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성
매축
매몰
토지개량
매립지
매축지
간척
스페셜
KIOST 부산 이전은 새로운 재도약의 호기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육상 환경보다 상황 진단조차 어렵습니다. 바다는 수산물 생산지입니다. 육상 폐기물
매립
장에서는 농사를 짓지 않지만, 바다에서는 오염된 곳에 농사를 짓고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거기다 수중에 생물을 매달아 양식하는 수하식 양식이나 가두리에 물고기를 넣어 두고 매일 먹이를 주는 양식은 ... ...
해양의 미래를 밝힐 '육상폐기물 해양투기 전면금지' 시행, 눈 앞에
동아사이언스
l
2015.12.17
덮친 격으로 2005년 환경부에서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슬러지를 비롯한 모든 폐기물을
매립
하는 것을 전면 금지시켰다. 더는 처리할 곳이 없어진 업체들을 대전, 충남, 강원도 등지에서 100% 해양투기로 돌아섰다. 정 본부장은 “해양 투기가 가장 많았던 해가 바로 2005년이다”라며 “그 해 버려진 ... ...
친환경 에너지 타운에 전통녹색기술 접목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정책적 제언과 실증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친환경 에너지 타운은 광주광역시(쓰레기
매립
지), 강원 홍천(가축분뇨처리시설), 충북 진천‧음성 혁신도시(하수처리시설)를 중심으로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향후 사업 모델을 다각화하고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 고유의 환경과 문화 공간에 ... ...
환경과 지역 함께 살리는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처리장을 기피시설이 아닌 선호시설로 바꾸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강 씨는 쓰레기
매립
지를 공원으로 변신시킨 서울 상암동 하늘공원의 사례를 참고해 충북 옥천의 쓰레기 처리장을 시민을 위한 공원으로 꾸밀 것을 제안했다. 아이디어상 수상작으로 선정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응원, 곽노현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기획] 메테인, 어디서 나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8만 5000t에 달하는 메테인이 나오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매립
지에서는 연간 25만 t이 뿜어져 나왔죠. 하지만 당장 메테인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건 어렵습니다. 가정이나 산업 분야에서 사용하는 가스는 대부분 메테인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에요. 농사짓는 ... ...
바닷속 보물을 찾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거세면 작업할 수 없습니다. 또 수중 발굴은 해양 환경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아요.
매립
공사, 방파제 공사 등으로 해양 환경에 변화가 생기면 묻혀 있던 도자기들이 일부 노출되거나, 이전에 노출되어 있던 유물이 다시 물에 잠기고는 하죠. 바다라는 자연에 순응하며 적절한 때를 기다려야 하는 ... ...
업사이클드푸드 왜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식품 폐기물은 퇴비나 사료로 대부분 재활용돼요. 일부 음식물은 다른 폐기물과 함께
매립
되고, 폐기물은 분해되면서 온실가스를 방출합니다. 2022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식품 폐기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해 봤어요. 1년에 약 748만 t(톤)의 온실가스가 발생했죠. 이는 자동차 약 200만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REI값이 6.8로 가장 컸다. 이어 종이 빨대(4.9), 플라스틱 빨대(3.2)가 뒤를 이었다. 빨대를
매립
할 경우에도 이 순서는 달라지지 않았다. 생분해성 빨대(6.4)가 가장 큰 값을 나타냈고, 그 뒤를 종이 빨대(5.1)와 플라스틱 빨대(2.4)가 이었다. 플라스틱 빨대의 친환경적 대체품으로 여겨지던 생분해성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이토록 아름다운... 쓰레기 소각장?
기사
l
20250604
대변하는 표현이지요. 대표적으로 교도소, 정신병원, 원자력 발전소, 그리고 쓰레기 소각장이 있습니다. 사진 - 한국일보 쓰레기 소각/
매립
은 중요한 일입니다. 현대의 쓰레기는 자연적으로 잘 썩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쩔 수 없이 사람들은 쓰레기를 한곳에 모아 태워버리기로 합니다. 그 '쓰레기들을 모아 태우는 장소'가 바로 쓰레기 소각장입니다. 소각 ...
[인생 책 챌린지] 나의 10살 인생책 - 감염 동물, 살처분에 대한 반성
기사
l
20241124
( 출처-네이버 위즈덤 하우스 ) [ 간단한 줄거리 소개 ] 이 세계엔 바이러스가 퍼졌습니다. 동물들이 말을 하는 바이러스에 걸렸고, 이것으로 사람들은 동물과 만난 사람을 죽이고, 바이러스에 걸린 동물 뿐만 아니라 접촉 ... 이로 인해 살처분 작업에 참여한 노동자들의 정신적 피해도 이따르고 있습니다, 극단적인 선택과 자살, 정신질환등이 문제점 ...
환경오염의 심각한 문제
기사
l
20240517
쓰레기 문제 해마다 전 세계인이 버리는 쓰레기를 트럭에 실어 한줄로 나란히 세우면 지구를 24바퀴나 도는 거리가 된데요. 쓰레기
매립
지가 늘어날수록 야생동물에 서식지가 파괴되요. 출처: 핀터레스트 바다사자(물개)가 로프에 묶여있다가 구조가 되는 장면입니다. 전 너무 안타까워요.. 플라스틱도 위험해요. 질기고 단단하며 물에도 젖 ...
스푼빌에서 이루어진 2024년 첫번째 현장교육 - 겨울철새 탐조
기사
l
20240129
큰뒷부리도요가 여기에 속합니다. 우리나라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하지만 새만금
매립
후 급격하게 개체수가 줄었다고 합니다. 사람의 욕심으로 인해 새들이 고통을 받는 일이 더이상은 없었으면 합니다. 사람의 욕심에 의해 고통받는 또 다른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중국 마오쩌둥이 참새가 곡식을 먹는것을 보고 저 ...
서울시에 꽃봉오리보다 더 작은 쥐가 산다고? 멧밭쥐 현장교육!(feat.하늘공원)
기사
l
20231016
84%9C-%EC%83%9D%ED%83%9C%EA%B3%B5%EC%9B%90%EC%9C%BC%EB%A1%9C) 난지도를 기존의 모습을 되돌리기 위해 쓰레기가 썩으면서 생기는 가스를 포집하는
매립
가스 시설을 100여 개 설치하였고,(이 가스는 현재 상암동 일대의 난방을 위한 연료로 사용 되고 있습니다) 쓰레기가 분해되며 생기는 오염된 침출수가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