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연시간
Delay Time
딜레이 타임
latency
뉴스
MS 기상예측 AI '오로라', 한두달 훈련만으로 기존 모델 뛰어넘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태풍 경로, 대기 오염도 등 지구 시스템 예측은 자연재해 피해를 줄이고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NASA 제공 날씨뿐 아니라 태풍 경로, 대기 오염 등 지구 시스템을 예측하는 예보 모델을 개발하려면 최소 수년의 시간이 걸린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공지능(AI) 모델 오로라(Aurora) ... ...
[사이언스영상] 총에 맞아 숨진 피해자의 최후 진술
SEIZE
l
2025.05.22
애리조나주 법원 제공 총에 맞아 숨진 피해자가 AI 기술로 복원돼 법정에 등장했다. 5월 8일(현지 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법원에서 피해자의 생전 모습과 목소리를 재현한 AI 동영상이 제출됐다. 영상 속에서 AI로 재현된 피해자 크리스토퍼 펠키는 가해자에게 최후의 진술을 했다. 숨진 피해자를 ... ...
"서해안 댐, 해양생물 체내 수은 농도에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5.05.12
댐이 해양생물의 체내 수은 농도를 변화시키는 요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수은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댐이 해양생물의 체내 수은 농도를 변화시키는 요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포스텍은 권세윤 환경공학부 교수와 김영광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후연 ... ...
지구 향하던 소련 금성 탐사선, 남태평양 추락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5.11
한국천문연구원이 예측한 한국 시간으로 9일 9시 기준 코스모스 482 착륙선 추락 예상 궤도 관측 현황. 현재까지는 추락 예측 지점으로부터 오차범위 내에 한반도가 포함되지 않은 상황이다. 천문연 제공 10일 우주항공청에 따르면 러시아(구 소련) 금성탐사선 '코스모스 482 착륙선'이 한국시간으로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이덕환의 과학세상] 다시 미세먼지의 공습…중국발·국내발 혼란
2025.03.12
수도권 미세먼지가 농도가 나쁨 수준을 보인 11일 오전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 서문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가 뿌옇다.연합뉴스 제공 혹독했던 코로나19 팬데믹 덕분에 까맣게 잊고 지냈던 미세먼지의 공습이 다시 시작되고 있다. 3월 10일부터 이틀째 수도권의 대기가 미세먼지로 가득 채워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데 걸림돌 '인 문제' 해결됐나
2025.03.05
얀 밥티스타 판 헬몬트 초상화. 위키미디어 제공 과학사 관련 문헌을 읽다 보면 알려진 지식이 없어 뛰어난 지적 능력이 낭비된 사례에 안타까울 때가 있다. 예를 들어 만유인력의 법칙을 밝히고 미적분을 발명한 뉴턴이 수십 년의 세월을 연금술에 바쳤다는 게 지금 시각으로는 어이없게 느껴지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中 딥시크, 미국의 규제가 낳은 '아이러니'
2025.02.12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화면. 연합뉴스 제공 중국의 신생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식에 맞춰 전략적으로 공개한 생성형 추론(reasoning) 모델인 '딥시크 R1' 때문에 세상이 떠들썩하다. 미국 오픈AI의 GPT-o4에 버금가는 성능을 가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23년 '이상 고온' 미스터리 열쇠는 '알베도'
2024.12.11
지구온난화를 막고자 전 세계가 온실가스를 줄이는 데 합의한 역사적인 기후변화 협정이 2015년 12월 12일(현지시간) 체결됐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195개 협약 당사국은 이날 파리 인근 르부르제 전시장에서 열린 총회 본회의에서 2020년 이후 새로운 기후변화 체제 수립을 위한 최종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기획] 메테인, 전 세계가 감시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지난 3월 미국에서 ‘메테인 위성’이 발사됐어요. 소의 트림이나 방귀, 똥에서 나오는 메테인을 관측하기 위해서죠. 메테인은 지구를 뜨겁게 만드는 온실가스에 속해요. 지구에서는 얼마나 많은 메테인을 배출하고 있을까요? 메테인 배출을 측정하는 위성?! 메테인은 수소와 탄소로 이뤄진 가장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슬기로운 탄소 배출 생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세계 곳곳에서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해 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고 말해요. 탄소가 꼭 나쁜 것만은 아닌데, 어떤 탄소가 지구를 뜨겁게 한다는 걸까요? 탄소를 배출하는 사람의 활동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같이 살펴봐요. 탄소 배출에도 종류가 있다! 탄소는 우리 주변을 이루는 기본 원소예요.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지구는 기후 비상사태를 맞이했다.’ 2019년 11월 5일, 국제학술지 에 153개국의 과학자 1만 1000여 명의 공동 성명이 올라왔다. 기후 위기가 예상보다 훨씬 빠르고 심각하게 진행돼 생태계와 인류가 위협받고 있으니 이에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2023년 3월 기후 변화 ... ...
