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류병
전염병
창병
뉴스
미국 '선천성
매독
' 신생아 급증…10년새 10배 늘어
연합뉴스
l
2023.11.08
성매개감염(STI)도 증가 추세다. 2021년 클라미디아 160만건, 임질 70만건이 보고됐다.
매독
감염 사례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도 늘고 있었지만, 특히 최근 몇 년간 정기적인 예방 진료 감소, 원격 산전 진료 증가, 진료 시간 단축 등으로 상황이 악화했을 수 있다고 NYT는 전했다. [AP 연합뉴스 ... ...
치매와 노화 구분하는 10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9.29
위험인자도 치매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우울증과 갑상샘 기능이상, 대사질환,
매독
, 두부손상, 뇌졸중, 낮은 교육년수·사회적경제 수준 등도 치매를 발병시키는 기타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우은송 과장은 “치매의 위험인자를 조기 발견하고 이를 적절하게 관리해야만 치매를 예방하거나 진행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한 것도 다른 사람들과 격리시키는 방법의 하나였다. 역사적으로 16세기 초에 유럽에서
매독
환자들이 유행할 때 환자를 마을에서 쫓아낸 것이나 14세기에 유럽에서 페스트가 유행할 때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은 것은 스스로 격리를 당한 것과 다름없었다. 페스트가 유행할 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걸린 환장의 이름을 'syphilis'라 한 것이 영어로
매독
을 가리키는 용어의 어원이 되었으며
매독
의 증상과 수은을 이용한 치료법을 최초로 소개한 학자이기도 하다. 그 후로도 발진티푸스는 1618년부터 1648년까지 독일을 중심으로 벌어진 30년 전쟁 등 여러 전쟁에서 유행하곤 했다. 군대의 이동이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한 것도 다른 사람들과 격리시키는 방법의 하나였다. 역사적으로 16세기 초에 유럽에서
매독
환자들이 유행할 때 환자를 마을에서 쫓아낸 것이나 14세기에 유럽에서 페스트가 유행할 때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은 것은 스스로 격리를 당한 것과 다름없었다. 페스트가 유행할 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걸린 환장의 이름을 'syphilis'라 한 것이 영어로
매독
을 가리키는 용어의 어원이 되었으며
매독
의 증상과 수은을 이용한 치료법을 최초로 소개한 학자이기도 하다. 그 후로도 발진티푸스는 1618년부터 1648년까지 독일을 중심으로 벌어진 30년 전쟁 등 여러 전쟁에서 유행하곤 했다. 군대의 이동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헌터의 영향력이 컸으므로
매독
과 임질이 한 가지 병이라는 그의 주장이 받아들여졌다.
매독
과 임질에 대한 올바른 지식은 1837년에 프랑스의 리코(Philippe Ricord, 1800-1889)가 실험과 관찰을 바탕으로 성병에 의해 성기 주위에 발생하는 궤양에 대한 책을 발표한 후에야 알려졌다. ● 헌터 형제에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인류에게 피해를 입혀 왔다. 1910년 독일의 에를리히(Paul Ehrlich)가 합성한 살발산606이
매독
치료제로 시판되기 시작했다. 이로써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화학물질이지만 세균을 죽일 수 있는 약을 인류가 개발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로부터 18년 후 영국의 플레밍(Alexander Fleming)은 곰팡이 속에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헬라세포] 위대한 유산을 남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9호
터스키기 연구소는 1932~1972년까지 가난한 흑인 600여 명을 대상으로 치명적인 성병인
매독
균을 주사하는 실험을 했어요. 연구자들은 어떤 병균을 주사하는지, 어떤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지 전혀 얘기해주지 않아 많은 피해자가 발생했죠. 헨리에타 랙스처럼, 이런 문제는 주로 사회적 약자에게 더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800년대 후반은 면역 혈청 연구가 급속도로 발전하던 시기였다.
매독
, 디프테리아, 파상풍 등 병원체에 감염되면 쉽게 목숨을 잃는 시대였기에 면역 혈청 연구는 더욱 중요했다. 당시 과학자들은 병원체에 감염된 혈액에는 해당 병원체를 특이적으로 공격하는 항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벨기에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특징인 짧은 잠복기에는 들어맞지 않는다. HIV는 감염 이후 길게는 수년의 잠복기가 있고,
매독
또한 1차 증상인 경성하감(균이 침입한 자리에 발생하는 딱딱한 궤양)이 생길 때까지 약 3~4주의 시간이 걸린다.잠복기가 야귀처럼 극단적으로 짧은 병원체는 그리 많지 않다. 김봉영 한양대병원 감염내과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고칠 생각도 없었다.랜슬롯 허드슨은 계속 떠들었다. 미켈란젤로 시절에 방탕한 생활로
매독
을 앓았다가 자기치료에 실패해 죽을 뻔했던 일, 어떻게든 문명의 도움을 받기 위해 살아남으려고 수십 번의 표적 도약을 하다가 이 시간대로 떨어진 일, 유일한 문명화 지역이 조선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챌린지] 한타바이러스를 발견하고 백신을 개발 한 이호왕 박사님
기사
l
20230731
없어진다는 기쁜 소식이었다고 합니다. 그 때즘에 우리나라에 발생된 바이러스는 많았습니다. 티푸스,장티푸스,말라리아,콜레라,
매독
,임질 등 이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독한 바이러스는 유행성 출혈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였습니다. 유행성 출혈열에 걸리면 눈이 출혈되고 몸이 뜨거워지며 온몸에 붉은 반점이 생깁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기생충, 이로운 생물이 될 수 있다고?!
기사
l
20210220
온 몸에 발진이나 한 곳에 생기는
매독
을 기생충으로 치료 할 수도 있습니다.
매독
균은 열에 약한데 몸에 열이 나게하고 위험한 말라리아가
매독
을 치료하게 할 수 있습니다.말라리아 중 가장 약한 삼일열 말라리아를 몸에 넣어 치료한다고 합니다.기생충은 해롭기만한 생물일까요? 아니면 치료에 도움을 주는 이로운 생물도 될 수 있을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