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길
램프
우회로
bypass
뉴스
11월 과학기술인상에 정일문 박사…물공급 소외지역 위한 샌드댐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물공급 소외지역의 가뭄 해결을 위한 샌드댐 건설 기술을 개발한 ... 년 6월 게재됐다. 같은 해 9월 국제학술지 ‘물’에 게재됐다. 정일문 본부장이 고안한 '
바이패스
형 샌드댐'을 나타낸 모식도. 과기정통부 ... ...
모래에서 물이 나온다...샌드댐 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춘천시 북산면 물로리 지역에 국내 최초로 '
바이패스
' 형 샌드댐을 시공했다.
바이패스
방식은 하천 옆 바닥이나 변두리의 자갈, 모래층에 함유된 물(복류수)을 간접 취수하는 방식이다. 빠르게 흐르는 계곡을 직접 막을 경우 댐 유실 같은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간접 취수 방식을 적용했다. ... ...
사지 마비환자, 3년 반 만에 손으로 기타 치고 컵에 물 부어
2016.04.14
예를 들어 환자가 컵을 쥐고자 하면 우선 대뇌에 이식된 전극이 신호를 감지한다. 뉴럴
바이패스
는 그 신호를 ‘컵을 쥐고자 한다’는 것으로 해석해 손목의 전극 패치로 전달한다. 그럼 환자는 스스로 팔 근육을 조정해 컵을 쥘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이 환자는 손가락 5개를 각각 따로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Part 2. 기계를 내 몸처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주고받을 수 있어요. 연구팀은 이 장치에 ‘뉴럴
바이패스
’라는 이름을 붙였어요.뉴럴
바이패스
는 뇌의 신경세포가 내리는 명령을 읽고, 이를 팔로 전달해요. 뇌가 ‘검지손가락을 구부려라’는 명령을 내리면, 이 명령을 담은 전기신호를 전극 패치로 보내서 검지손가락의 근육을 움직이는 거죠. ... ...
[과학뉴스] 인공지능, 사지마비 환자를 움직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신경의 우회도로’를 뜻하는 ‘뉴럴
바이패스
(neuralbypass)’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뉴럴
바이패스
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뇌가 보내는 명령을 분석하고, 이를 근육으로 전달할 수 있어요.실제로 이 장치를 장착한 환자는 기타연주 게임을 즐기거나 컵에 물을 따르는 등의 복잡한 동작을 할 수 ... ...
무더위는 가라! 한여름에 즐기는 스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냉방을 할 수 있어. 하지만 스노우도시에는 한여름에도 내부 온도를 4℃로 조절해 주는 ‘
바이패스
쿨러’라는 온도 조절장치가 12대나 설치되어 있단다. 말하자면 거대한 에어컨이 내부 온도를 낮춰 주는 거야.
바이패스
쿨러는 천장 근처에 달려 있어. 찬공기는 내려오고 뜨거운 공기는 위로 ... ...
'명왕성'을 찾아 떠난 여행, 그 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처치를 시행한 모체의 자궁강 내에 수정란을 넣어 임신·분만하게 하는 이른바 난관
바이패스
법이다 자기장 속에서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원운동하는 하전입자(전자)에서 복사되는 전자기파 고에너지의 전자가 자기장의 작용 아래 원운동 또는 나선운동을 할 때 궤도의 곡률중심 방향으로 가속도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