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뉴스
다 쓴 배터리, 고성능 배터리로 재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업사이클링 전략을 제시했다. 준액상은 고체와 액체 중간 성질을 가져 반응물 간 접촉
면적
이 크고 화학반응을 촉진한다. 연구팀의 준액상 업사이클링 공정은 기존 배터리 제조 라인에서 가능하다. 그림 a와 b는 고체상 공정(SS-NCM)과 공융염 공정(LS-NCM)으로 합성된 니켈리치 양극재 이미지. 그림 ... ...
"지금까지 인류가 직접 탐사한 심해, 0.001%도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5.05.08
탐사 임무를 통해 수집한 4만3681개의 기록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인류가 관측한 심해
면적
은 전체의 0.001% 미만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의 지리적 불균형도 발견됐다. 심해 탐사 활동 대다수는 미국, 일본, 뉴질랜드로부터 200해리(약 370킬로미터) 이내의 EEZ에서 진행된 것이다. 여기에 프랑스, 독일까지 ... ...
산불이 지나간 곳…동물들은 어디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5.06
4월 강원 지역 대형 산불의 피해
면적
인 2만 3794ha, 2022년 3월 경북·강원 지역 산불의 피해
면적
인 1만 6302ha를 훌쩍 뛰어넘은 수치예요. 숲뿐만이 아닙니다. 화재로 다치거나 죽은 사람은 총 83명이고 주택은 4000여 동 불탔으며 국가유산 35건과 심지어 농기계 1만 880여 대도 불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 ...
거대한 고립 유역 호수, 지구 생명의 첫 탄생지?
과학동아
l
2025.05.03
세계 5개의 고립 유역 호수에서 채취한 퇴적물과 물 샘플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 중 180km²
면적
의 미국 캘리포니아 모노 호수에 주목했다. 모노 호수는 다양한 유기체가 번성하고 있음에도 1년 내내 1mM 수준의 인 농도를 유지했다. 연구팀은 이것이 인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환경과 큰 규모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헬스토크] '아차' 순간 발생하는 소아 화상…"흐르는 물에 충분히 노출시켜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4.27
중에선 특히 열탕화상이 중증도가 높은 편이다. 작은 체구의 소아 특성상 화상을 입는
면적
이 넓을 수 있기 때문이다. 관절을 포함해 화상을 입게 되고, 배 전체나 사타구니, 허벅지로 이어지는 넓은 부위의 화상이 많다. 이 경우 매일 화상 부위를 소독해야 하는 만큼, 협조가 어려운 환아의 경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서머타임은 과연 과학적일까
2025.04.02
정사각형
면적
(약 3.3㎡)으로 한 사람이 딱 몸을 누일 넓이다. 반면 1㎡는 거주 공간의
면적
으로 와닿는 게 없어 추상적으로 느껴지므로 해당 단위로는 넓이를 가늠하기 어렵다. 제곱미터를 강요하는 정부와 평을 못 버리는 대중 가운데 누가 더 비합리적일까. 이들 논문을 보면서 단편적인 정보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남미 열대림, 기후변화 속도 못따라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09
분석 결과 열대림에서는 낙엽수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광합성 능력이 증가하고 잎
면적
과 잎 두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일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2100년까지 중남미 지역의 기온이 최대 4℃ 오르고 강우량은 최대 2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더 따뜻하고 건조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곰팡이 네트워크는 파동처럼 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08
이 네트워크는 대부분 ‘균사’라 불리는 미세한 관으로 구성됐다. 1세제곱미터
면적
의 흙 속에 최대 100m에 달하는 길이로 뻗어 있다. 균근균 네트워크는 토양 생태계 유지에 핵심적 역할을 하지만 지금까지 이러한 복잡한 구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원리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둥실둥실 방울을 불어라! 비눗방울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표면장력이 균형을 이뤄 만들어져요. 액체에 있는 분자들은 서로 끌어당기며 액체의 표
면적
을 최대한 작게 만들려고 하는데, 이 힘을 표면장력이라고 해요. 순수한 물은 표면장력이 강해서 거품을 크게 만들기 어렵지만, 비누나 세제를 물에 적당히 섞어주면 표면장력이 줄어 비눗방울을 쉽게 ... ...
