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막
모래벌판
뉴스
미래 화성 거주 인류 위한 최적 농사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5.03
레베카 곤살베스 네덜란드 바헤닝언대 작물시스템분석센터 연구원팀이 지구의
모래땅
과 화성 토양에서 작물의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효율적인 농사법을 찾았다. 여러 작물을 한 땅에서 섞어 기르는 농사법인 '사이짓기(intercropping)'다. 연구결과는 1일(현지 시간)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에 ... ...
[기후위기와 산림] 전세계 75% 사막화 진행...미세먼지로 되돌아온다
2023.07.19
기존에 있던 사막의 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중국의 4대 사지(沙地
모래땅
)인 후룬베이얼과 커얼친은 과거에 풀이 무성한 초원이었다. 하지만 무리한 개간(일굼)과 방목,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자연의 수용 능력을 넘어서면서 푸르던 초원이 사막으로 변해버렸다. 2018년 유럽 ... ...
식물의 낙원은 지구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4.13
가려 빛도 제대로 들지 않는 숲속, 어쩌다 비가 오더라도 고일 새도 없이 사라져 버리는
모래땅
, 반대로 물이 흐르고 넘쳐 숨조차 쉴 수 없는 해변과 범람원, 모든 것이 꽁꽁 얼어붙어 싹 틔울 흙도 물도 없는 극지…. 큰불이 나 모든 것이 한순간 재로 변하기도 하고, 바람이 거세 제대로 서기조차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기후위기와 산림] 전세계 75% 사막화 진행...미세먼지로 되돌아온다
2023.07.19
기존에 있던 사막의 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중국의 4대 사지(沙地
모래땅
)인 후룬베이얼과 커얼친은 과거에 풀이 무성한 초원이었다. 하지만 무리한 개간(일굼)과 방목,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자연의 수용 능력을 넘어서면서 푸르던 초원이 사막으로 변해버렸다. 2018년 유럽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생태 연구원이 지사탐 대원의 질문에 답해주는 [궁금해요] 코너가 생겼어요!일상에서 만난 생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세요.참! 귀여운 논병아리와 멸종위기종인 두루 ... 만난 이 식물은 무엇인가요? 소지현 식물개화 연구원 이 식물은 바닷가
모래땅
에서 자라는 순비기나무랍니다 ... ...
[Photo] 기후변화가 만든 미래의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몽골은 천천히 사막으로 변했다. 850여 개의 호수와 2000개의 강이 말랐고 대지의 4분의 1이
모래땅
이 됐다. 목초지는 6900만ha(1ha는 1만m2) 감소했고, 식물 종의 4분의 3이 사라졌다. 몽골 인구의 25%를 차지하는 유목민들은 살 곳을 잃었다. 사진작가 이대성은 남아있는 초원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그런데 특정 지역에 사는 뱀은 사인곡선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 이동하기도 한다. 주로
모래땅
에서 사는 뱀은 일반적인 뱀과 반대로 이동한다. 먼저 머리와 꼬리를 지지대로 쓰면서 몸통을 옆으로 미끄러뜨린다. 다음에 머리와 꼬리를 몸통 쪽으로 당겨 이동한다. 이 때문에 쉽게 모래를 판다. 한편 ... ...
쌍봉낙타, 사막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모두 갖고 있죠. 우리는 다른 동물들보다 척구가 크기 때문에 발바닥이 넓어서 뜨거운
모래땅
을 걷기에 좋아요. 또 콧구멍을 내 맘대로 열었다 닫을 수 있고, 눈과 귀 주변에는 털이 길게 나 있어 모래바람을 막아 준답니다. 우리는 왜 혹을 짊어지고 다닐까요? 물이 들어 있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혹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질긴등딱지를 가진 자라
기사
l
20180109
안녕하세요, 장훈서 기자입니다. 우리집에서 키우는 자라들이 사이가 안 좋아서 한 마리가 좀 다쳤습니다. 그런 말이 나온 김에 자라에 대해 취재해 보았습니다. 자라는 거북목 자라과에 속해 있습니다. 자라의 몸은 초록색 ... 강바닥의 모래 속에 몸을 파묻고 쉬기도하고, 조개나 새우, 물고기, 개구리 등을 잡아먹습니다. 봄에서 초여름쯤에 짝짓기를 한 후 ...
모래의 생물 '개미귀신'에 대해서 아시나요?
기사
l
20171107
모르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지금부터는 개미귀신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개미귀신은 전 세계적으로 600여 종이 있으며, 메마른
모래땅
에 살아서 '모래의 생물'이라는 별명이 붙어 있습니다. 개미의 천적은 도마뱀이나 개구리, 새, 노린재들이지만 여기에 엉뚱하고 괴이한 전대미문의 목숨앗이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명주잠자리의 애벌레 '개미귀신'입니 ...
해당화 꽃과 열매예요. 강가나 바닷가
모래땅
에 많이 자라고 요맘때 분홍꽃이 피고 초록열매가
포스팅
l
20140617
해당화 꽃과 열매예요. 강가나 바닷가
모래땅
에 많이 자라고 요맘때 분홍꽃이 피고 초록열매가 빨갛게 익어요~~ 옛날엔 많았다는데 약효가 있다고 어른들이 많이캐가서 요즘 보기 힘들데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