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움길
뉴스
좋거나, 나쁘거나, 이상한 학명의 세계
과학동아
l
2025.03.08
과학동아 제공 블랙핑크 리사, 싸이, 테일러 스위프트, 도널드 트럼프, 스펀지밥, 아돌프 히틀러, 찰스 다윈의 공통점은? 유명인(캐릭터)의 이름인 동시에 학명으로도 쓰인 이름이라는 점입니다. 어쩌다 이들의 이름이 과학적 이름인 '학명'에 들어가게 된 걸까요. 자연에 이상한(?) 이름을 붙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멸종위기 코끼리 살리는 '산림인증제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4.20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아프리카 숲 코끼리'라고도 불리는 둥근귀코끼리(학명 Loxodonta cyclotis)가 열대 숲을 거니는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전 세계 열대 숲의 4분의 1 이상이 목재를 위해 개발 중이다. 산림 벌목은 코끼리를 포함한 포유류 생물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조에리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가 가루처럼 터지는 '말불버섯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8.26
말불버섯 (왼쪽- 숲속의 부엽토 또는 낙엽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는 복균류 버섯으로 어릴 때는 식용이 가능한 버섯이다)과 댕구알버섯 (오른쪽-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버섯 중 하나. 우리나라에서 귀한 취급을 받는 것과 달리 외국에는 시장에서 팔릴 정도로 흔하게 발생한다. 식용 버섯이며 스테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그레고어 멘델은 1822년 7월 20일 오스트리아 제국의 실레지아 지방(현 체코)에서 태어났다. 그가 1850년대 중반에서 60년대 초반까지 행한 완두콩 교배 실험은 현대 유전학의 출발점으로 여겨진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내가 이룬 과학 업적에도 대단히 만족한다. 틀림없이 세계가 곧 그 가치를 알게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멸종위기 코끼리 살리는 '산림인증제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4.20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아프리카 숲 코끼리'라고도 불리는 둥근귀코끼리(학명 Loxodonta cyclotis)가 열대 숲을 거니는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전 세계 열대 숲의 4분의 1 이상이 목재를 위해 개발 중이다. 산림 벌목은 코끼리를 포함한 포유류 생물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조에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그레고어 멘델은 1822년 7월 20일 오스트리아 제국의 실레지아 지방(현 체코)에서 태어났다. 그가 1850년대 중반에서 60년대 초반까지 행한 완두콩 교배 실험은 현대 유전학의 출발점으로 여겨진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내가 이룬 과학 업적에도 대단히 만족한다. 틀림없이 세계가 곧 그 가치를 알게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발사체·위성 종합솔루션 기업 꿈꾸는 KAI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전남 고흥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엔지니어가 누리호 비행모델의 조립을 진행중이다. KAI 제공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의 첫 비행모델(FM)은 90% 이상 조립이 진행된 상태입니다. 발사대에 설치한 인증모델(QM) 시험이 정상적으로 끝나면 9월까지 전체 총조립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
2020.11.26
종의 기원. 1859년 11월 출간돼 인류의 세계관을 뿌리째 흔들어놓은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오클랜드박물관 제공 1859년에 출간된 다윈의 《종의 기원》은 생물학 분야는 물론 과학 전체를 통틀어 보더라도 19세기 과학의 가장 위대한 성취라 평가할 만하다. 생물종이 다양하게 변화한다는 다윈의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말불버섯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6호
작년 여름엔 강력한 태풍이 한반도를 한바탕 휩쓸고 지나 갔어요. 태풍이 지나간 자리에는 사람들에게 끔찍한 피해가 남았지요. 그런데, 거센 비바람이 숲을 강타하고 난 뒤 많은 버섯이 피어올랐습니다. 태풍은 버섯에게 필요한 물과 온도 등의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죠. 태풍이 한바탕 휩쓴 뒤, ... ...