대기오염 예보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요즘은 외출할 때 날씨만큼이나 대기오염 정보를 확인하는 게 일상이다.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해서 야외 활동을 할지, 마스크를 쓸지 파악하기 위해서다. 이러한 대기오염 예보는 어떻게 이뤄질까? 먼저 우리나라에서 주로 측정하는 대기오염 물질에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포함해 이산화황,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우주 기자단 현장미션]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기술, 그것이 알고 싶다!
기사
l
20250503
안녕하세요! 저는 우주기자단 이예나입니다. 저는 4월 16일, 대전에서 열린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에 참여하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스를 체험해보았습니다. 위는 항우연 부스의 모습입니다. 이 곳에는 4가지 모형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989년도에 만들어졌으며 우리나라가 우리의 항공우주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만든 출연 연구원,즉 ...
대한민국 과학축제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사
l
20250502
안녕하세요. 우주기자단 2기 홍예림기자입니다. 우주기자단 첫 현장미션에 참여하지는 못했지만 기다렸던 과학축제이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스도 궁금하고 과학의 다양한 부분들을 직접 경험하고 싶어 19일날 현장에 갔습니다. 입장 대기 줄에 서있는 시간에도 설레는 마음으로 입장시간만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다양한 부스들이 있었지만 제일 궁금하고 ...
우주항공의 어벤져스 멤버가 되고 있는 항우연(항공우주연구원)
기사
l
20250427
안녕하세요? 변예범 기자입니다. 저는 4월 19일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에 방문했습니다. 그곳에는 반짝이는 미래의 과학자들이 가득했습니다. 생각보다 초등학생들이 많아 놀라웠고, 이곳에 무엇이 있는지 기대감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리고 움직이는 로봇개가 저희를 반겨주었습니다. 사실 반겨준 것이 아니라 모두에게 보여주고 있었는데 제 허벅지 높이의 개가 자연스럽게 ...
우주 탐사의 개척자, 항우연을 다녀오다.
기사
l
20250427
안녕하세요. 저는 우주 기자단 2기 김예성 기자입니다. 저는 지난 4월 19일 대전광역시에서 열린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을 다녀왔습니다. 과학기술대전에는 재미있는 부스들이 많았는데요. 저는 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부스에 관한 기사를 쓰려고 합니다. 항우연은 1989년에 설립되었고 현재는 1300명 정도가 근무하고 있다고 합니다. 항우연이 하는 일은 항공기 개 ...
우주기자단 첫 번째 현장미션: 대한민국 과학축제
기사
l
20250425
안녕하세요? 우주기자단 2기 황세현 기자입니다. 저는 이번 주말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주최한 첫번째 현장미션, '대한민국 과학축제'에 갔다왔습니다. 항공우주연구원의 이성민 연구원님께서 자세하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출처- 본인 직접 촬영) 들어가기 전 다함께 사진을 찍었습니다. 지금부터 저의 취재 내용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출처- 직접 촬영- 입장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