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반
스페셜
[이달의 역사] 입 밖으로 나온 소리, 녹음 기술로 주워 담는다
KISTI
l
2014.12.08
신제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이후 녹음 기술은 발전에 발전을 거듭해서 ‘LP’라 불리는
레코드판
, 자기 방식으로 기록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이저로 인식하는 컴팩트 디스크(CD), 컴퓨터 파일로 저장하는 엠피스리(mp3) 포맷을 등장시켰다. 자연의 소리를 붙잡아두기 위해 수많은 시인과 음악가들이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SF 소설] 당신의 신호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그러나 외계 생명체에게는 어떤 선물이 어울릴지 알 수 없었다. 보이저호에 담았던 실물
레코드판
같은 걸 보내봤자 천년 내에 도착할 리 만무하다. 그러니 우리가 주고받을 선물은 전파뿐이었다. 어떤 전파가 좋을지 고민했다. 영상화하면 글씨가 되는 전파를 쏠까. 아니면 나도 음악을 보낼까.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만들었다고 발표했어. 진짜일까? 알아봤더니 그간 익숙하게 봐오던 지도랑 다르네?
레코드판
을 닮은 양면 세계지도?!2월 24일,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리처드 고트 교수팀은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세계지도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새로 발표된 양면 세계지도는 마치 우주에서 지구의 남극과 ... ...
[이달의 과학사] 왜 대중음악의 길이는 4분 정도일까?
레코드판
탄생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레코드판
에서 CD, MP3, 스트리밍까지, 음악을 듣는 방법은 꾸준히 달라졌어요. 하지만 초기
레코드판
의 자취는 우리가 듣는 음악의 길이에 여전히 남아있답니다 ... ...
[도전! 코드마스터] 블록만 옮기면 코딩 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개발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예요. ‘스크래치(Scratch)’는 DJ가
레코드판
을 돌리는 동작을 의미해요. DJ가 스크래치하며 음악을 섞듯이, 주어진 프로젝트들을 섞으며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는 뜻이랍니다.스크래치의 가장 큰 특징은 행동이나 상황을 지시하는 블록들이 이미 만들어져 있어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자유를 추구하는 음악 힙합에 대해 알아보자.
기사
l
20170320
됩니다. 이때 가사를 비트에 맞춰서 라임과 디스를 넣기도 합니다. 랩을 하는 사람을 MC 또는 래퍼라고 합니다. 그리고 디제잉은
레코드판
을 손으로 움직여서 나오는 잡음을 조합해서 비트를 만드는 것으로 디제잉을 하는 사람을 DJ라고 합니다. 그라피티와 브레이크 댄스는 여러분께 조금 낯설 수 있습니다. 먼저 브레이크 댄스는 랩에 맞추어서 춤을 추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