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사이언스게시판] 생명연-KGC인삼공사, 오가노이드 기반 평가플랫폼 공동 개발로 글로벌 경쟁력 높인다 外동아사이언스 l2025.08.25
- 담당할 새로운 역할과 기술적 도전 과제, 글로벌 협력 방향을 논의한다. 데니스 홍 미국 UCLA 기계항공학과 교수가 '로봇을 위한 AI, AI를 위한 로봇'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다. 글렌 버세스 캐나다 고등연구소(CIFAR) AI 소장과 김진오 한국로봇산업협회장이 각각 '범용 작업 로봇을 위한 여정', '로봇 ... ...
- 버려지는 열, '산소 구멍' 이용해 전기로 변환동아사이언스 l2025.08.25
- 교수, 김민영 박사 연구팀이 이동화·최시영 신소재공학과 교수, 조셉 헤레만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교수와 함께 산소의 ‘빈자리’라는 결함을 조절해 발전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찾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했다고 25일 밝혔다. 공장 굴뚝에서 ... ...
- [재생의료 최전선]⑩ "인공관절 없이 무릎연골 재생"…환자 임상 개시한 '입셀'의 도전(끝)동아사이언스 l2025.08.25
- 이를 연골세포와 심근세포 치료제로 개발해 전임상과 임상으로 이어가는 것이 목표다. 미국 측 책임자는 iPSC 심혈관 분야 석학인 조셉 우 교수로 심근세포를 스페로이드와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 형태로 만들어 전임상을 주도한다. 양측은 이식 후 나타나는 섬유화·염증 반응, 생착률 같은 병리 ... ...
- 한국원자력학회 "원전 국산화 신화, 기술자립 노력 폄훼·모욕하는 것"동아사이언스 l2025.08.25
- 밝혔다. 한국원자력학회는 "이번 합의는 소모적 분쟁을 끝내고, 더 큰 국익을 위해 미국과 역할을 분담하는 ‘전략적 협력’의 시작일 뿐 시장 진출을 포기한 것이 아니다"며 "유럽·북미 시장은 한미 연합으로 진출해 최대 수익을 창출하고 아프리카·중동·동남아 지역은 ‘팀 코리아’가 ... ...
뉴스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미국인 친척 10명이 한번에 귀국하면 생기는 일포스팅 l20250819
- 실홥니다.. 외가 쪽이 다 미국에 계시는데 이번에 한국 들어오시거든요 제 사촌들도 같이 오는데 엄마가 서울 영어 가이드 하라고 지금 일정짜는중입니다ㅋ 넘 고통스러워요.. ㅠ ...
- 이소연 박사님과의 zoom 특강~!기사 l20250817
- ^^ [우주에서의 생활] 이소연 박사님께서는 또 우주에서의 생활을 알려주셨는데요. 우주에서 머무른 10일 동안, 다른 러시아 미국 우주 비행사 분들과 함께 18가지의 실험을 진행하셨다 합니다. 8일 동안은 그 18가지의 실험을 해야 했었기 때문에 매우 바쁜 나날을 보냈고, 또 이제 기계에게 맡기는 시간에는 서너 시간 정도 시간이 있었다 하셨 ...
- [출동!기자단] 케이팝 데몬 헌터즈 더빙팀과 성우님을 만나다.기사 l20250816
- 최종 결정한다고 말했습니다. 단순히 목소리가 좋은 것보다 그 인물답게 들리는지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미국식 언어유희는 직역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한국 관객이 이해할 수 있는 상황 개그로 바꾸고, 성우들이 연출진과 협의해 자연스러운 한국어 억양으로 조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성우가 되기 위해 필요한 준비로는 발성과 발음 ...
- 하늘과 우주를 향한 끝없는 도전, 항우연기사 l20250816
- 허블 망원경이 있었는데 이 망원경은 제임스 웹 망원경보다 조금 부족했습니다. 이번에는 1900년대로 가 보죠. 최초의 로케트인 미국의 saturn V는 1969년 7월 16일에 처음 발사됐습니다. 이와 비슷하게 1969년 7월 20일에 달에 사람의 발길이 최초로 닿았습니다. 여러분, 일론 머스크를 아시나요?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일론 머스 ...
-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만난 대한민국 인공위성기사 l20250806
- 불과 49년 만에 이런 발전이 있었어요. 이처럼 인공위성도 자동차처럼 점점 발전할 수 있습니다. 현재 화성에 인공위성을 보낸 나라는 미국, 인도, 유럽우주국, 아랍에미리트, 중국이지만, 언젠가 대한민국의 국기가 새겨진 인공위성이 화성 주변을 공전하는 그 날도 기대해 봅니다. 우리도 할 수 있습니다! 설명을 듣던 중 잠깐! 오싹한 사실이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