[SF소설] 완벽한 돌봄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끼잉, 하는 소리에 번쩍 눈을 떴다. 깜빡 낮잠에라도 빠졌던 걸까?소파에서 몸을 일으키고는 옆에 놓인 생수병을 들어 물을 마셨다. 덕구가 발치에 깔린 러그에서 기지개를 켜고 있었다. 덕구는 나의 반려견이다. 어미개와 함께 보호소에 버려졌던 녀석을 데려온 게 벌써 십 년 전이니, 우리는 함께 ... ...
[숫자로 보는 뉴스] 화성에 곰돌이가 산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5호
▲ 고화질은 PDF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지구의 이웃 행성인 화성에서 동그란 얼굴, 작은 두 눈, 귀여운 코와 살짝 미소 짓는 입을 가진 곰이 발견됐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2022년 12월 화성정찰위성(MRO)이 찍은 화성 표면의 사진을 최근 공개했어요. MRO는 2006년부터 화성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의혹1. 피사의 사탑 실험으로 반대자들을 반박했다? 갈릴레이는 과학자 중에서도 유독 일화가 많다. 종교재판정을 나서면서 “그래도 지구는 돈다”고 읊조리고, 피사의 사탑 실험으로 자신의 이론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설득했다. 끝까지 신념을 버리지 않는 과학자, 간단한 실험으로 반대자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공존탐사 - 240418 - 1
탐사기록
l
20240418
유라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 농경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부분이 눕고 위쪽은 곧게 자라며 높이 10~25cm다. 잎은 마주나며 가장자리에 둥근 톱니가 있다. 줄기 아래쪽 잎은 원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0.7~3.0cm, 끝은 둥글고 밑은 심장형으로 가늘고 긴 잎자루가 있다. 위쪽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
서울시에 꽃봉오리보다 더 작은 쥐가 산다고? 멧밭쥐 현장교육!(feat.하늘공원)
기사
l
20231016
안녕하세요, 김도연 기자입니다. 지구사랑탐사대 대원이시라면 들어 보신 적이 있을텐데요, 아마 많은 분들께 이름조차 생소할 '멧밭쥐' 현장교육 후기를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튤립 속의 멧밭쥐 (출처_Miles Herbert) 멧밭쥐는 갈대나 억새, 벼 같은 벼과 식물의 잎을 엮어 테니스공 같은 둥근 둥지를 짓고 그 속에서 휴식하거나 새끼를 기르며, ...
박물관은 살아있다 X 다이나믹메이즈 후기 기사
기사
l
20230818
내가 그림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고? 착시 효과가 너무나 신기해서 집에서도 착시 그림을 그린던 나, 신시현 기자가 첫 번째로 방문한 곳은 인사동에 위치한 '박물관은 살아있다 X 다이나믹메이즈'였어. 이곳은 인사동에 위치하고 있어서, 집에서도 가까웠을 뿐만 아니라 체험 후에는 쌈지길 등 다양한 체험을 하기에 좋은 곳이거든. 일단 도착하니, 떡하니 입을 벌리 ...
조류 현장탐사 후기
기사
l
20230628
안녕하세요! 우해인 기자입니다. 오늘은 저번주 일요일에 갔던 조류 탐사에 참여했는데 기사로 남길려고 합니다! 조류 탐사는 6월 25일 일요일 오전 10시에 시작한 현장탐사입니다. 탐사는 창경궁에서 진행됬습니다! 제가 먼저 소개할 새는 '파랑새'입니다. 여러분은 보통 파랑새를 들으면 파란색일 거라고 생각이 들지 않나요? 저는 당연히 파란색인줄 ...
지사탐 11기 특별탐사 제비꽃(in 안산 공원)
기사
l
20230515
안녕하세요 허동혁기자입니다. 오늘은 안산공원에서 진행한 제비꽃 특별탐사를 다녀왔습니다. 이번 11기는 11개의 특별탐사가 존재하는데 그중 하나가 제비꽃 탐사입니다. 탐사를 시작하기전 팀별 소개가 있었고 연구자님으로 부터 많은 애기를 들었습니다. 오늘은 안산벚꽃길의 6가지 제비꽃을 관찰하는것이 목표였습니다. 하지만 역시 지사탐이여서 그런가 저희는 7종를 보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