[가상인터뷰] 로봇 공룡이 공룡의 진짜 모습을 밝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로밥테릭스가 깃털을 움직이며 다가오자 메뚜기의 93%가 로봇으로부터 도망쳤어. 깃털의
면적
이 넓을수록 더 많은 메뚜기가 뛰어오르고, 깃털에 흰색 반점이 있을 때 메뚜기가 더 많이 도망간다는 사실도 확인했어. 공룡의 날개가 메뚜기의 행동을 바꿨구나!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한 손에 쏙 들어오는 예쁜 선물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카제인이 섞인 붕대를 상처에 붙였지요. 14일이 지난 뒤, 연구팀은 9마리 쥐의 상처
면적
을 확인했어요. 치료를 받지 않은 3마리의 쥐는 상처가 45.6% 크기로, 붕대만 감은 쥐의 상처는 31.1% 크기로 줄어들었습니다. 카제인이 섞인 붕대로 치료받은 쥐는 5.2% 크기만큼의 상처만 남았어요. 연구팀은 ... ...
[과학기술] 각종 도시 공해 해결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속의 오염 물질을 흡입해 정화합니다.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기포가 작으면 물과 닿는 표
면적
이 넓어져 공기 속 오염 물질을 보다 잘 흡착시킬 수 있지요. 연구팀은 지난해 7월부터 버스정류장에 공기정화 장치를 설치해 실험했습니다. 그 결과, 마이크로버블 스크러버는 악취의 원인인 황화수소,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외계문명의 단계, 카르다쇼프 척도(1~4단계)
기사
l
20250302
있습니다. 첫번째는 지구 표면에 20%에 달하는 태양열 전지판이 50%에 달하는 효율을 내야 합니다. 하지만 지구의 육지는 지구 전체 표
면적
의 겨우 30%입니다. 게다가 극지방, 열대 삼림 등을 제외하면 약 18%정도밖에 안됩니다. 따라서 태양열 방법은 불가능 합니다. 두번째 방법은 핵융합 에너지를 개발하는 것입니다.(그나마 현실성 있음) 만 ...
[인생 책 챌린지]
기사
l
20241211
머릿 속에서 영상이 막 돌아가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처음에는 책을 추천합니다. 처음부터 뮤지컬을 보면 상상할 수 있는
면적
이 좁은데 (뮤지컬만 생각하다 보니까), 책을 먼저 보면 상상이 풍부해져서, 또 그러고나서 뮤지컬을 보고 책을 다시 보면 더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 완결판이 Goo ...
지사탐 특별탐사 공원과 깃대종 현장 교육 - Project park 팀
기사
l
20241204
모인 곳은 서울숲이였습니다. 곽수진 연구원님께서 서울숲을 함께 돌면서 공원에 대해 설명해주었습니다. 서울숲은 2005년 15만 평의
면적
에 조성된 시민공원입니다. 도심에서 시민의 휴식을 제공하는 공원으로 식재된 대표적인 나무 종은 한국 고유종이 대부분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야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숲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서울숲의 조성과정과 식 ...
우주기자단 마지막14째 오프라인 미션! His Youth의 강의를듣다
기사
l
20240910
가설=소고기 무게가 증가할수록 전기력이 크게작용할것이다 . 통제변인=대전체에의해 저울이 받는힘 ,대전 전하량, 소고기 단
면적
조작변인=소고기 무게 9# 조조와 아이둘 우주정거장에서 1년이상 체류시,인체에 생길수 있는 가장 큰 문제점과 해결방안 비뉴턴 액체를 이용한 상처치료 방안팀구 탐구실험 1 =농도 변화에따른 점성비교 . 2=농도 ...
코오롱 원앤 온리 타워 방문 후기 기사
기사
l
20240811
플라스틱이 아니라 금속보다 강력하고 가벼운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고 편안한 시야를 위해 최적인 60%의 개방
면적
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창문 사이로 보이는 풍경이 정말 멋지네요.ㅎㅎ 그리고 이 패턴은 섬유의 직조 패턴이 약 439번 반복되는 패턴이라고 하는데, 신소재 개발에 힘쓰는 회사답게 바깥부터 정말 엄청나지 않나요? 그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