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 [과기원NOW] GIST, '제9회 GIST AI 창의융합경진대회’ 성료동아사이언스 l2025.08.24
- AI 창의융합 9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대상은 연세대·경희대 연합팀 ‘유정현 탁구로봇’팀이, 최우수상은 GIST 학생팀 ‘이삭 토스트’팀이 수상했다. ... ...
- [사이언스게시판] 생기원-중앙대, 학연교수 임용식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5.07.15
- '대학-출연연 벽 허물기'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양 기관은 차세대반도체, 인공지능(AI)·로봇, 기후·환경, 천연물·신약 기술 개발 등 특화 분야에 대해 집중 연구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상호협력 및 공동연구, 상호 기술 및 인력교류, 과학기술 전문 여성인력 양성 ... ...
- [사이언스게시판] KIST-포스텍, 인재양성 업무협약 체결 外동아사이언스 l2025.06.17
- 일 연구협력 및 인재양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청정수소, 인공지능·로봇, 이차전지 기술 개발을 공동 추진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 협력 및 인력교류 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포항공대 RISE 사업센터와 KIST 학연 특화 프로그램을 연계해 미래 전문 인력 양성 토대를 ...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제11차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5.05.29
- 이를 국내 산학연에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한국로봇학회와 융합연구혁신전략위원회 등 산·학·연 전문가와 정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융합토론회 2025 상반기 분과 '차세대 물리형 인공지능(AI) 모형 기반 인간형 휴머노이드 미래선점기술 개발 전략 ... ...
스페셜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우주 기자단] 우주항공청 현성윤 선생님의 멋진 강연을 듣고..기사 l20250831
-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또 우주 수송분야의 중요성을 확실하게 알게 되었고, 창의력 강의에서 배운 내용은 앞으로 창작로봇대회 준비에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주에서는 무게 등 섬세한 계산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수학의 위대함과 중요성에 대해 다시한번 더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우주개발은 현실적인 것을 ...
- 우주야, 대한민국을 받아줘! 우주항공청 1차 현장미션!기사 l20250830
- 이름은 스페이스 워커입니다. 열어보니 내부도 있었습니다. 미션은 화성 기지 만들기이고, 특징은 화성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로봇이 있다는 것입니다. 저는 올해 초 우주비행사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미션의 우주비행사 마우리치오 켈리의 특별강연에 참석하여 처음으로 진짜 우주인을 만났었던 적이 있습니다. 우주왕복선을 만든 뒤, 우 ...
- [우주기자단] 우주항공청 최승철 과장님의 강연을 듣고기사 l20250830
- 막는 차폐기술, 통신기술 등 다양하고 복잡한 기술들이 필요합니다. Q. 소행성 탐사를 위해서는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요?A. 로켓 기술, 로봇팔 기술 등이 필요합니다. Q. 우주항공산업 중에서 우리나라가 가장 잘하는 분야는 무엇인가요?A. 발사체와 탑재체를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고 항공산업이 발달했습니다. Q. 우주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 ...
- 텔레픽스 스페이스랩 탐방기: 민간 우주 시대의 문을 열다기사 l20250829
- 테이블이 설치되어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한다. 스페이스팹(Space FAB): 위성 부품 제작 공간이다. 이곳에서는 자동화 기계와 정밀 로봇이 활용되며, 공업용 다이아몬드를 사용하여 위성 거울을 깎는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된다. 특히 일부 반사체는 0.001mm 단위까지 정밀 가공되어 그 기술력에 감탄을 자아냈다.6. 위성이 그리는 미래: 무 ...
- [우주기자단] 우주 시대의 ‘비타민C’를 찾아라!기사 l20250827
- 여섯 달을 견뎌야되기 때문입니다. 다행성 종족이 되려면 화성에 공장이 있어야 하고, 그 외에도 식물, 3D 프린터, 그리고 집 만드는 로봇이 있어야 합니다.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그리고 우리가 다행성 종족이 돼야하는 이유는 지구에 또 ‘대멸종’이 다가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소행성이 지구에 충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