... 1. 챔버의 전설 칼, 흉갑 세트, 그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