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찌끼
뉴스
해조류에게 배운다…세균까지 차단하는 신개념 오염방지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부착을 막는 데 쓰인다. 인공관절이나 치아 임플란트, 가습기 등에 노폐물이 붙어
더께
가 앉거나 미생물막(바이오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막는 데에도 쓰인다. 현재 주로 화학물질을 발라 쓰고 있는데, 화학물질이 떨어져 나가거나 박테리아가 내성을 지니게 될 경우 무용지물이 된다는 단점이 ... ...
식품용기 속에 낀 ‘세균 때’ 플라스마로 없애 드립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은 최원호 물리학과 교수와 박상후, 박주영 연구원팀이 물체 표면에 얇게 생기는 세균
더께
인 미생물막(바이오필름)을 ‘물질의 제4상태’로 불리는 플라스마를 이용해 제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센터를 이끌고 있는 최원호 KAIST 교수 -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미생물막은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4만 5500년 전에도 인류는 그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1.9m 세로 1.1m의 커다란 멧돼지가 그려져 있었다. 연구팀은 이 그림이 그려진 벽화 위에
더께
처럼 낀 탄산칼슘 침전물(스펠레오뎀)을 찾은 뒤 그 아래 그림 염료와 염료 아래 암석 일부까지 떼어내 우라늄 동위원소를 조사해 연대를 추정했다. 그 결과 리앙 테동게 동굴 벽화의 돼지는 최소 4만 5500년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내려오니 새들이 먹을 게 없어졌지. 예전엔 조개가 많아서 그걸 먹었는 데, 공사 먼지로
더께
가 내려앉아 습지 구멍이 막혀 다 죽었어. 새들도 다 떠났어.”감암포구에서는 북쪽으로 일산 시가지와 한강이 훤히 내려다보였다. 동쪽으로 일산대교가 보이고 그 뒤 일산 쪽으로 유명한 장항습지가 ... ...
음습한 생물? 편견을 버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지의류는 의외로 흔하게 볼수 있다. 앞서 이야기했듯 오래된 나무 표면을 보자. 세월이
더께
처럼 앉아 돌처럼 굳어 있는 부분의 연한 연두색 혹은 회색 얼룩에는 매화나무지의류 등 몇 가지 종류의 지의류가 살고 있다. 우리나라 제주도의 해변 바위위에도 비슷한 무늬가 있다. 이건 ... ...
수천종 미생물 게놈 한꺼번에 분석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가운데 4종은 처음 발견되는 것이었다.미생물들은 강산성을 띠는 오수에 떠있는 분홍색
더께
에 뭉쳐 살고 있었다. 연구팀은 게놈 분석을 통해 어떻게 미생물들이 철과 같은 광물이 다량 함유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는지, 또 어떤 생화학 메커니즘을 통해 물을 강산성으로 만드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